•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濟馬의 慧覺과 資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eaGag(慧覺) and JaEop(資業) of Lee Jema(李濟馬))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7.09
29P 미리보기
李濟馬의 慧覺과 資業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9호 / 279 ~ 307페이지
    · 저자명 : 박찬두

    초록

    인류는 물리적 환경인 자연에서 경험을 얻으며 자연과 인간을 아우르는 천인(天人)사상을 바탕으로 의약지식을 축적하여 왔다.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는 이렇게 얻은 사유(思惟)와 의약 지식의 실천적 운용을 혜각(慧覺)과 자업(資業)으로 설명하면서, 세상의 모든 사람이 자신의 체질을 알고 관리하여 심신의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하게 살기를 기대했다. 여기서 이제마가 말하는 혜각과 자업은 그가 추구하는 최고의 선(善)이라 할 수 있다. 이제마의 사상(四象)의학은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병을 치료하는 차원이 아닌 마음을 치료하며 덕(德)을 쌓고 도(道)를 실행하는 실천의학으로 받아들여졌다. 한편 이제마의 성정(性情)론은 성리학(性理學)에서 말하는 성정의 의미를 신체에 대입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제마가 말하는 성(性)은 외부 사물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상태이고, 정(情)은 외부사물에 영향을 받아서 본성이 보이는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그는 혜각과 자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을 보존하고 성(性)을 기르며, 몸을 닦고 명(命)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성과 정을 체용(體用)관계로 논하고 있으며, 이를 인체에 적용하여 이목비구(耳目鼻口)에서 성이 나오고, 폐비간신(肺脾肝腎)에서 정이 나온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그는 사람의 성정(性情)은 희노애락(喜怒哀樂)의 변화에서 온다고 보며, 기(氣)와 연계하여 성기(性氣)와 정기(情氣)의 특성에 따라 사상인(四象人)으로 구분하고, 사상인의 타고난 체질에 따른 혜각과 자업을 논하였다. 이에 그의 성정론을 바탕으로 사상인의 수양에 따른 절세의 혜각과 대인의 자업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Human beings have developed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and accumulated medical knowledge based on their interaction with nature. Lee Jema (李濟馬), also known as Dongmu(東武), explained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se thoughts and the medical knowledge obtained in this way in terms of HeaGag(慧覺) and JaEop (資業), and he hoped that all people would be free from mental and physical illnesses and live a healthy life suitable to their own character and constitution. It is said that the virtues of HeaGag(慧覺) and JaEop(資業) are the highest good that he pursues. His SaSang medicine(四象醫學), or four-constitution medicine, was accepted as a practical medicine not merely to treat illness but also to heal the mind, to build virtue, and to practice the doctrine in those days. In addition to, he applied the meaning of SeongJeong(性情) in Seongrihak(性理學) to the human body in his own way. Seong (性) in his SaSang medicine is a state of nature before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objects, but Jeong(情) is a reaction that nature shows after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objects. It is also emphasized that while Seong(性) should be nurtured by correcting mind, Myung (命) should be enforced by training body, to achieve HeaGag(慧覺) and JaEop(資業). He discussed Seong (性) and Jeong (情), the main idea of Lee's philosophy, in terms of Cheyong(體用). So, he considered that if it is applied to the human body, Seong (性) can be found in the ears, eyes, nose, and mouth(耳目鼻口) and Jeong(情) can be found in the lung, spleen, liver, and kidney(肺脾肝腎). He also considered human's SeongJeong(性情) as coming from a change of Happiness, Anger, Sadness, and Fun(喜怒哀樂), distinguished the characteristics of SeongGi(性氣) and JengGi(情氣) in connection with Ki(氣), and discussed HeaGag(慧覺) and JaEop(資業) according to the natural constitution of SaSangIn(四象人). In this paper, the Highest wisdom of HeaGag(絶世慧覺) and the Best wisdom of JaEop(大人資業) through the cultivation of SaSangIn(四象人) are examined based on the theory of SeongJeng(性情) in Lee Jema, and the method of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for a healthy and long life is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