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정의 시대 : 문화와 집합행동 (The Age of Emotion: Culture and Collective Behavi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4 최종저작일 2009.05
45P 미리보기
감정의 시대 : 문화와 집합행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6권 / 1호 / 7 ~ 51페이지
    · 저자명 : 엄묘섭

    초록

    ‘거대담론’의 해체, ‘역사의 종언’ 등이 그 주된 특징을 이루는 후기 근대사회에서 인간 이성과 인식의 힘은 상대적으로 그 힘을 잃게 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정신의 힘에 억눌렀던 육체와 마찬가지로 이성의 힘에 감추어진 감정이 급격히 분출되는, 이른바 만개된 ‘감정의 시대’를 맞게 되었다.
    감정은 문화의 일부분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의 모든 관계에 침투해 우리의 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 선택과 의사결정, 그러고 행위의 목적 등에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다수의 NGO들은 그들의 주된 과제를 특정 집단, 이를테면 여성, 장애인, 범죄자, 동성애자 집단들의 수치심을 동원하여 운동을 전개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감정과 집합행동과의 관계, 특히 수치심을 중심으로 어떠한 특정의 문화와 사회구조적 기반에서 감정을 집합행동으로 동원할 수 있는가에 집중한다. 그리고 집합행동이나 사회운동 과정에서 특정 정서와 김정에 의존해 어떤 설명도식을 조직하는 ‘프레이밍’과 ‘프레임 연대’, 그리고 ‘집합적 감정경험’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또한 나아가 집합행동이 어떤 사회적 조건과 상황 하에서 사회운동으로 발전하고 성공할 수 있는지, 그리고 더 이상 수치심을 동원하지 않고도 사회발전과 질서가 가능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검토한다.

    영어초록

    In the post modern society, power of human rationality and cognitive pow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ost modern age as well as "dissolution of grand discourses" and "the end of ideology," have relatively lost their own power. Therefore, we can meet so-called "the full-fledged age of emotion," in which emotion hidden by the power of rationality like the body overpowered by the spirit can abruptly overflow.
    Emotion constructs not only a part of the existing culture but also very much influences on ou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oices, decision making as well as the goals of our own behaviors, penetrating into every relations of social lives. These days, quite a few NGOs regard their own works as developing citizens" campaign, mobilizing shame of the specific groups such as the associations of females, the disabled, the criminals and the queers and etc.
    The thesis focuses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 and collective power under the post-modern age. Especially, the article considers in which some specific culture and the basis of social structure the power of shame can be mobilized as the collective behavior. In addition, this article takes the importance on the collective experience as well as the "framing" and "frame alignment" that organize any frame on the basis of a specific sentiment and emotion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behavior or the social movement. Furthermore, the paper also investigates in which specific social conditions and situations the collective power can develop as a social movement and how social progress and order can be achieved without mobilizing the influence of sh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