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가정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에 대한 의미 (The Meaning of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7
14P 미리보기
다문화가정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에 대한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모자보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 17권 / 2호 / 256 ~ 269페이지
    · 저자명 : 오은주, 박정숙, 김영경, 이현숙

    초록

    본연구는다문화가정여성의임신, 출산경험을파악하고 임신과 출산이 갖는 구성요소와 의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임신, 출산을 경험한 다문화가정 여성 9명이다. 2011 년7월부터10월까지 3개월 동안 면담을통해자료를수집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심층 분석한 결과 ‘임산부임에도 인격적 부당함을 느낌’, ‘임신, 출산관련 정보에대한지지를 받지 못함’, ‘임신, 출산, 산후조리 과정에서 서운함이 많음’, ‘임신유지와출산 과정 중에 가족과 갈등이 많음’, ‘임신 출산동안음식이 맞지 않아 섭취가 어려움’, ‘임신, 출산을 통해가족으로 인정받음’으로 6개의 통합된 구성요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도출된 다문화가정여성들의임신출산경험의의미구조는‘배려받지못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국의 나라를 떠나 한국으로 와서임신, 출산이라는생의과업적발달시기에있는다문화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면서 겪고 있는 인간적인부당함, 임신, 출산, 육아관련정보를공유할수없어서 오는 답답함, 사회 및 가족의 관심과 지지 부족, 한국적인 음식과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을 파악하고 이들에게 시급하게 제공되어져야할 간호중재가 무엇인지 파악해본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것이다. 따라서이들의어려움을해결해주기위해서는 이들 대상자 기준에 맞춘 임신과 출산관련 교육을자국의 언어로 제공하는 교육중재 뿐만 아니라 실제로참여하고 경험해보는 활발한 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이러한중재에는가족이함께참여시킴으로써 가족의 지지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에 온기간이 짧을수록 언어소통의 문제가 더욱 가중되어 임신, 출산에대한정보를회득할 길이없는대상자를 위하여 자국의 여성 중에서 우리나라에 먼저 와서 임신과출산을 경험하고 한국어가 능통한 코디네이트나 sister 을 통해 임신, 출산전문가가 함께 중재하는 방안의 모색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B광역시에 거주하는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다문화가정 여성이 면담참여자 였기때문에 농촌지역의 다문화가정 여성의 임신, 출산경험은 포함되지 못했고 생생한 경험을 얻고자 대상자를 임신, 출산을경험한지12개월 이내인자로제한함으로써산욕 초기의 면담 대상자의 경우 긍정적이기 보다는 부정적인 경험들이 많이 표현되었다는 점이다. 후속연구로 지역과 시기를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by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experience pregnancy and childbirth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nine multi-cultural family women who became pregnant and gave birth within one year. Nine multi-cultural women were recruited from July to October in 2011.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ults: A survey of nationality with 9 wom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dicates among them 4 are from Vietnam, 1 from Japan, 2 from China and 1 from the Philippines. Concerning age distribution,1 was under the age of 20, 3 between 20~25 years old, 1 at the age of 27, 1 at the age of 31, 1 at the age of 36, and 1 at the age of 42. Concerning the types of delivery, 8 were by natural childbirth and 1 by cesarean section.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meaning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 ‘Unfair treatment of a pregnant woman’ ‘No support for the information of pregnancy and childbirth’, ‘Feeling much sorry for the treatment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natal care’, ‘Many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during the maintenanc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Difficulty in eating barely palatable food during the pregnancy and childbirth’,‘Recognition as a family member through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structure of meaning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Not be car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ystematic support system that can be with experienced experts and provide pregnancy-childbirth education offered in their own language. Their families join so that they can support them. Intervention programs provided together by experts in pregnancy and childbirth through coordinators or sisters who have experienced them first coming to Korea and are good at Korean language among women from the same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모자보건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