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논문
· 왕진호, “횐경친화형 다세대 다가구주택개발에 관한연구” 인하대 대학원, 2002
· 김영석,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2002
· 김세영,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주차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 2002
· 김미라,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대, 2000
· 이동수, “다가구주택의 건축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김한나, 오픈스페이스 확보를 통한 광진구 구의 1동 주거환경개선계획, 2000
· 이현정, “일조를 고려한 다가구 주거지 거주환경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원, 2000.8.
· 류호식, 블록단위개발을 통한 도시집합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 논문, 1998
· 민양관,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계획요소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8
· 석종구, “도시대중주택의 대가구화에 따른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청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6
· 문현수, 다가구 다세대 주택건설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1997
· 윤혜영,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주거지역 유형화에 관한 연구:서울시를 사례로, 1996
· 한국희, 도시내 용도규제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지원시스템 연구, 한양대석사논문, 1996,
· 최희철, “신도시 단독주택지 용도 혼재에 따는 주거환경의 문제와 대책” 경원대 대학원,1996
· 박세준, “도시가로형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 논문, 1995
· 고은아, “주택시장에서의 국가개입의 특성과 그계층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구자훈, “다가구 임대주택의 주택의 주택 수준별 시장분화 및 선택형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0.10
· 박영기,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후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원1호 통권 27호 ,1990.2
· 이용승, 다세대주택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992
· 안경은, “단독주택의 변화 및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0권12
· 호 통권74
· 민영란,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계획요소에 관한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 기타
· 박병주, “주택지의 획지 및 가구의 적정규모 형태에 관한 연구”,『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22권 제2호
· 대한주택공사, 『불량주택 재개발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1993
· 고철ㆍ염돈민,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향”, 『주택금융』, 1988.12.
· 건설 교통부, 대한 주택공사, 서민주거 안정과 주거기준 달성방안에 관한 연구, 1999,
· 이민섭, 『건축설계보람』, 기문당, 1993.3
· 서울시 통계연보, 2000, http://www.metro.seoul.kr/kor2000
· 한국일보, 2001년 10월 25일, 25면, 박석원기자
· 조선일보, 2001년 06월 20일 사회면
· 조선일보, 2001년 7월 26일, 사회면(수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