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동욱. (2014). 한국에 있어서 아동학대범죄의 처리절차에 관한 고찰. 소년보호연구, (26), 213-240.
·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 강은진, 이정림, 조혜주. (2016). 어린이집의 CCTV 설치·운영 현황 및 요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2), 357-373.
· 권연희(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수, 32(2), 29-48.
· 고영윤, 신현정(201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4), 27-38. doi:10.21213/kjcec.2018.18.4.27
·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김광혁(2016).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24(2), 27-45.
· 김안나(2018). 보육교사 소진관련 변인에 대한 혼합연구: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김소희(2018).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 개발 연구. 남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김수인(2017).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예비신고의무자의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 지식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김은하, 손수민(2015). 어린이집 CCTV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24(1), 99-117.
· 김정화, 이재연(2013). 어린이집 재원시간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중재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357-377.
· 김현지(2006).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노성국, 한영주, 유성경(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4(2),365-395
· 류정희(2017). 아동학대 현황과 아동 권리 보장을 위한 아동보호체계 개선 방향. 보건복지포럼, 247, 5-23.
· 문동규(2018).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38-52. doi:10.5762/KAIS.2018.19.11.38
· 박미현(2017). 보육교사들의 심층적 이야기를 통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설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열린부모교육연구, 9(3), 197-219.
· 박찬옥, 조현정(2006). 부모와 교사가 인식한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44, 1-18.
· 배승민(2016).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범죄심리학적 관점에서. 한국형사정책학회, 1, 56-59.
· 백혜미(2011). 아동학대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보건복지부(2018). 201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 신수아, 정가윤(2018). 유아-교사의 관계가 유아의 정서-행동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통제 조절효과 분석. 인간발달연구, 25(2), 19-34. doi:10.15284/kjhd.2018.25.2.19
· 시본영, 김현주(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스터딩맘의 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2(1), 81-107
· 안은선(2013.06.27.). “보육교사 블랙리스트” vs “불량교사 집단행동.”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80216에서 2019년 10월 1일 인출
· 양미례(201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여형남, 김영경(2018).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 과정 Mother"s Experience of Car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질적연구학회, 19(2), 77-89.
· 염지숙(2003). 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 유민숙(200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유성연(2015).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와 자아개념의 아동학대경향에 대한 관계.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혜진(2008).아동학에 한 보육교사의 역할에 한 연구-수도권 지역 보육교사들의 인식을 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이경민, 박주연(2015). 유아교사의 행복, 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6), 33-48.
· 이경숙, 박진아, 최명희(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21(4), 227-252.
· 이경애(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 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률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선이(2016). 어린이집 CCTV 전면 설치와 아동학대 가능성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조사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이영(2000. 12). 영아 발달과 보육.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서울.
· 이은희, 김수향(2016. 4). CCTV와 유아교육환경: 인권과 법제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부산.
· 이주연, 김경화, 신혜경(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1(4), 213-230.
· 임수정, 이일랑, 이대균(2013), CCTV와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사 이야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433-456.
· 전남주(2018.5.15.). "일단 CCTV부터 까보자"…어린이집 선생님은 가해자?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83121에서 2018년 5월 15일 인출
· 정덕희(2015).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77-99.
· 정윤숙(2017). 한국의 아동학대예방·지원정책에 관한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현심, 김태연(2015). 어린이집 CCTV에 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타전공대학생과의 비교. 아동교육, 24(4), 293-309. doi:10.17643/kjce.2015.24.4.16
· 정미조(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 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 교시 및 영아 또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조재현(2015). 아동학대의 예방적 과제로서 아동보육시설에서의 영상감시카메라 의무적 설치의 헌법적 문제: 미국의 영상감시카메라의 운영에 관한 판례를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6(2), 261-300.
· 지성애, 정재은(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인지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5), 335-358.
· 차선자(2016). 보육교사의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관련법 검토. 법학논총, 36, 545-575.
·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 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탁지훈(2017.8.18.). 아동 학대 ‘무혐의’ 받았는데..억울해도 하소연 못하는 유치원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525610§ion=sc2에서 2017년 8월 18일 인출
· 황신해, 김민진(2017). 보육교사의 CCTV인식 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성 인식. 유아교육연구, 37(1), 329-352. doi:10.18023/kjce.2017.37.1.014
· Bennett, J.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democracy and citizenship.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1), 63-79.
·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doi:10.1016/S0022-4405(96)00029-5
· Cicchetti, D., & Valentino, K. (2006). An ecological-transactional perspective on child maltreatment: Failure of the average expectable environment and its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pp. 129-201).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 CA: Sage.
· Furnham, A. & Argyle ,M. (1998). The psychology of money. London : Routledge.
· Kendall-Tackett, K. A., & Eckenrode, J. (1996). The effects of negl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iplinary problems: A developmental approach. Child Abuse & Neglect, 20(3), 161-169. doi:10.1016/S0145-2134(95)00139-5
· Kim, S. W., & Lee, B. J. (2010). Latent profiles analysis of child maltreatment and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7(1), 173-189.
· Kwon, J. E., Lee, E. J., & Nho, C. R. (2013).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school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2, 29-54.
· McCowan, T. (2013). Education as a human right: Principles for a universal entitlement to learning.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Publishing.
·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34.
· Spodek, B., Saracho, O. N., & Davis, M. D. (1987). Found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