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치된 학생들을 위한 교육: 한 일반고의 학교 내 대안교실 사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6.14 최종저작일 2016.04
35P 미리보기
방치된 학생들을 위한 교육: 한 일반고의 학교 내 대안교실 사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저자명 : 김미숙

    초록

    이 연구는 하위 성적의 학생들이 다수인 한 일반고에서 학교부적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
    시한 대안학급 사례를 조사했다. 분석은 호네트의 인정이론을 사용했다. 민주고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문제가 정책의 문제 즉 고교 다양화와 고교 선택제 이후 더욱 심각해
    졌지만, 그럼에도 이들에게 좀 더 의미 있는 교육을 하는 것이 학교의 할 일이라고 생각했
    다. 이들은 부분 운영제로 운영하다가 교사들 간에 오랜 논의 끝에 전일제로 운영하기로 결
    정했다. 교사들이 학생들을 추천하고, 상담교사와 대안담임이 학생들과 상담하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동의를 얻고 학급을 구성하였다. 운영결과, 학생, 학부모 그리고 교사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학교부적응 학
    생들을 별도 학급으로 운영하는 것은 운영맥락이 어떠냐에 따라서 사회적 무시 즉 낙인 문
    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와 애착관계가 중요하다. 셋째, 가정의
    보살핌을 받기 어려운 취약집단학생들은 호네트의 이론이 암시하는 것처럼 도덕적 사회적
    성장이 불가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 보여주듯이 책임 있는 교육기관의 교사들과 또래와의
    긍정적인 애착관계에 의해서 상당부분 함양할 수 있다. 넷째, “학교부적응”학생들 역시 자신
    들의 능력과 가치를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배움을 갈구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내 대
    안교실은 고교 정상화가 되기 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an alternative class in a general highschool, using
    recognition theory of Honneth.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alitative
    method. The alternative class consisted of "trouble makers" who often cut
    school, slept in class, or interrupt class. The teachers in Minju Highschool
    decided to provide more meaningful and fun educational programs so that
    they would feel not left out but cared in school. This educational attempt was
    successful. Th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class harder, better behaved,
    and more seriously prepared for their future career, comparing with
    themselves in the past. This result has a number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running a separate class for "trouble makers"
    does not always bring about a stigma problem. It depends on under what
    circumstance it runs. Second, students' social and moral consciousness is
    not improved by just reasonal reflection but rather by feeling of their guilty
    and regret that might hurt teachers and peers who care them well. Thus it is
    important to have trust and affe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within peer students to improve students' social and moral ability. In
    Honnett' theory, confidence and self esteem are assumed to be raised by
    good caring in family and legal inclusion.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is
    to large extent complemented by good and responsible education. Third,
    "trouble makers" also have a strong desire for improving their capacity and
    social recognition. Finally, in spite of this accomplishment, an alternative
    class is worthy of temporal implementation before educational normalization
    is realized in which every student receives proper schooling based on her/his
    own need and inte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