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08
24P 미리보기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열환경공학회
    · 수록지 정보 : 열환경공학 / 1권 / 1호
    · 저자명 : 진미석

    목차

    Ⅰ. 왜 핵심역량인가?
    Ⅱ. 핵심역량이란 무엇인가?
    Ⅲ. 고등교육에서의 핵심역량
    Ⅳ. 맺음말: 핵심역량 및 핵심역량교육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고는 핵심역량교육학회의 출범을 맞이하여 변화하는 교육 및 사회환경 속에서 무엇을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서 핵심역량과 핵심역량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미래지향적이고 대안적인 교육의 틀로서
    핵심역량교육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영역과 주제들을 제시하였다. 핵심역량은 어떤 환경과 변화에서건 사람
    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태도, 자질,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애에 걸쳐 길러지고 또한
    활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대표적인 접근으로서 일반시민의 생애역량으로서 핵심역량에
    대한 접근, 근로자의 직무역량으로서 핵심역량에 대한 접근, 보편적인 직업인으로서의 핵심역량 접근 등의 관점들을
    살펴보고 이들 접근에서 공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핵심역량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핵심역량 및 핵심역량교육
    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대학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특히 한국의 상황에서
    핵심역량이 가장 구체성을 띄고서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는 대학생핵심역량진단도구인 K-CESA를 중심으로 살펴보
    았다. 대학생핵심역량진단도구는 대학교육의 기능중의 하나가 핵심역량 증진에 있다고 보고 이를 어떻게 재고
    교육과정에 환류시킬 것인가라는 목적에서 출발하였고, 2010년 개발완료된 이후 7년차에 접어든 현재 90개 대학
    15여만 이상의 학생들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였다. 또한 핵심역량진단도구를 활용하여 교육과정개선, 진단도
    구의 개발 등 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소개하고 진단도구가 핵심역량 및 핵심역량교육에
    관한 연구를 촉진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제 초기단계에 있는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핵심역량의 개념, 특히 무엇이 핵심적인 역량인가 하는 핵심성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고 핵심역량이
    생애에 걸쳐서 길러지고 활용된다는 측면에서 전연령에 걸쳐지는 생애성의 측면에 대해서도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후속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이와 아울러, 핵심역량의 교육방법 및 진단도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d to discuss about core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education as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education in the milieu of the rapid
    change.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y has been started to discuss recently and
    it is hard to have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it. However, the basic philosophy
    of it, that is, the core and basic competency composed of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are the most needed for people who have to live the environment where
    compute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perform many parts of the work and
    knowledge can produce and share with others so quickly and evenly. Specifically
    in Korea where education and schooling has been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creening of talented people, the key issues of 'what students have to learn?'' 'Do
    students learn the valuable knowledge to empower them?' have been put aside.
    To discuss this issue, it is appropriate to select 'core competency' as it touches the
    core element of the valuable things to teach and to learn. Core competency can
    be generally defined as basic attitude, skills and knowledge by which people can
    solve their tasks and challenges. This concept has been studied from three
    perspective. One is to look at it as core life competency which people has to have
    for their life. Secondly, it is discussed from the excellent competency which workers
    perform. Finally, vocational basic competency, which is commonly needed for any
    workers at any workplace, has been studied. While these approach have been
    started with different interests, it is possible to find common elements. That is to
    figure out the competency to show about capacity to perform tasks and solve
    challenges in real situation. In addition, they tried to find out common and basic
    elements as competency, Additionally, it is found out that all approaches tried to
    define competency as a comprenshive concept comprised of non cognitive traits
    such as attitude, awareness and cognitive traits such as skills and knowledge, The correspondence of learning and workplace is also commonly emphasized.
    Currently, core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education have been studied
    more actvely at higher education level than lower school levels. Core competency
    at high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on the higher problem skills and are
    utiliz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K-CESA(Korea College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was developed in 2010 and
    it has been widely used. More than 75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100,000
    students were t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K-CESA, some schools reformed the
    curriculum to develop core competences of students.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assessment tools for core competences can stimulate the research in the core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the beginning stage of core
    competency research, it is imperative to expand the discussion by deep analysis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y, specifically, on the nature of 'core' competency
    and lifelong perspective. In addition, as the further research area, more studies
    on the education of core competency such as pedagogy, assessment, etc.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환경공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