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에 편찬된 이중어 사전에 반영된 서양인들의 한국어 음운에 대한 인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10
44P 미리보기
19세기에 편찬된 이중어 사전에 반영된 서양인들의 한국어 음운에 대한 인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47권
    · 저자명 : 이준환

    목차

    1. 들어가며
    2. 자음에 대한 인식
    3. 모음에 대한 인식
    4. 음운론적 제약, 음운 변동 및 음운 변화에 대한 인식
    5. 나오며

    초록

    19세기에 서양인들이 편찬한 이중어 사전에 반영된 서양인들의
    한국어 음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한불ᄌᆞ뎐』(1880), 언더우
    드(1890), 스콧(1891), 게일(1897)의 서문 또는 도입부에 기술된 내용
    에서 한국어 음운에 대해 기술한 부분과 실제 사전에 집필되어 있는 내용
    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음, 모음, 음운론적 제약, 음운 변동 및 변화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인식을 알 수 있었다. 자음에 관해서는 자음을 조음 위
    치보다는 조음 방법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게 보였
    다. 장애음에서는 평음, 격음, 경음의 대립이 있었음을 인식했으며, 격음
    은 기음으로 인식하되 ‘평음+ㅎ’의 결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보이기도
    한다. 장애음에 대한 인식에서 국어의 평장애음이 프랑스어나 영어의 무성음에 비해 기를 적게 지닌 탓에 유성 장애음처럼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
    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콧(1891)에서는 ‘ㅈ’을 ‘ㄱ, ㄷ, ㅂ’과 같은
    조음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소리로 다루고 있다는데 이는 ‘ㅈ’이 폐쇄 과
    정을 거친다는 점을 중시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ㅅ’이 음절 말에서는
    ‘ㄷ’으로 중화가 됨을 인식하였다. 모음에 관해서는 w계 상향 이중 모음
    과 j계 하향 이중 모음은 기본적인 모음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들 모음은 ‘ㅏ, ㅑ, ㆍ, ㅓ, ㅕ, ㅡ, ㅣ, ㅗ, ㅛ, ㅜ, ㅠ’
    의 모음에 기대어 제시하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기술 내용을
    볼 때 ‘ㅏ’는 중설 저모음으로 인식한 것으로 보이며, ‘ㅓ’는 긴 소리와 짧
    은 소리로 구별되는 변이음이 있었음을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ㆍ’는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나 비어두에서는 ‘ㅡ’, 어두에서는 ‘ㅏ’와 거의
    같아진 것으로 인식하였다. 음운론적 제약, 음운 변동 및 음운 변화와 관
    련해서는 음절말 자음, 자음군 단순화, 구개음화, 음운 축약, 종성의 변동
    과 관련한 인식을 알 수 있었다. 음절말에는 7개의 자음만 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음이 드러나며, ‘평음+ㅎ’의 결합이 격음으로 축약될 수 있
    다고 인식했음이 드러난다. 음절말 자음군의 실현과 관련해서는 ‘ㅀ’, ‘ㅄ’
    은 각각 ‘ㅎ’, ‘ㅅ’의 탈락을 보여 주나, ‘ㄺ’, ‘ㄼ’은 탈락이 되지 않고 보
    존이 되는 것으로 인식한 경향이 널리 보이며, ‘ㄻ’은 ‘ㄹ’이 탈락되는 경
    우와 보존되는 경우가 공존한 것으로 인식한 경향이 보인다. 그리고 종성
    이 다음 음절의 초성과 연접하면서 일어나는 음운 현상으로 비음 동화,
    위치 동화, 유음화에 대한 인식이 있었음을 스콧(1891)에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westerner's perception of Korean phonology reflected
    in bilingual dictionary compiled by westerner in 19th century. For this purpose, I
    examined closely preface, introduction and written information in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1880), 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1890), ENGLISH-COREAN DICTIONARY(1891) and A
    Korean-English Dictionary. The result of examin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Concerning the consonant, westerner who compiled bilingual dictionary were more
    concerned with manner of articulation than point of articulation. And westerner
    perceived there is opposition of an unaspirated sound vs. aspirated sound vs. fortis
    in obstruent. And they perceived there is neutralization of s to t in syllable final by
    no audible release. Especially they perceived Korean unaspirated sound like voiced
    sound of French and English because of absence of aspirated in Korean unaspirated
    sound. Concerning the vowel, westerner who compiled bilingual dictionary treat
    gliding diphthong begin with w and falling diphthong end with j differently from
    simplex vowel and diphthong begin with j. They perceived Korean /ㅏ/ as central mid
    vowel and Korean /ㅓ/ has long vowel and short vowel. And they perceived Korean
    /ㆍ/ is not disappeared, but almost /ㆍ/>/ㅏ/ in first syllable and /ㆍ/>/ㅡ/ in second
    syllable and third syllable. Concerning the phonological constraint, phonological
    processes and phonological change, westerner who compiled bilingual dictionary
    palatalization, consonant in syllable final, phoneme contraction and change of final
    consona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