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 - 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1.04
42P 미리보기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 - 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28권
    · 저자명 : 목정수

    목차

    1. 들어가기
    2. 구어 문법의 실제
    3. 구어 문법에서의 조사 체계의 문제
    4. 구어 문법에서의 어미 체계의 문제
    5.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논문은 구어 문법의 존재와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기존 문어
    를 기반으로 한 국어 문법에서 취한 설명 방식이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적절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구어를 위한 구어 문법의 모형 설
    정을 통해서 문어 문법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 문법의 방향을 제시했
    다. 구어 현상에 대한 천착을 통해서 한국어의 주요 문법요소들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핵심적으로 첫째, 조사 ‘이/가’와 ‘을/를’의 정체성 문제를 다시 제기하
    여 구어 문법에서는 이들 조사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그리고
    조사 생략의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가야 하는가를 구어 문법 중심
    에서 그 입장을 제시했다. 전통적으로 ‘이/가’와 ‘을/를’을 각각 주격조사
    와 목적격조사로 보는 시각을 넘어서서, 조사 ‘은/는’, ‘도’와 더불어 담화
    적 기능의 한정조사로 보는 시각을 논증하고 견지함으로써, 구어 현상을
    새롭고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존의 통사적 기
    능으로서의 주어와 목적어 성분에 대한 통사적 분석을 새롭게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성과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구어 문법의 모형을 따라 조사 생략
    현상을 근원적인 생성의 절차로 설명하는 게 더 낫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어미 ‘-(는)다’를 평서형 종결어미로 규정하고 있는 문어 문법에
    서 주목하지 않았던 현상을 드러내고 구어 문법의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어미 ‘-(는)다’의 문법적 위상을 전체 어
    미 체계 속에서 ‘인용·접속법 종결어미’로 규정함으로써 구어체나 문어
    체에서 실제 사용되는 어미 ‘-(는)다’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다. 부산물
    로 (i) 일기문에서 ‘-(는)다’형이 쓰이는 이유, (ii) ‘-(는)다’형이 문어의 기
    본 형식으로 정립된 이유, (iii) ‘-(는)다’가 독백과 낭독체형의 객관적 문
    어체의 대표형으로 발달되어 온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기저
    의 이유는 ‘-(는)다’가 기본적으로 인칭의 관점에서 3인칭성을 갖는다는
    점이었다. 본고는 더 나아가 한국어의 어미 구조체가 인칭과 문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원이라는 점을 밝혀 인칭 정보가 한국어 통사 구조를
    밝히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구어체 문장의
    분석을 위한 문법 모형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e traditional Korean Grammar has been based on written language. But the
    spontaneous spoken language calls for another type of grammar. In this article we
    suggest a different spoken grammar, which must be integrated with the written
    grammar. To construct this integrated grammar, we define the particles ‘i/ga’,
    ‘eul/leul’ and the ending ‘-(neun)da’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grammar.
    First, the particles ‘i/ga’, ‘eul/leul’ are redefined as determiners(articles), including
    the particles ‘do’, ‘eun/neun’ and ‘eui’. In general, they have been described as ‘case
    markers’, but we argued that they are not. Consequently, the so-called ‘case marker
    deletion’ can be naturally explained by the use or non-use of the particles ‘i/ga’,
    ‘eul/leul’.
    Second, the ending ‘-(neun)da’ is defined as a subjunctive mood ending,
    together with the endings ‘-(eu)nya, -ja, -(eu)ra, -(eu)ryeo’. In fact, it is simply
    not a declarative ending. The grammatical distribution of the ending ‘-(neun)da’
    proves this fact. In spoken language, it does not play an important role only to
    indicate the closing of sentence, but also to inform the ‘person structure’ of
    sentence. The sentence with this ending is not used as a response to question, but
    invoking nuances related to modality, that is, exclamation, surprising, order, etc.
    The integrated grammar should include spoken language phenomena as well as
    written language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