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4.06
22P 미리보기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재교육연구 / 24권 / 3호
    · 저자명 : 전병옥, 한기순

    목차

    I. 들어가기: 행복, 정말 행복할까?
    II. 연구 방법
    III. 이야기하기: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IV. 다시 이야기하기: 행복 경험의 의미에 대한 내러티브
    V.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교육적 논의
    VI. 나오며
    참 고 문 헌

    초록

    이 연구는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하여 주목한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 사례를 통해 이들이 인식하는 행복 경험과 행복하지 않은 경험, 이들의 행
    복 조건, 더불어 이들이 행복 관련 부정정서를 줄이고 더 행복하기 위해 하는 노력은 무엇인지
    를 탐색하므로 영재들에게서 행복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명의 초등영재
    아동은 그들이 경험하는 강한 행복 경험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과 ‘내 힘과 노
    력으로 이루는 성취의 희열’ 그리고 ‘가족의 신뢰와 사랑, 지지’를 이야기하였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며 두 초등영재아동은 ‘내가 좋아하는 활동으로 마음 다스리기’, ‘될
    때까지 하고 또 하기’를 통해 행복하지 않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였
    다. 두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행복에 있어 인지적 측면의 지원만큼
    정서적 측면의 지원이 중요하며 영재아동의 정서 문제에 부모 변인이 절대적임을 알 수 있었
    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개입이 자녀를 잘 키운다는 것과 구분되는 것임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현장적 논의점이 탐색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explore two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ppiness experience'. They narrated that they experienced strong happiness at the
    moment 'doing something they really like for themselves ', 'trying and achieving in
    self-directed way', and 'feeling trust, love, and support from their family'. Also happiness
    was the results of their effort. They made an effort to reduce their negative emotion
    against happiness by 'controling their feeling doing something their favorite activities' and
    ‘working again and again until they succe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help in the cognitive aspects is important. Especially,
    parents variable w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m to have happiness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show that overgovernment and excessive intervention from parent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good caring' of their chil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in depth.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