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사상의 아뢰야식과 정신분석의 무의식 비교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10.11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유식사상의 아뢰야식과 정신분석의 무의식 비교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7권
    · 저자명 : 이영숙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Freud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본질적 특징
    1. Freud 무의식의 본질과 특징
    2. 아뢰야식의 본질과 특징
    Ⅲ. Freud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비교
    1. Freud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본질 비교
    2. Freud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작용 비교
    3. Freud와 유식학의 건강한 정신과 병인(病因)의 비교
    Ⅳ. 맺는 말
    【참고문헌 】

    초록

    본 연구는 유식사상의 아뢰야식과 정신분석의 무의식을 비교하여 인간 마음의 본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심층 적인 비교를 통하여 서양의 상담이론과 불교 상담의 통합적인 상담 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내담자에 대한 깊은 통찰을 이끌어 내고 자 하는 상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두 이론의 공통점은 인간의 마음은 자신이 인지하는 부분과 그렇 지 못하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무의식과 아뢰야식 은 인간의 행위와 사고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경험의 저장소로서 언제 든지 현실로 발현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차이점으로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본능적인 측면으로 자아와의 대립관계 로 억압되어 현실에서 왜곡되어 나타나는 부정적인 측면과 본능에 의한 고정불변을 강조한 반면, 유식사상의 아뢰야식은 각자의 과거 로부터 훈습하고 찰나생멸의 반복과정을 겪으며 유기적으로 흐른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유식사상의 아뢰야식의 비교함으 로써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론에 대한 한계를 유식사상의 아뢰야식을 통하여 보완함으로써 진정한 자기의 뿌리가 무엇인지 자각하도록 한다. 그리고 현실과 정신의 괴리감에 고통스러워하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통찰과 내담자 스스로 자신과의 소통을 통해 행복한 삶으 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초가 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d Aroeyasik in Yusik Idea and unconsciousness in psychoanalysis in order to study the essence of human's mind. Unconsciousness is not substantial material but exists influencing every behavior, thinking and emotion of human being. By comparing unconsciousness and Aroeyasik indepth, the paper will present a theoretical basis in western counselling theory and comprehensive counselling of Buddhist counselling. Also, it will be useful to the counsellors who want to support clients by drawing their deep self-penetration.
    Psychoanalysis revealed structure of human's inner essence. A study to find out comparison and similarity of unconsciousness in psychoanalysis and Aroeyasik in Yusik idea will support the counsellor who is aware of a need of comprehensive counselling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psychopathological phenomenon which is caused by a confusion from lack of understanding and to heal the client by facing the basis of the inner self which is distorted and appeared in real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psychoanalysis and Yusik idea which are referred from Buddhist scriptures, counselling thesis and publications.
    Aroeyasik in Yusik idea and unconsciousness in psychoanalysis show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its effect and essence. The commonality of the two theory is that human's mind is divided into many layers. Some of the layers can be self-recognized but others are not. Unconsciousness and Aroeyasik are storing places of experience which influence diversely in human's behaviors and thoughts. There is a potential that these can be emerged in the reality at any time.
    The difference is that unconsciousness of S. Freud is an instinct part which emphasized negative aspects - being suppressed and appears in a distorted way in reality - and the rigidity - emerges by instinct due to conflict relations - while Aroeyasik in Yusik idea observes that depending on the past experience or the types of unconsciousness each person has, the adoptability in the reality also varies and so does the agony effect. Also S. Freud regarded conscientization of unconsciousness as a healing process while strengthening ego and has a healing goal to free ego from basic ego and super ego. On the other hand, the goal of Yusik idea is to break through from every obsession while realizing that you, I and the universe are one by experiencing natural ego and purifying ego through wisdom and practice.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real route of ego by complementing the limit of unconsciousness theory of psychoanalysis with Aroeyasik of Yusik idea while comparing unconsciousness of S. Freud and Aroeyasik of Yusik idea. Also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o give an insight to the counsellor about a client who is in pain due to a gap between reality and mental; and in building up a foundation to pursue a happy life while communicating with ego of a cl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