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한국 민중교회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7
41P 미리보기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한국 민중교회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36권
    · 저자명 : 황홍렬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선교적 교회론에 대한 이해
    1. 선교적 교회론의 배경
    2. 선교적 교회의 전제
    3.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
    4. 선교적 지역교회
    5. 선교적 교회의 리더십
    6. 선교적 교회론의 장점과 한계
    Ⅲ.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한국의 민중교회
    1.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
    2. 문화와 복음과 교회의 삼자 대화
    3. 지역교회의 신학함과 선교활동
    4. 장점과 한계
    Ⅵ. 나오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초록

    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 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우고, 그런 관점에서 한국의 민중교회를 살핌으로써 양쪽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상호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교회 뿐 아니라 북미 교회에서도 선교적 교회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신학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이기 때문이어서 이해가 쉽지 않은 측면이 있고, 목회자들이 결국은 교회중심적 선교관을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은 선교적 교회론이 태동된 배경과 신학적 전제와 정의,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지역교회를 강조하기 때문에 선교적 지역교회에서 신학함을 다루고, 지역교회로서의 선교활동이 갖고 있는 내용이 앞에서 언급했던 신학적 방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려 한다. 그리고 선교적 공동체를 육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 선교적 리더십이 선교적 공동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선교적 리더십의 기초와 형태를 다룬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론의 장점과 한계를 지적한다. 이런 선교적 교회론을 민중교회에 적용해 보면 우선 신학적 회심과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북미교회가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대화를 한다면, 민중교회는 시대적 과제와 씨름하려 했기 때문에 삼자 대화가 큰 의미를 갖기보다는 민중교회에 대한 민중의 반응이 초래한 민중에 대한 부정적 이해가 민중교회와 목회자의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이전보다 더 확대된 민중선교를 하게 됨을 본다. 그리고 민중교회에서 선교적 교회의 구성요소와 신학함, 그리고 선교활동을 살펴본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민중교회의 장점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main points of the missional church of the North America and to apply them to the Minjung church in South Korea so that the merits of both churches,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Minjung church could complement each other. It is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missional church, for the missional church is produced by the results of the theological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in depth. Even though we agree with th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new orientations such as the Trinity, the reign of God and the missio Dei, it is almost impossible for us to be liberated from the attractional church. In other words, unless the mind-set of the attractional church is dead the missional church cannot be born. That is the reason why so many pastors looking for the missional church turn out to be satisfied with new mission strategies rather than to keep those theological orientation in mind. As the local church is the focal point of the missional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for the missional church. There are three types of doing theology, community theology, prophetic theology and outsider theology. The local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the missio Dei for the sake of the reign of God through identifying the boundary-breaking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 becoming a witness to the reign of God and challenging to the current unjust system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Foundations of the missional leadership are Jesus Christ who confronts the current power of the world, the Holy Spirit who leads the people of God toward the reign of God, and the recovered eschatology. The Minjung church aims at the reign of Go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missio Dei,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As the Minjung church wrestles with the signs of the times the Minjung church is beyond the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Minjung church on its theological orientation was radical enough to accept thos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orientation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njung mission became diversified from the mid-nineties for Minjung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boundary-breaking mission of the Holy Spirit. This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Minjung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Minjung church, however, is limited to Minjung pastors so laity and women of the Minjung church must involve in doing theology in the nea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