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온라인 정보통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9.19 최종저작일 2014.12
10P 미리보기
온라인 정보통제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2. 정보 감시와 온라인 정보 통제

    3. 온라인 정보 통제의 유형과 실제 사례
    3-1. 정보 조작
    3-2. 정보 차단
    3-3. 정보 검열

    4. 온라인 정보 통제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4-1. 온라인 정보 통제의 문제점
    4-2. 온라인 정보 통제 문제의 향후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과거엔 노동과 자본, 토지가 생산요소로서 자산의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물질의 풍성함을 추구했지만, 현재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지식과 정보기술이 인간 생활에 새로운 가치를 가져다주고 있다. 1993년만 해도 불과 61개에 불과했던 KR도메인 수(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도메인)는 1998년인 5년 뒤 26,166개로 늘었고, 약 20년 가까이 시간이 흐른 2012년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1,097,557개가 되었다.1) 과거에는 주로 구전이나 책 등의 인쇄 매체에서 정보를 얻었다면 요즘의 추세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에서 주요 정보를 얻는다. 인터넷에는 하루에만도 수많은 기사와 게시물들이 새로 생산된다. 이러한 정보 홍수의 시대에 사람들은 이전보다 정보 획득이 훨씬 수월해졌다고 착각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우리는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정보 감시’를 간과하면 안 된다.
    ‘감시’의 사전적 의미는 “단속하기 위하여 주의 깊게 살핌”이다. 따라서 ‘정보 감시’란 “사상이나 행동을 단속하기 위해 정보를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라는 개념이고, 그 개념에서 정보 통제와 정보 검열이라는 개념이 파생되었다. 따라서 감시는 언뜻 부정적인 의미로 비추어 질 지 모르나, 감시라는 것이 항상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감시는 마치 동전의 양면성과 같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항상 같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긍정적인 입장보다는 부정적인 입장에 더 초점을 맞춰 설명할 것이다.

    산업 사회에서 정보 사회로 넘어오면서, 감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지속되어 왔고, 정보 감시에 대해 다룬 논문은 상당히 많다. 그러나 기존 논문들은 감시와 정보의 관계 정립에 치중하거나 감시와 정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설명했다면, 본 논문은 감시의 보다 부정적인 입장에 초점을 맞춰 특히 정보의 권력자인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을 연구했다.

    참고자료

    · 김원, 「기획 일반[1970 박정희부터 선데이서울까지](15) 영화, 검열과의 공존」, 『경향신문』, 2013.11.15.(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1152136035&code=210100).
    · 고영삼, 「(전자감시사회와)프라이버시」, 『한울아카데미』, 1998
    · 구본권, 「‘아프리카’ 나우콤 문용식 사장 구속」, 『한겨례』, 2008.06.0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93691.html).
    · 권오성, 「카톡 ‘사이버 망명’ 파장…피한다고 해결 안돼」, 『한겨레』, 2014.10.14.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59560.html).
    · 김문조, 「정보화사회의 성격 및 노동세계의 변화」, 『정보사회연구』제1권 제1호, 1989, 7쪽
    · 박순, 「[취재] 다음카카오, 긴급 기자회견…사이버검열 논란 공식 사과 및 방지책 발표」, 『인벤』, 2014.10.13.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19746)
    · 변재옥, 「정보화사회의 프라이버시와 표현의 자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심훈, 「선거 댓글 알바 고용 한나라당원 징역1년」, 『노컷뉴스』, 2008.04.27. (http://www.nocutnews.co.kr/news/442463).
    · 유병선,「2000앞으로 436일 전자'파놉티콘'사회」, 『경향신문』, 1998.10.22.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02200329102013&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10-22&officeId=00032&pageNo=2&printNo=16571&publishType=00010).
    · 유시춘, 「‘목숨건 십자가 행진 탱크앞에 서다’」, 『경향신문』,2014.02.0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1192).
    · 이수운, 「누구를 위한 인터넷 규제인가」, 『전자신문사』, 2009
    · 이지영, 「정부 3.0」, 『블로터닷넷』, 2013.07.0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2&contents_id=30995).
    · 조화순, 「정보시대의 인간안보 :감시사회인가? 복지사회인가?」, 『집문당』, 2012
    · 최준호, 「검열 논란을 둘러싼 5가지 쟁점..다음카카오는 억울한가」, 『뉴스토마토』, 2014.10.10.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504025).
    · 한홍구 외, 「감시사회: 벌거벗고 대한민국에서 살아가기」, 『철수와 영희』, 2012
    · Bauman, Zygmunt, 「친애하는 빅브라더 : 지그문트 바우만, 감시사회를 말하다」 , 『오월의봄』, 2014
    ·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KISA, 「인터넷 사회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연구」, 2009
    · Lyon, David, 「감시사회로의 유혹」, 『후마니타스』, 2014
    · Lyon, David, 「전자감시사회」, 『한국전자통신연구소』, 1995
    · Mattelar, Armand, 「감시의 시대 : 통제하다 평화롭다 불안하다」,  『알마』, 2012
    · Tudge, Robin , 「감시 사회, 안전장치인가, 통제 도구인가?」, 『이후』, 201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