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있어서 현존재의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9.01
29P 미리보기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있어서 현존재의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18호
    · 저자명 : 하피터

    목차

    1. 들어가는 말
    II. 현존재와 “초월론적 사유”
    III. 현존재와 실용적인 사물
    IV. 현존재와 자유
    V. 맺는 말

    초록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에서 존재이해를 가지고 있는 현존재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리고 하이데거가 현존재 분석에서 데카르트에 의
    해 마련된 근대 철학적 토대인 (이론적인)의식을 현존재로 대체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에서 의식과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현존재의 특징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탐구되지 않았다. 이 논
    문에서 우리는 현존재의 근본적인 특징이 무엇인지를 현존재의 실천적
    인 행동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밝혀보고자 한다.
    현존재와 주위세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하이데거는 현존재
    가 일차적으로 주위세계의 사물들을 “실천적인 행동관계”에서 만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현존재의 “행동관계”에서 드러나는 사물들은 “존재자
    (ontos)”도 아니고 근대 철학적 개념인 “대상(object)”도 아니다. 현존
    재의 주위세계에 만나는 사물들은 “실용적인 사물”(pragmata)이며, “무
    엇을 하기 위한 어떤 것(um-zu)”으로 규정된 “실용적인 사물”은 이론
    적인 대상들처럼 서로 고립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세계에서 만나는 실용적인 사물들은 구체적인 목적기능에 의해 질
    서지어졌는데, 그 이유는 현존재가 “그 때문에(Um-willen)”에 의해 규
    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존재 분석에서 인간과 사물의 관계는 데카
    르트의 경우처럼 “cogito”와 “extensio”가 아니라 “Um-willen”과
    “um-zu”로 규정되는데, 이 관계는 현존재의 실천적인 행동에서 규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현존재의 실천적인 행동이 의식보다 근원적인 이유는 실
    천적인 행동에서 이루어지는 “실용적인 사물의 이해”는 의식에서가 아
    니라 세계 속에서 발원하기 때문이다. 이론적인 이해에서는 사물이 항
    상 개별적인 대상으로 규정되며 이 대상은 의식에 환원되는 데 반해
    “실용적인 사물”(도구)에 관계하는 현존재의 실천적인 이해에서는 하나
    의 개별적인 도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속에 있는 도구 전체성이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구 전체성은 세계 속에 이미 있기 때
    문에 현존재의 실천적인 이해는 의식을 선행하는 세계에서 발원한다.

    영어초록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Dasein that has a understanding of
    Being is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s. And it is well-known that by
    the concept of Dasein Heidegger seeks provide a new foundation of
    beings that replaces the modern philosophical found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However, what is not thoroughly investigated
    in previous researches in Heidegger's philosophy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asein that is not found in the feature of consciousness.
    In this paper, we want to argue that in contrast to the theoretical
    consciousn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Dasein lies in its practical
    comportment.
    In dealing with the environment of Dasein Heidegger insists that Dasein
    proximally encounters things in the practical comportment. And these
    things are not defined as "beings(ontos)" not "objects." Rather, these are
    determined as "useful things(pragmata)" whose essential structure consists
    in "in-order-to." Since "useful things" are determined as
    "in-order-to(Um-zu)" they are always interconnected with other things and
    consequently they are never given as an isolated thing. Furthermore,
    "useful things" in the environment consists in the teleological structure and
    this structure is derived from "for-sake-of(Um-willen)" of Dasen. Hence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things is
    defined not as the relation between "cogito" and "extensio" as in the
    philosophy of Descartes but as the relation between "Um-zu" and
    "Um-willen" that can be clarified in the practical comportment of Dasein.
    For Heidegger, the practical comportment of Dasein is more primordial
    than the theoretical relation because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useful
    things" takes place not in consciousness but in the world. In the
    theoretical relation, an object is always experienced as an isolated object
    that is eventually reduced to consciousness, the practical comportment
    always presupposes the contexture of things that is already exists in the
    world. Since the practical comportment is concerned with the contexture of
    useful things in the world, its understanding originates in the world. In
    this sense, Dasein whose essence revealed in the practical comportment
    refers to the new foundation of beings that is beyond consciousness
    because it provides a ground for useful things situated in outside of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