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01
34P 미리보기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4권 / 2호
    · 저자명 : 정진화

    목차

    Ⅰ. 서론
    Ⅱ.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경
    Ⅲ. 새로운학교의 탄생 : 남한산초등학교
    Ⅳ.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계기
    Ⅴ.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전개
    Ⅵ. 결론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공교육 체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
    경과 계기 및 전개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은 조직적인 교사운동에
    의해 공교육 체제 내의 학교를 개혁하려는 움직임으로 새로운학교운동이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운학교운동은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교육문제에 대
    한 정부의 대응과 전교조운동 및 대안교육 운동이 상호교섭과 충돌을 일으키는 가운데 등장
    하였다. 1989년 결성된 전교조의 참교육운동은 교과ㆍ주제ㆍ교육문화ㆍ학생활동 영역의 실
    천을 통해 학교 현장 교사들의 수업과 학급운영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또 학교운영위원
    회 구성, 예결산 공개 등 학교 민주화를 상당부분 이루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1995년 5ㆍ31 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정부가 자율과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단위학
    교 책임경영제를 도입하고, 학교평가와 교원평가 등 평가를 강화하며, 학교 다양화 정책을
    실시하자 학교 간 격차와 입시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신자유주
    의 정책들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육활동에 대한 좌절과 한계를 느끼게 되었으
    며, 1999년 전교조가 합법화된 이후 제도 개선 투쟁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참교육 실
    천은 조합원 개인에게 맡겨지고 주변화되었다는 비판이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이러한 반성
    과 성찰을 통해 참교육 활동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은 자발적 모임을 만들어 새로운 학교상
    ( )을 모색하고 실현해보고자 하였다.
    2000년, 폐교 위기에 놓인 남한산초등학교를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함께 새로운 학
    교로 변화시킴으로써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은 새로운학교 만들기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남
    한산초등학교에서는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
    하였으며, 교사ㆍ학생ㆍ학부모에 의한 학교자치가 이루어지고, 낡은 시설과 환경을 친환경적
    으로 바꾸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을 공교육의 학교개혁 모델로 삼아 자발적인 교사모임을 통해 서서히 확산되던 새로
    운학교운동은 2007년 교장공모제 도입, 2009년 혁신학교 추진을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
    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교육연구소를 비롯한 학자, 교사, 학부모들이 네
    트워크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개혁의 대상으로 여겨져 온 교사들이 개혁
    의 주체로 나서서 학교를 재구조화함으로써 교사운동을 한 차원 발전시키고, 교사들의 전문
    성과 자율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이 한국 교육문제 해결에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to and the processes underpinning the school reform
    movement that was initiated and led by teachers in the 2000s. This teacher-initiated school
    reform movemen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New School Movement, emerged from the
    cauldron of conflict and strife over key educational problems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an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n the 1990s. The KTU, which was founded in 1989, conducted the ChamGyoYuk
    (Cham-education) movement that brought qualitative changes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union also achieved some measure of democratization
    within schools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creation of school governing bodies and the
    publication of school budgets and settlements of accounts; how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5ㆍ31 educational reform in 1995, the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autonomy,
    accountability, schoo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and implemented a policy of school
    diversification. Due to these Neo-liberal policies, teachers were faced with a new series of
    frustrations and limitations to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Since the KTU was legalized
    in 1999, the practice of ChamGyoYuk was left to individuals and it was criticized as being
    marginalized. Through this reflection, individual tea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ChamGyoYuk Movement initiated voluntary meetings, formed groups to seek an ideal school,
    and implemented the ideas in the field of school.
    In 2000, Namhansan elementary school was at a risk of being closed down; however, its
    teachers, parents, and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endeavored to save and to change the
    school. As a result, they initiated and implemented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created a
    system of self-government for the school, and moved towards an eco-friendly school
    environment. This small school revival movement was later to grow into the New School
    Movement. Since the beginning, this movement slowly expanded through groups of teachers;
    however, growth of the movement accelerated by the openning up of the recruiting system for
    principal employment, which was initiated in 2007, and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which began in 2009. Furthermore, a variety of teachers, parents groups, and
    interested scholars engage in the movement via professional networ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initiated movement, in which teachers have stood up for school reform,
    upgraded Korean education, and improved their own expertise and autonomy, is expected to be
    the first step to solve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