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물관 교육의 이론과 유형 사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2.01
19P 미리보기
박물관 교육의 이론과 유형 사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백령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박물관 체험과 교육
    1 박물관 체험
    2. 박물관 교육 개요와 특수성
    Ⅲ. 박물관교육의 이론
    1.학습과배움
    2 . 체험과 놀이교육
    Ⅳ. 박물관교육의 유형과사례
    1. 전시 중심 교육
    2 . 전시 연계 교육
    3. 교과 연계 교육
    4. 학제 연계 교육
    5. 대상 중심 교육
    V. 끝내면서
    참고문헌

    초록

    현재 우리나라에는 많은 박물관(빅L물관과 미술관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 있다. 서울과 경주
    등 역사유적지에 있는 국립박물관을 비롯해 서울 외교박물관 등 1047~ 국립박물관과 817~ 의 대
    학박물관 그리고 96개의 등록된 사설 박물관이 있다. 이외에도 미술품을 소장, 전시하는 상업 미
    술관(와tg외lery) 의 수는 셀 수조차 없다. 이들이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의 종류 또한 다양하다. 지
    역사회에서 출토된 문화재 각종 미술품 개인의 유물, 문서자료, 민속자료, 종교자료, 의료기구,
    무기류, 농기구, 교과서와 학용품, 등잔, 축음기와 같은 생활 필수품, 화석, 책, 종이 등등. 수집품
    의 종류와수만큼이나다양한각도에서 박물관은정의되어 왔다. 가장기본적인 박물관의 성격은
    볼거리(사물)를 전시하여 대중에게 공개하는 사회 문화의 공간이자 공공 봉사 기관이다. 이러한
    기본성격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 정의하면 박물관은 영구히 존재하는 비영리 사회기관으로, 건축
    물과 관리, 운영의 체계를 갖추었고 설립취지와 운영철학, 이념을 바탕으로 소장품을 수집하고,
    그들에 대해 기록, 연구, 보존하여 대중에게 선보이는 문화, 학술적 활동의 기관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가진 박물관은각시대, 문화, 종교, 정치에 따라다양하게 변해왔
    으며,각국가와단체는문화정책,활동의 일환으로박물관을중요시 여겨왔다
    최근들어 변화하는사회, 문화활동의 일부로빅물관의 다양한기능중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이 눈에 띄게 주목받고 있고 이들 활동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더불어 수요 역시 급증하고 있
    다. 교육적 기능이 현저히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교육의 새로운 접근인 사물을 체험하는 공간으
    로, 전시와 연결된 새로운 교육의 방향으로, 교과과정의 일부로서 뿐만 아니라 여가를 통한 문화
    생활의 일부로서 , 빅L물관 교육은 날로 새로워지고 있다. 이 글을 통해 박물관 교육의 특수성 , 구조
    적 요소, 유형과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Currently, there are numerous museums in Korea including 104 national 96 private
    registered museums not to mention number. of commercia1 art ga1leries. The collections of
    these museums include artifacts from excavation of historic sites' , artworks, documents,
    folklore, religious icons, medical instruments, and records, agricultural appliances,
    stationaries, lamps, stones, locks and keys and more. A basic function of museurn has been
    public service for communities through exhibition, education and other socia1 activitie. As
    increasing demand of public education and public services Korean museums face new
    challeng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rnine museum' s education in terms of its
    foundation, elements, structures and to suggest a new kind of museum experience.
    Museum education can be defined as education(teaching and learning) occurs in a museum.
    1t means a close and interdependable relation between museum and education. The museum
    provides not only a space for learning but it provides materials and text of education. As an
    exhibition designer Mclean defines “The exhibition space becomes the vessel in which
    objects, ideas and people are brought together and transformed," the museum is a space
    where learning and new experience can occur. The education becomes a part of museum
    experience. Definition of museum education being expansion of knowledge is exarnined in
    terms of suggested museum experience.
    Exhibition can be interpreted as a narration with symbols, codes, and hidden stories.
    Building a communication skill between exhibition and visitors is the foundation of
    education. Through proper communication, visitors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exhibition
    with fresh perspectives and their knowledge can expand beyond the given information. 1n
    order to solve a communication problem, the museum educators should focus on three elements--exhibition, visitors and motivation. It is not surprised to find out the 'visitor
    studies' became a complex acadernic discipline and has been exarnined its various aspects of
    visitors to have better comprehension. The museum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eaching
    and learning. It has its foundation in educational philosophy. Teaching and learning are
    processes that visitors and educators go through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exhibition.
    The paper suggests a type of learning combining cognitive, affective and psycomotor
    education. It stands on the belief that three sequenced ac디 vities provide productive learning:
    seeing comes the first, then gaining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then creating artworks.
    The museum education is categorized into 5 groups: exhibition-oriented, exhibition-related,
    school text-related, interdisciplinary, and visitors with special needs.
    Exhibition-oriented education includes labels and interpretive activities of docent,
    exhibition-related includes appreciation and production. School text-related and
    interdisciplinary represents programs for school children. It is time to expand the range of
    audience and solve not only systematic problems but the real problems of providing a health
    programs for the visitors of special needs.
    It is only beginning of new and critical thinking for museum education. Korean museums
    face many problems including finance and lack of professional museums teachers who can
    create and manage good programs. Instead of importing success programs from abroad,
    Korean museums should exarnine current situation and today' s audience to provide healthy
    and well-thought out program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