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칙장과 주요소장에서의 문항반응유형의 통계적 분류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6.01
26P 미리보기
규칙장과 주요소장에서의 문항반응유형의 통계적 분류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4권 / 1호
    · 저자명 : 金成勳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의 내용
    Ⅲ. 연구 방법
    Ⅳ. 문항반응유형의 시뮬레이션 결과
    Ⅴ. 규칙장과 주요소장에서의 통계적 분류 결과
    Ⅵ. 논의
    參考文獻
    Abstract

    초록

    학생들의 오류 방략(strategy) 또는 오개념 유형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규칙장에서 통계적 분류 방법 중 판별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이라는 사전 연구에 이어 첫째, 이 연구에서는 규칙장을 이용한 판별분석이 주요소장에서의 분류보다 효과적인지, 둘째, 이론상 기대되는 슬립(slip : 5쪽 참조)의 수를 가정한 분류와 이외의 경우의 분류 결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지, 셋째, 각 규칙 집단간 분류 결과는 어떤 양상을 보일 것인지를 몬테칼로 연구를 동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요소장에서의 분류가 슬립이 작게 일어날 경우에는 더 정확했으나 슬립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규칙장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슬립의 수가 많을수록 오분류비율이 늘어나고, 근접한 집단간 오분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슬립의 수를 재 개념화, 비슷한 규칙들의 통합에 의한 분석 등을 위하여 실지로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자세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practicability of rule space theory. Three research research questions were hypothesized. First, the classfications of item response patterns in rule spaces would result in the same error rates as those in the fields composed of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which were computed from the item response patterns which were used in the classifications in rule spaces. Second, the classifiers would equally behave over the varying number of slips. Third, misclassification rates would be the same among the rule groups within a dataset.
    A Mont-Carlo study was processed in four steps. First, using MCGENPC developed by Tatsuoka & Bailie(1988). two equivalent sets of 1800 40-item response patterns. a total of 3600. were simulated for each number of slips. which were varied 1 through 5 and expected numbers. One set was consisted of 9 rule groups. each of which contained 200 item response patterns. Those 9 groups were specially selected to form three triplets. one in the center area of ability continuum, and the other two in both extremes fo the continuum. Second, from each set of item response patterns, rule space variables and prinipal component scores were computed separately. These datesets then fomulated to enable to test the hypotheses on the effects of rule/principal-component field, the number of slips, and group memberships on the error rates. Third, a series of discriminant analyses were processed, which resulted in four types of error rates. two apparant error rates and two error rates from separate samples from each equivalent dataset. Fourth, hypotheses were tested.
    Ahead of presenting the classification results, equivalence of the mathched datasets was tested. T-test of the mean differences and F-tests of the variance differences evidenced the equivalences of locations and shapes, respectively.
    Findings enabled to reject all of the null hypotheses. First, the classfications in rule spaces were more erroneous when the number of slips were less than 5. But, the use of rule space provided more consistent and less errornous results when the number of slips were set to the theoretically expected ones. Second, as number of slips increased. error rates rised. Third, misclassifications happenned more frequently between the groups located closer.
    Based on the results, three points were discussed. First, the comparison between the classifications in rule-space and in principal-component space was basically to research a effectiveness of rule-space model. It was clarified that even a positive result for principal component space could not replace the rule space for cognitive diagnostic measure. Second, number of slips might well be studied for its redefinition. Finally, a practical research deserves for a possibililty of a broader grouping of similar rules and of redefinition of the number of slip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