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바람’의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도와 오개념 유형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3
16P 미리보기
‘바람’의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도와 오개념 유형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2권 / 1호
    · 저자명 : 부덕현, 홍승호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초등과학 지구영역의 ‘바람’에 대한 개념 정도와 오개념 유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
    하여 제주도내 시지역과 농촌지역 초등학생 207명(남학생 103명, 여학생 1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등과학의 ‘바람’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여 과학적 문
    항과 오개념 문항들을 추출한 다음, 설문 조사를 통하여 그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전체학생에서 50% 이상의 오답율을 갖고 있는 문항은 5개로 나타났으며, 지식출처는 ‘과학
    시간 때 선생님에게 배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나 학교 교육 환경이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학생 그룹과 여학생 그룹간의 비교에서는 총 18개의 문항 중 3개의 문항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개념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자연환경
    에 접할 기회가 많고 활동이 많아 ‘바람’에 대한 과학적 개념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도시학생
    과 농촌학생 간의 비교에서는 도시학생들이 농촌학생들보다 비교적 오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문
    항별로 분석해 보면 지식위주의 문항에서는 도시학생이, 자연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문항에
    서는 농촌학생들이 높은 과학적 개념을 가졌다. 본 연구에서 ‘바람’에 관한 개념의 대부분이 자연현
    상에 관한 내용이므로 가시적으로 느끼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정의적 속성도 인지될 수 없는 추상
    적인 것으로 인하여 오답이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선에서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이 갖고 있는 ‘바람’에 관한 오개념의 유형을 잘 파악하여 이를 교정하려는 연구가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가급적 가시적인 탐구활동이나 여러 가지 예를 통한 이해,
    모둠별 학습을 통한 토의, 개념변화를 위한 적절한 갈등 유발 등의 학습을 진행하여 해소시켜 나가
    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patterns of the misconception of 'wind' taught in the
    science subjects of elementary curriculum and its formation process, correcting them and
    developing them into right concep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107 students in urban
    and 100 students in rural are chosen among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The earth unit about 'win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re analyzed, and
    questions about scientific conception and their misconception are chosen. The followings are the
    analyzed results through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students' misconception about the concept of 'wind' through
    the survey, more than 30% of students seem to show the misconception in the 7 questions out
    of 18 questions. The reasons of the misconceptions were classified into an immature cognitive
    developme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individual, generalization by hasty decision and
    deduction, difficulty of question, textbook and so on.
    When urban students and rural students are compared, the urban students have a higher
    rate of misconception. The reason why students have such a high rate of misconception is that
    the rural students usually get knowledge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and the urban
    students normally get knowledge through 'private academic school, some books and so on.' It
    means their surroundings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concept formation.
    When the differences of misconception between both gender about 'wind' are analyzed,
    female students have a higher rate of misconception. Male students are likely to have more
    interest in science than female students, so they have more chances to do kinds of outdoor
    activities than them.
    As most of conceptions on the 'wind' come from natural phenomena, so the invisible
    properties of wind is difficult to understand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o correct the
    misconceptions, therefore, it needs to do inquiry activities, explanation of various examples,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small groups, and so on. From this research, it may help teachers
    carrying out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s on ‘win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