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그 활동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12
23P 미리보기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그 활동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보훈논총 / 4권 / 2호
    · 저자명 : 유준기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임시정부의 초기 군사 활동
    Ⅲ. 광복군의 결성과정
    Ⅳ. 광복군 조직의 확대와 군사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Abstract)

    초록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이다. 따라서 한국광복군은 현재 국군의 모체이기 때문에 한국광복군의 결성과 조직의 변천 및 군사 활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 활동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광복군 설립 이전에도 임시정부는 이미 만주지역 독립군 세력에 하나인 광복군총영과 참의부를 통해 활발한 군사활동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이는 이후 임시정부가 광복군을 조직할 수 있는 역사적 전통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광복군은 조직단계에서 보면 대한제국기의 한국군을 이념적 모태로 하고 만주지역 독립군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전통 속에서 임시정부의 국군으로 조직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1940년 9월 17일 광복군의 성립은 임시정부 투쟁노선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었는데 이 시기에 이르면 임시정부는 외교독립노선의 한계를 절감하고 독립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무장투쟁에 있음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임시정부가 김원봉의 조선의용대와 주도적으로 통합할 수 있었다는 것은 광복군의 투쟁역량 강화라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임시정부가 이념적으로도 통일정부 지향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셋째, 1930년대 후반에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이청천, 오광선, 황학수, 조경한, 김학규 등이 관내로 이동하여 임시정부에 참여한 것은 임시정부가 광복을 조직하고 향일무장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본동력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임시정부의 군사 활동은 초모공작, 교육훈련, 선전활동 등이 중심이 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밖에도 인도 · 버마 전선에서의 영국군과의 연합작전 전개나 미군과 연합합 OSS훈련 등의 특수작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에 있어 우리 민족에게 새로운 활기를 진작시킨 점에서 역사적 의의는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대내외적 여건의 어려움과 광복군 자체 역량의 부족으로 인해 일본군을 직접 상대한 독립전쟁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무장독립군으로서의 일정한 한계를 지니는 측면도 있었다고 하겠다.
    요컨대, 3.1운동의 성과로 우리 민족운동의 역량을 결집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민주공화제를 채택하고 민주헌정을 기본으로 하는 국민국가전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민주공화제를 채택하고 민주헌정을 기본으로 하는 국민국가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한국독립운동 선상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지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도 “유고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라고 하여 대한민국의 법통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계승하고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인 한국광복군은 한말의 의병과 대한제국의 구한국군, 만주의 독립군으로 이어지는 민족의 국민군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하여 현재 우리나라 국군의 뿌리는 광복군이며 그 정통성을 광복군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그 정통성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두고 있다면 광복군과 국군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하고 앞으로 우리 민족의 지상과제인 통일에 대비해서라도 하루빨리 광복군 창설일인 9월 17일을 ‘국군의 날’로 제정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Korea KwangBok army(한국광복군) is the armed forces of the Korean provision government (KPG). Consequently, since the current armed forces stems from the Korean Liberation army , the research on its recruitment, organization and activities is fairly important. We will take a look at several remarkable facts as follows:
    First, the military activities can largely be categorized into two areas. Eve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Liberation army, the KPG already spreaded out its military activities with the help from the head KwangBok army chongyung(광복군총영) and ChamEuiBu(참의부) of the Man-chu(만주), one of the Independence army's power,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Liberation army's traditional groundwork. In the view of organizational process. the Liberation army stemmed from the army of the era of Korea emperor(대한 제국기), and is organized as the armed forces of the KPG in the historical tradition, which is led to the Independence army in Man-chu.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the Liberation army on September 17th, 1940, reflects the change of the KPG's struggle line. In this period, KPG realized the limitations of diplomatic independence line, and acknowledged that the most realistic breakthrough for the Independence army(독립군) was the armed struggle. And the fact that KPG was able to integrate with Kim, Won-bong's(김원봉) Cho-sun militia showed(조선의용대) that KPG headed for the unified government not only in the side of military enrichment but also in ideology.
    Thirdly, in late 1930s. Lee. Chung-chun(이청천), Oh, Gwang-sun(오광선), Hwang, Hak-soo(황학수), Jo, kyung-han(조경한), Kim, Hak-kyu(김학규), who had worked in Mau-chu. joined the KPG after moving in its jurisdiction. This event is considered the basic motive for KPG to set up Liberation army. and to strive against Japan.
    Fourthly, the main activities of KPG seem militia recruitment. military training. propaganda activity and so forth. Besides, the joint operation with British army in India, Burma and the OSS special operation with U. S. are histor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encouraged our nation to fight against Japan. But there was still a shortcoming of Liberation army. Unfavorable condi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support, the lack of combat capability brought it much difficulty for struggling against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보훈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