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45P 미리보기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42호
    · 저자명 : 노명완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 문식성 교육
    Ⅲ. 문식성 개념과 그 기저 이론
    Ⅳ. 초등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
    Ⅴ. 초등 저학년 문식성 교육의 방법
    Ⅵ. 결론

    초록

    현재 모든 나라에서는 국어(자국어) 교육을 가장 중요한 학교 교육으로 삼고 있다.
    이는 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지도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문식성 교육에 초점을 맞춘 이 논문에서는 문식성을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하나는, 문식성을 심리적 측면 특히 구성주의적 측면(더 정확하게는 ‘인지-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서 살펴보고, 두 번째는 문식성을 교과과정과 지도방법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문식성은, 애초에는 읽기와 쓰기를 지칭하는 개념이었다. 그러다가 점차 인지가 발달하고 사회문화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문식성 개념은 말하기와 듣기까지 포함하는 언어적 의사소통, 고등사고기능, 국가발전, 문명사회 및 민주사회 형성으로까지 그 개념을 넓어졌다. 이런 확장된 문식성 개념 속에는 문식성을 보는 기저 이론의 발전도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확인 분석한 문식성의 기저 이론은, 그 발달 순서로 보면, 인지심리학, 스키마 이론, 구성주의, 독자반응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과제인 교육과정 검토에서 연구자는 문식성 개념을 일과성과 총체성으로 규정하면서 10가지의 핵심 지도 지도내용을 선정하였다. 이 핵심 지도 내용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고등학교에 이르는 전체의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야하는 핵심 지도 내용들이다.
    문식성 교수 방법으로 연구자는 기능 지도와 전략 지도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면서, 전통적인 기능 지도의 개념을 비판하면서 인지구성주의적 문식성 지도방법으로 전략 지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략 지도의 구체적 방법으로 피어슨의 책임이양 모형과 노명완의 과정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두 지도 방법은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 개념에 기초하는 방법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lying theories of the concept literacy, and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oncept of literacy in its early period meant only reading, and then included the 4-language behaviors as a whole. But a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sychology, the increase of the demandstirom high technological society, the concept of literacy extended widely, as we knowtirom such phrases as ‘language and literacy’, ‘literacy and high-order thinking skills’, ‘literacy and communication’, ‘literacy and education’, ‘literacy, society, and culture’, ‘literacy and national development’, ‘literacy and democracy’.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oncept of literacy in two aspects: One is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theories in the concept of literacy, and the other is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As of the underlying theories, I examined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five theori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schema theories, constructivism, reader response theory, and sociocultural theory.
    In the study, I also examined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basic approaches I took in the examination was the wholesome psychological process of literacy, which means, the reading process includes the whole processes from decoding, to word recognition, sentence comprehension, reading strategies, and to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onitoring.
    And I suggested two instructional models, Pearson’s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and the ‘Process-centered Comprehension Model’ that was developed by the writer of this paper, Myeong-wan Noh. These two instructional models heavily depended upon the Vygotsky’s ZPD(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Scaffolding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wo points: One is that the concept of literacy is highly reader-based cognitive, constructive, and sociocultural processes, and the other is that the teaching of literacy even in the early stag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reader-based strategic,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ctivities.
    【Key words】literacy, literacy education, cognitive-constructivism, schema, 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scaffolding, curriculum of literacy education, skills instruction, strategy instructioin,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process-centered instructional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