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대학 질관리를 위한 준거 개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3
36P 미리보기
사이버대학 질관리를 위한 준거 개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1권 / 1호
    · 저자명 : 주영주, 이주희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초록

    국가 차원의 정보화 지원정책과 맞물려 활성화된 이러닝의 붐은 사이버대학의 출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2004년 현재 17개의 사이버대학이 학위수여의 정식 인가를 받아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사이버대학의 사회적 인식은 긍정적이라 할 수 없으며, 운영 중인 17개 대학도 낮은 등록률 등으로 현실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이버대학이 교육기회의 확대에 기여하고, 양질의 교육이 활성화되는 교육의 장으로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이 확보되어야 함이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그러나,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해 구체적인 절차나 조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에, 사이버대학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증하기 위한 현실적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관리 체제 개발을 위해 지침이 될 수 있는 준거 개발을 위한 실증적 차원의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준거 설정에 있어, 국내 사이버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통합하는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본 연구는 3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로는 정해지지 않은 미래의 준거 도출 등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여,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이에 대한 세부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이어, 2단계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의 관점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이버대학의 현장 운영자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재검증하였고, 국내의 현재 질관리 수준을 점검하였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결과의 타당성을 재검증하였으며, 집단간의 견해 차이가 있는 지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전문가 집단과 운영자 집단, 학습자 집단의 합의를 이룬 7개의 핵심영역과 이에 대한 하위범주로서의 세부 평가항목 70개가 도출되었다.

    영어초록

    Internet based long-distance education has grown rapidly, especially at the higher educationlevels. Despite the growing use of internet based education, however, quality in cyber education remains a critical issue.This study aims to identify criteria for quality assurance that are properly adapted fordomestic needs and are based on empirical evide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sisted three phases. First,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search for quality criteria. Second, the results found through the Delphi method were verified through surveys of field practitioners. Finally, they were verified through surveys of students in cyber universities.As a result, seven key areas and seventy sub-items were identified. The seven kea areasessential for quality assurance in cyber universities are 1)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process, 2)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3) System, 4) Student and Faculty support, 5) Human Resources, 6) Institutional Support,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and 7) Evaluation and Assessment. In each area, there are sub indicators essential for ensuring quality in cyber universities so that the final list of criteria includes 70 distinct indicatorsIn addition, a survey of field practitioners was administer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and the actual existence of qualityindicators. The survey revealed a substantial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and the actual existence of established quality indicators. This fact reveals the necessity for endeavors that can lead to greater assurance of quality in domestic situations.Although this study identified quality indicators on an institutional level, to construct acomplete quality assurance system,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on the quality indicators necessary to assess specific program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re be more preciseinvestigations done to determine how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compareswith the actual existence of established quality indicators; these investigations could hopefullyincrease understanding about how providing assurance of educational quality might strengthencyber institutions' competitiveness.Key words : Cyber University, Quality Assurance, Quality criteria(Key area, indicato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