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검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0.03
23P 미리보기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검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16호
    · 저자명 : 박인기

    목차

    1.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여하는 철학적 가정
    2.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의 형식에대한 검토
    3.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 선정’의 준거에 대한 검토
    4.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종합비판

    초록

    이 연구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가 지니고 있는 형식적, 내용적, 이념적, 기능적 성
    격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목표의
    분석이 어떤 틀에 의 해 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규범적으로 정립하는 노력을 자동적으로 포함 한다.
    목표는 교육과정에 대한 어떤 철학적 가정이 있음으로 해서 형성될 수 있다. 목표는 단순한
    機能的장치가 아니라, 언어 현상에 대한 형이 상학적 이상이다. 그리고 그것은 언어 현상에 서
    추출된 당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그것은 가치 실천의 토대이다.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
    여하는 철학적 요소로 학문이 지배하는 가치 체계, 인간관, 학습관, 지식관, 언어(문학)관 등이
    있다.
    문서로 된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는 형식면에서 포괄적 성향이 강하다. 그렇게 되면 실천 실
    체를 강하게 이끄는 목표가 되지 못할 수 있다. 또 수업 차원의 목표들은 행동주의 학습의 전
    통으로 목표 진술 형식이 지나치게 분절화되는 경향도 있다. 언어적 경험을 삶의 성장과 호웅
    시키는 목표 형식이 아직은 미흡하다 목표라는 형식을 공학적 체제로만 파악하여 탈목표의
    발상을 가지는 데에 익숙하지 못하다.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 선정의 준거는 본질적 준거와 절차적 준거로 구분할 수 있다. 본질적
    준거로는 심리적 요구, 사회 · 문화적 요구, 교과 지식의 요구 등에 따라 정해진다. 의사소통
    행위의 사회 · 문화적, 이념적 맥락을 더 깊이 연구해야 한다. 절차적 준거로는 대표성, 명료
    성, 논거 가능성, 일관성, 실행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의 경우, 대표성과 논거 가능성 등
    에 서 미흡한 면이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의 실질적 내용을 결정하는 動因으로 언어사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언어를 통한 사회적 · 문화적 실천 등을 설정한다. 이들은 연속체로서 작용한다. 이들은 각기
    개인의 학업 성장, 사회화, 사회 변혁이라는 교육적 가치에 연계된다.
    이상의 관점을 토대로 우리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 :1) 목표 · 이념과 관련된 연구 담론의 빈약, 2) 이념적 목표와 내용과의 연속성 미약, 3)
    ! 실용주의적 성향에 대한 형이상학적 이상 부족, 4)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무분별한
    : 경사, 5) 언어 기능의 형식 요소에 대한 경사, 6) 인문성 본질에 대한 자각 미흡, 7) 국어교과
    의 학제성에 대한 전략적 배려 미흡.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1yze the forma1, content, id∞logica1 and
    functiona1 characteristics of the 7th Korean language cuniculum objectives and to
    make a critica1 review of the validity of that 0비ectiv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 effort to build an standard ana1ytic framework of cuniculum 0비ective is
    naturally included.
    The concept of curriculum objective is used in broad sense in this study.
    Namely, the character of subject, ideology, direction, abstract content, content
    system and assessment principle are a11 regarded as a sort of objective.
    An objective can be formed based on a specific philosophical assumption for
    curriculum. An objective is not a simple functiona1 device but a metaphysica1 idea1
    of verba1 phenomenon, being extracted from verbal phenomenon which showed
    what objective should be. Accordingly, that’s a basis of va1ue implementation.
    There are philosophica1 elements involved in the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value system govemed by discipline, view of human being, academic
    habit, and outl∞k on knowledge and language(literature).
    The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published by govemment has a
    strong comprehensive disposition in its form. But such a disposition might get
    objective itself to fail to provide a strong drive toward practice. Moreover, the
    objectives in instruction level have been described too fragmentarily because of the
    tradition of behavioristic learning. There have not been enough attempts to develop
    verbal e째erience in concert with growth of life.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objective only in light of engineering system makes it difficult to create aconception of being out of objective.
    The selection criteria of Korean language curriculwn objective are divided into
    substantia1 and procedura1 ones. The substantia1 criteria are deterrnined by
    psychologica1 need, sociocultura1 need and need for subject knowledge, and the
    sociocultura1 and ideologica1 contexts of communication behavior should be deeply
    studied. The procedura1 criteria include representation, clarity, defensibility,
    consistency and feasibility. our curriculum lacks in representation and defensibility.
    Verba1 ability, communication skiU and language-based sociocultura1 practice are
    selected as the factor of determin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objective. Those
    work in succession and are connected to persona1 academic growth, socia1ization or
    socia1 reforrn.
    From the above-mentioned point of view, Korean language curriculwn 0비ective
    could be critica11y said to be deterrnined without enough study or discussion on
    objective and ideology, provide insufficient continuity of ideologica1 objective with
    content, offer poor metaphysica1 idea1 for practica1ism, lean toward new libera1istic
    ideology discreetly or toward forma1 elements of verba1 function, recognize the
    substance of the hwnanities poorly, and give insufficient strategic consideration to
    the inter-disciplinary system of Korean languag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