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ID(Instructional Dev elopment)프로젝트 팀에서 팀리더의 리더쉽 스타일이 교수설계자의 업무성과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1996.11
13P 미리보기
ID(Instructional Dev elopment)프로젝트 팀에서 팀리더의 리더쉽 스타일이 교수설계자의 업무성과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13권 / 2호
    · 저자명 : 김미정

    목차

    Ⅰ.서 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Ⅳ.연구결과 및 해석
    Ⅴ.논 의
    Ⅵ.결 론
    참 고 문 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수개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팀리더의 리더쉽 스타일이 교수설계자의 업무성과와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총 55명의 교수설계자들이 참여하였고, 리더쉽 스타일은 팀구성원들인 교수설계자들에 의해서 측정되었고, 업무성과는 팀리더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만족도는 교수설계자들의 자신에 의해 평가되어졌다. 독립변인은 리더행동기술설문지(LBDQ)에 의해 측정되는 프로젝트 팀리더의 리더쉽 스타일(과제중심형과 인간관계 중심형)과, 교수설계자의 과거의 프로젝트 참여여부이고, 종속변인은 교수설계자의 업무성과와 만족이었다. 모든 교수설계자들의 업무성과는 리더쉽 스타일과 과거 프로젝트 참여여부와 상관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수행한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만족부분에 있어서는 인간관계 중심형의 리더하에 있는 교수설계자들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교수설계자의 업무성과가 개인의 욕구성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팀이 속해 있는 발달단계, 업무구조, 전문직업인의 특성, 리더쉽과 다른 상황적 변인들과의 차별화의 어려움, 조직간의 경계 등이 논의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leadership style on instructional des igners performance and job satis faction in ID project teams. It includes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leadership behavior and the ins tructional designers job- relevant experience as a s ituational variable.T he participants were Fifty five ins tructional des igners within ongoing ID projects (29 females and 26 males ), drawn from private indus trial organizations , government, and univers ity ins titutions in the US and Korea. T he number of team leaders who participated in and rated the ins tructional des igners performance were thirt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 tudy were leadership behavior which has two dimensions :initiation of s tructure and cons ideration; and instructional des igners job- relevant experience. T he two leadership dimens 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Form XII of the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 tionnaire (LBDQ). T 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s tructional des igners performance rated by the project team leader, and job satisfaction rated by the instructional designers.The instructional designers tended to perform s imilarly, regardles s of which of the two leadership styles of the leaders they worked with byt they were more s atis fied with overall facets of the job under the cons iderate leader than those under a s tructure initiating leader. No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leadership s tyle and job- relevant experience. Prior experience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performance and satis faction. Although performance did not show as 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atis faction, it was found that effects of performance on growth nedd satis faction was s ignificant.Alternative explanations included the impact of team development s tages on the participants reaction, the shared covariance of leadership style with contextual variables, and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boundary on the participants reaction. Related to each explana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recommended. In conclus ion, this s tudy implies that ID project team management is not limited to managing resources, such as time and budget. It extends to leading team members in group dynamics and in the larger system, with concern for their individual growth, which will eventually lead them to lead themselv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