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과 교육 기반으로서의 일상성 비판 : 들뢰즈의 시각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2
19P 미리보기
사회과 교육 기반으로서의 일상성 비판 : 들뢰즈의 시각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15권 / 1호
    · 저자명 : 박희만, 남상준

    목차

    Ⅰ. 서 론
    Ⅱ. 들뢰즈 일상성
    Ⅲ. 들뢰즈 일상성이 사회과 교육에 주는 함의
    Ⅳ. 사회과 교육의 일상성 비판
    Ⅴ. 결 론
    참고 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의 기반이 일상성임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사회과교육이 역사와
    전통, 사회과학의 지식과 연구 방법을 비로소 실현되는 장으로 일상성에 귀결될 수 밖에 없기 때
    문이다. 그러나 그 동안의 일상성은 투사(投射)의 모습으로 비춰지거나 공공영역과 대별 되거나
    개별 주체가 뜻대로 조절할 수 있는 고유성으로 이해한 문제가 있다.
    들뢰즈 일상성은 일상성이 지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준다. 들뢰즈의 주장은 방대한 영역에
    걸쳐있지만, 한마디로 일관성의 구도로 수렴된다고 연구자는 본다. 일관성의 구도란 양태에 주목하
    고 양태의 운동과 양태끼리의 순간적인 접점만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사실 엄청난 잠재
    력을 지닌 주장이다. 왜냐하면, 들뢰즈 일상성은 실체 및 동일성(통일성)을 부정하는 것이고, 재현
    과 이미지를 거부하는 것이며, 전제와 이론을 해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욕망과 기계 및
    기관 없는 신체를 긍정하는 것이다.
    들뢰즈 일상성은 사회과교육의 기반인 일상성에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여 일상성이 포개진 기제
    임을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가령 가족주의는 대표적인 포개진 기제이다. 즉, 인문, 사회과학지식의
    대부분은 가족주의를 비판하지 않고 정당하고 타당하며 당연한 것으로 본다. 간혹 가족주의를 비
    판하면서 가족주의의 문제를 지적하는 경우도 가족주의의 포개진 기제를 드러내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들뢰즈 일상성에서는 가족주의의 폐해가 백일하에 드러난다. 즉 가족주의는 만들어진 것임
    을 들뢰즈 일상성은 주장하는 것이다. 가족주의를 만들기 위해 가족주의에서 다소 벗어난 에네르
    기들이 사라지거나 배제되도록 하는 유기체적인 힘을 들뢰즈 일상성은 보여주고 있다.
    사회과교육 기반으로서의 일상성이 곧바로 들뢰즈 일상성과 합치될 수는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사회과교육의 일상성이 만들어진 일상성이고 따라서 또 다른 일상성이 있을 수 있음을 사회
    과교육이 제시하지 못한다면 결국은 만들어진 일상성의 확대재생산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를 극복하는 고민은 계속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intain that the base of Social Studies is ordinariness.
    It is because ordinariness is the ultimate ground wher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Social
    Studies and the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s of social science are materialized.
    However, there has been the problem that ordinariness was considered projection,
    distinguished from the public area, or understood as uniqueness that individual subjects
    can control as they want.
    Deleuze’s ordinariness suggests a new view that ordinariness has. Deleuze’s idea covers
    an extensive area but the present researcher believes that it converges on the plan of
    consistency. The plan of consistency is focusing on aspects and acknowledging only the
    movements of the aspects and the momentary contact point between the aspects. In fact,
    this idea has an enormous potential power. It is because Deleuze’s ordinariness is denying
    substances and sameness(unity), refusing reproduction and image, and deconstructing
    premises and theories. At the same time, it is affirming the desires, machines and bodies
    without organs.
    Deleuze’s ordinariness reveals that ordinariness is overlapped mechanism by providing a
    critical view to ordinariness as the base of Social Studies. For example, Familism is a
    representative overlapped mechanism. That is, most of the knowledg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 does not criticize Familism but regards it as just, valid and natural.
    Sometimes it criticizes Familism and points out its problem, but it does not disclose the
    overlapped mechanism of Familism. However, Deleuze’s ordinariness brings the bad effects
    of Familism to light. That is, Deleuze’s ordinariness maintains that Familism has been
    made up. Deleuze’s ordinariness shows the organic power that removes or excludes
    energies somewhat deviated from Familism in order to make up Familism.
    Ordinariness as the base of Social Studies cannot be exactly coincident with Deleuze’s
    ordinariness. What is obvious, however, is that the ordinariness of Social Studies is made
    ‐up ordinariness and accordingly there can be different ordinariness, and if Social Studies
    cannot prove this, its function is merely the expanded reproduction of the made‐up
    ordinariness. There should be continuous efforts to overcome this proble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