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위학교 교육공동체 구축의 원리와 상황적 조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2.01
15P 미리보기
단위학교 교육공동체 구축의 원리와 상황적 조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구 / 12권
    · 저자명 : 주철안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공동체의 관점과 주요 쟁점
    Ⅲ. 단위학교 교육공동체의 성격과 운영 원리
    Ⅴ. 결 론
    참고 문헌
    Abstract

    초록

    오늘날 우리 학교 현장은 학교붕괴 또는 학급붕괴라는 용어에 의해 지칭될 만큼 교사들의 교과수업과 학생지도활동이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학교 교육에 대해서 불신하고 대신에 학원에 의존함으로써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우리 공교육체제가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점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학자들과 교육전문가, 그리고 교육정책담당자들간에 이견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conditions for building educational community in and around schools. It examined the literature relating to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literature it summarized perspectives on community. They are liberalism, communitarianism, and alternative perspective which is to synthesize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The alternative perspective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balance the integrity of the individual and the necessity of committed relationship. Etzioni points out that authentic communities are responsive to the “true needs” of all community members as reflecting the appropriate balance of order and autonomy.
    Educational community should have the features such as caring community, democratic community, community of learn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community of leaders. In a caring community teachers care students in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Caring means doing everything possible to enhance cognitive, developmental, and social needs of students as persons. In a democratic community students share a classroom rules and the obligation to live this rules in their every day lives. In a learning community all the members are free to learn, reflect and dialogue for inquiry and adventure. In a professional community teachers are committed to the professional ideal as having competence for teaching. In a community of leaders leadership is defined as power to accomplish shared goals. The principal and all the followers have equal obligation to embody community values and to lead.
    To change school from the present formal organization to educational community all the members of schools should redefine their value and roles. When they reflect educational goals and roles, they consider the following principles such as caring and commitment, equality and cooperation,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democracy and openness.
    Building educational community also requires the conditions in schools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The situational conditions in schools are the followings such as small schools,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eacher, opportunities of the development for teachers and staff, teacher' staying at particular school for longer period of time etc.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also be restructured from the function of direction and monitoring to the that of support and service. The schools should be the heart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Finally, building educational community cannot be achieved only by the structural change. It also needs the change of the mind which requires the re-culturing of all the members in and around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