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를 활용한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수업 방안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8
20P 미리보기
영화를 활용한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수업 방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13권 / 3호
    · 저자명 : 한관종

    목차

    Ⅰ. 서 언
    Ⅱ.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방법
    Ⅲ.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수업의 설계
    Ⅳ. 결언

    초록

    사회과는 ‘바람직한 인간의 행동은 어떠해야 하며, 바람직한 인간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를 고민하고 그 고민의 결과를 실천에 옮기려고 노력하는 교과이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런 고민 해결의 한 부분을 영화를 통한 수업을 통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란 가능성을탐색해본 것이다.
    영화는 인간의 다양한 삶을 보여줌으로써 다문화에 대한 탐구를 돕는다. 영화는 설명적이고 요약적인 교과서보다 인간의 삶과 행복, 슬픔에 대해 정서적이고 심미적인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흥미롭고 재미있어 한다. 뿐만 아니라 영화는 인간의 자유나 평등, 정의, 인권 등을 삶과 연결시켜 다양한 관점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가 타문화에 대한 지식적인 측면보다도 정의적인 측면을 더 강조한다는 맥락에서 볼 때 그 도입의 타당성이 더욱 부각된다.
    교사는 다문화 이해라는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영화를 선정하고, 이를 학생들이 감상하도록 하고, 감상 후 토론과 탐구 등의 과정을 통해 반성적인 고찰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서 학생들의 다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영화와 사회과의 결합은 학생 스스로의 흥미와 자기 신뢰에 대한 존중, 연출가(교사)와 관객(학습자)의 수평적 역할에 대한 이해 등을 촉진시켜 줄 것이다.
    영화를 통한 다문화 수업은 학생의 흥미와 요구, 학습 목표와 내용을 반영한 작품 선택 단계, 영화의 중심 내용이나 목표를 잘 파악하기 위한 탐구 단계, 감상 및 반성 단계로 진행되는 영화를 통한 다문화 이해의 과정을 종합하여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사회과에서의 영상 매체(영화) 활용 수업의 실제적인 활용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는 교사의 일방적 전달 방식인 강의식 수업 풍토를 개선하는 데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ocial studies is the subject that try to teach how ideal human being should do and
    what it means to be an ideal human being and then try to put into practice the result of
    the idea. This article is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which can achieve some
    part of this study by instruction through the cinema.
    The cinema helps the inquiry of the multiculture by showing the various lives of human.
    Not only does the cinema explain and offer more emotional and esthetical viewpoint
    about the lives, happiness, and anguish of humans but also keeps the students interest. In
    addition, the cinema becomes useful materials to students from a various points of view,
    connecting human's freedom, equality, justice, and right to the life. The validity of the
    instruction will be brought to the fore front more, considering the context at the focus
    more on the affective side of other cultures than cognitive for the educational objective on
    multiculture.
    Teachers make students understand better in improving abilities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They can achieve their learning objective by making them watch this and discuss
    through reflective consideration in order to attain the learning objective in understanding
    multiculture. Connecting cinemas to social studies would promote the student's own
    interest, the respect of self-confidence and understanding the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ulticultural instruction through the cinema is made by combining the process of the
    multicultural understand through cinemas, student's interest in instructional model in social
    studies, the selection of the cinema. This is considering the learning objective and contents,
    inquiry for the better grasp of the cinema's theme, and appreciation and reflec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help improving unilateral lectures in the classroo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by facilitating the usage frequency of the audio-visual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