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서사 계열체 이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19P 미리보기
서사 계열체 이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 1권 / 1호
    · 저자명 : 류철균

    목차

    1. 서론
    2.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서사성과 사건성
    3. 사용자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4 가지 서사 패턴
    4. 서사 계열체 이론 -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시간성 구현 원리
    5. 결론
    참고문헌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 시간성(temporality), 사건(event), 시퀀스 형 서술구조(Sequence type narrative structure) 루프 형 서술구조(Loop type narrative structure) 내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데이터베이스 형식(Database form)

    초록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네트워크화된 컴퓨터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이다.
    1990년대 디지털 미디어의 대중화는 서사물(敍事物)의 성격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창작과 수용의 형식에서 디지털 미디어는 작가가 쓰고 독자가 읽는다는 일방향성에 작가가 쓴 서사를 독자가 선택, 조작하여 다시 쓴다는 상호작용성을 첨가시켰다. 그리하여 하이퍼텍스트 소설, 인터랙티브 영화, 컴퓨터 게임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의 서사물들은 상호작용 서사, 즉 독자가 누구냐에 따라 서사의 내용이 달라지는 서사물이 되었다.

    영어초록

    A storytelling user of MMORPG(Massive Multiuser On-line Role Playing Game) downloads the game program from the client server to his own computer, clicks to choose his own character and moves it, and then sends this status to the server computer the game company. This process can achieve media-combination and media-democracy and show new possibilities for the art of storytelling which does not exist prior to the computer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ing the ideal compositional form to make digital storytelling with MMORPG and theorize it.
    MMORPG is not only a game but also a social virtual world. In this world, users do not only play a game, but live out another life through this game.
    In this paper, we understand the user's understanding of his MMORPG experience "as a social life in a virtual world”. We analyze such cases being materialized in MMORPG to categorize 4 basic narrative patterns.
    First we have "Bridging Story", which links one point to another point. Secondly, there is the "Active Bridging Story", which proactively brings one to the other point. Actually it is originated when the player acts as an intermediary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another person. The "Blocking Story" involves cornering and hoarding to intercept other users' actions and frustrate their wills. Finally "Active Blocking Story" is the most dominant. It blocks other users' will systematically through an organized process.
    Through MMORPG, users experience increasing political influence through the bonding of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 users.
    To realize such unity and democracy in MMORPG, it is crossed between the storytelling developer and storytelling user in one macroscopic line.
    In order to clarify developer storytelling and user storytelling into one principle, we introduce syntagma, paradigm model in semiology and supposed narrative paradigm can be made of the union between narrative form and database.
    A developer creates a game world by introducing a story with a background and narrative form; and the user, entering this world, experiences each facet of the narrative one by one as a new paradigm. And then the user, who has experienced these series of paradigms that have been created by the developer, utilizes these series in his own manner and creates another new story.
    So narrative form and database are united with repetition of narrative and paradigm. This union i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storytelling which chooses narratives simply from the database.
    In MMORPG storytelling, the database exists as a menu and can be still selected even after one narrative is played out.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preparing for the constantly, new convergence of the narrative and the database, this can be seen as a true narrative paradigm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