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본 연구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 138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 문성이 네트워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자격 특성에 따른 네트워크 활동은 지역사 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 경력이 높을수록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과 클라 이언트 의뢰를 더 많이 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학교 근무기간 이 많을수록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과 사업연계를 더 많이 하였으며, 교육 및 연수를 받는 시간이 많을수록 인적․물적 자원 활용, 사업연계, 클라이언트 의 뢰를 더 많이 하였다. 둘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성과 네트워크 활동의 각 하위요인 간에 상관관계는 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사업연계,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과 정보교 환,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과 클라이언트 의뢰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들 간 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성이 네트워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 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인적․물적 자원 활용에 영향을 미 치고, 전문조직의 활용,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정보교 환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전문조직의 활용,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자율성 에 대한 신념은 클라이언트 의뢰에 영향을 미치고, 전문조직의 활용,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은 전체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다른 관점에서도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들을 개발함으로써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Ⅰ. 서 론
1. 문제제기
아동․청소년기의 학생들은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사회 화되어간다. 학교는 아동․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잠재 력과 지적능력을 증진시키고 전인교육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삶 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생활의 터전으로 자리 잡을 수 있어야 한 다.
· 강순영(2000).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 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효진(2008).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강화를 위한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교 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인하 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애(2009). 아동․청소년의 교육복지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성 화 요소 및 원리,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3호, p. 89.
· 김경애, 김정원(2007). “교육지원체제로서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사 례연구: 노원지역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3호.
· 김예경(2000).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연구: 지역사회 복지관의 사회복지사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 김인숙, 우아영(2003). “부천지역 여성복지 관련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와 특 성”, 한국사회복지학 제53권, p. 179-208.
· 김재환(2005). 자활후견기관간의 네트워크 특성과 네트워크 중심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노형진(2006). SPSS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 박승규(2001).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 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성우(2009).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2라운드 사업 운영 방향 모 색”, 2009년 달서 1․2지역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남부희망네 트워크’ 종합보고회 및 심포지엄, 대구광역시 남부교육청 교육복지사업 전담팀, p. 58.
· 배은영(2007).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백민희(2008).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수행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금선(2008).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교와 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병렬(2009). 교육복지사업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서울지 역 교육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현명(2009).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자원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여금숙(2001).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전문성에 여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정자(2006). “사회복지 조직 간 협력관리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 회복지학 제58권, p. 37-63.
· 유명재(2008). 사회복지서비스 조직간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목포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태균, 김자옥(2001).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보기관간의 네트워크 특성 및 네 트워크 상에서의 중심자적 역할정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보 장학회 제17권 제2호, p. 20-48.
· 윤미혜(2005).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철수(2005).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사회복지 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 윤철수, 진혜경(2006).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6호, p. 221-246.
· 이유미(2009). 학교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요인이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 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학교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이현주(1998).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간 관계: 장애인복지 관련조직을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혜영(2005). “빈곤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 업”,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 제84호, p. 4-6.
· 이혜원, 우수명(2005). “학교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의 특성에 관한 연 구Ⅰ*: 서울시 강서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복지학, p. 119-146.
· 이효정(2006). 학교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경선(2007). 한국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 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재일, 권복순, 조운희, 이경은, 이성국(2005). 학교사회복지, 사회복지개발 연구원. 정영림(2007).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 청춘화(2006). 장애인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진혜경(2006). “지역사회복지관과 학교의 연계 협력 방안”, 청소년복지연구 제 8권 제2호, p. 25-47.
· 한국교육개발원(2004).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내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협력 실태조사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2004).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내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협력 실태 조사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2007).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백서 2003-2007, p. 51.
· 한국교육개발원(2007). 2007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 한국교육개발원(2009).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연수프로그램: 프로젝 트조정자용, p. 33.
· 함철호(2003).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관 간 연계의 효과성 평가: 지역 사회복지협의체 사업의 참여자와 수혜자의 태도”, 한국사회복지학 제55 권, p. 309-339.
· 홍경준(2002). “전주지역 자활 관련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한 국사회복지학 제49권, p. 7-33.
· 허숙민(2007). 사업의 형태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