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학봉, 2005, 『일본에서 배우는 고령화사회 국토 』, 삼성경제연구소
· 정상철, 2002, 『부동산경제론』, 형설출판사.
· 김형선, 2008, 『부동산정책론』, 부연사.
· 하성규, 2006, 『주택정책론』박영사.
· 조주현, 2002, 『부동산학원론』, 건국대학교출판부.
· 산업비전2020연구팀, 2005, 『한국산업의 발전비전2020(II)』, 산업연구원.
· 김현기 외 4인, 2009, 『2018, 인구변화가 대한민국을 바꾼다』, 한스미디어.
· 폴 웨블리 외 2인, 2009, 『라이프심리학』, 다산북스.
· 앤서니기든스, 2001, 『현대사회학(4판)』, 을유문화사.
· 박영숙외, 2009, 『유엔 미래보고서』, 교보문고.
· 김광수경제연구소, 2009, 『버블붕괴와 장기침체』, 휴먼북스.
· 유태환외 5인, 2008, 『양극화시대의 한국경제(노무현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평가)』, 후마니타스
· 마쓰다니아키히코, 2004, 『저출산 고령화시대의 경제공식』, 명진출판
· 김수현, 2008, 『주택정책의 원칙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 이건영외, 2005,『주택문제의 해법』, 삼성경제연구소.
· 박재룡, 2009, 『주택정책의 오해와 진실 : 주택시장을 이해하기 위한 5가지핵심 질문』, 삼성경제연구소.
· 오니시 다카시, 2009, 『인구감소시대의 도시계획』, 한울아카데미
· 유선종, 2009, 『미래사회에서 보는 노인주택』, 청람
·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이숲
· 서기수, 2007, 참여정부의 3대 부동산 정책의 환경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박청일, 1999, “노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도시노인의 생활실태와 제도적 문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김영동, 2008, 고령화시대를 대비한 주택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신항섭, 2008, 부동산정책 신뢰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문성만, 2007, 부동산 주택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곽순오, 2009,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미선, 2009, 부동산정책이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국토50년 : 국토개발연구원 1996
· 주택백서 : 건설교통부 2002
·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2006, 『고령사회 주거지원 종합대책』.
· 강명구외, 2007 『사회적 양극화와 주택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최숙희 외, 2007, 『한일 고령화의 영향과 파급효과』, 삼성경제연구소
· 국회입법조사처, 2008 『새정부 주택정책의 진단과 과제』.
· 변창흠, 2008, 『이명박 정부 부동산 정책 평가와 과제』, 사회경제학계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
· 신항섭외, 2009,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정책 신뢰도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 전광섭, 2008,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정책 과제』.
· 김문현외, 2008, 『서울시 주거환경실태와 주택정책방향 연구 : 자치구별인구가구구조와 주거환경 변화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윤준선·이창석, 2007, 『새 주거문화 변천의 이론적 접근과 미래주거 전망』,부동산학보 31.
· 윤주현외 2인, 2006, 『주거양극화의 현황 및 과제』, 국토연구원.
· 김현아외, 2004 『주택공급체계의 국내외 비교분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배순석, 김근용, 전성제 외, 2007, 『주택수급여건 변화에 대응한 주택공급체계 개편방안 : 주택보급률 110%초과, 고령화 및 저출산에 대한 대응』, 국토연구원.
· 이수욱외, 2007, 『부동산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한 정책방향 연구: 인구와 가계자산 변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 김현아, 허윤경, 2009 『최근 주택공급 감소의 파급효과와 중단기 주택수급
· 전망 : 주택공급 정상화를 위한 정책전환의 필요성을 중심으로』,한국건설산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