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비평]
1. 정의 - 동양,서양,현대 호스퍼스
2. 구분 - 자연미,예술미,순수미,우아미,숭고미,희극미,비극미
3. 미술기준 - 모방론, 표현론, 도구론, 형식론, 예술정의 불가론, 제도론, 미적교육론
4. 미학역사 - 그리스로마, 중세, 르네상스, 근대, 모더니즘, 현상학적, 비판적, 기술복제와 가상실제
[미술의 기준]
1. 모방론
그리스
중세
르네상스
낭만주의
플라톤 - 미메미스,침대의 비유, 테크네 획득기술, 생산기술)
아리스토텔레스 - 미메시스,기술 테크네
다빈치
르브룅
2. 표현론
크로체 - 직관
콜링우드 - 인지
톨스토이 - 감염
3. 도구론
서양 플라톤
동양 수신
4. 형식론
클라이브벨 - 의미있는 형식, 평면성, 사물성
로저프라이
그린버그 -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아방가르드, 키치
마이클프리드
5. 예술정의 불가론
비트켄슈타인 - 가족유사성
와이츠 - 예술정의 불가론
6. 예술제도론
단토 - 예술계
디키 - 예술제도론
시각적 문해력
[서양미학]
1. 그리스
1) 플라톤 - 테크네, 이상계, 현상계
2) 아리스토텔레스 - 수학적 미(크기, 질서, 균제), 미와 선의 관계, 예술가, 미적 경험, 카타르시스, 예술의 자율성
2. 로마
환영주의 미학
3. 중세
1) 플로티누스 - 절대자, 유출, 반성, 예술, 감각적 미
2) 아우구스티누스 - 수적균등, 마음으로 보는 미, 미의 객관적 속성, 감각적 미, 예지적 미
3) 아퀴나스 - 미, 불완전한 미, 완전한 미, 예술의 작용, 완전성
4. 르네상스
1) 알베르티 - 저서, 예술, 미의 원리
2) 다빈치 - 이상미, 시각을 매개로 한 회화, 예술적 모방, 인간
5. 근대
1) 데카르트 - 미, 합리론, 신고전주의, 프랑스 아카데미
2) 베이컨 - 미, 경험론, 낭만주의, 개인주의적 표출, 상상력, 감정
3) 칸트 - 표상(지각표상, 기억표상, 상상표상) 감성, 감각, 오성, 이성, 심연, 판단력, 판단, 취미론, 취미판단(무관심성,취미의 이율배반, 합목적성의 형식), 판단력 비판, 미적판단(무관심성, 보편성, 필연성, 합목적성의 형식), 예술(쾌적한 기술, 아름다운 기술), 기술, 예술가, 숭고, 숭고미, 자연미
4) 헤겔 - 정신(주관정신,객관정신,절대정신), 자연미, 예술, 예술미(감각, 변증법, 인체묘사, 예술미로 설명하는 이상), 예술의 3형식(상징적형식, 고전적형식, 낭만적형식)
6. 모더니즘
7. 기호학적 관점
1) 소쉬르 - 세계관, 구조주의, 랑그, 파롤, 기표, 기의
2) 퍼스 - 실용주의, 기호, 삼원론
8. 구조주의
1) 롤랑바르트 - 집단적 무의식, 외시의미, 함축의미
2) 라캉 - 무의식
3) 랭거 - 표현적 상징주의, 예술 설명하는 7가지 개념, 예술 속에서 발현되는 7가지, 예술의 역할
9. 후기구조주의
1) 푸코 - 후기구조주의 분석초기, 분석후기, 에피스테메
2) 데리다 - 해체주의, 기의에 따른 기호의 분류, 탈형이상학
3) 들뢰즈 - 감각론, 베이컨(기관없는 신체, 히스테리, 감각으로서의 눈, 리좀(접속, 이질성, 다양성, 비의미적 단절, 지도그리기, 데칼코마니)
10. 현상학적 관점
1) 메를로퐁티 - 몸, 지각, 예술작품 미학, 지향성, 로댕
11. 비판적 관점
1) 아도르노 - 고뇌, 전율, 고뇌+전율, 키치
2) 그린버그 - 자기비판적 환원주의, 평면성
3) 저드 - 회화에서 조각으로 사물성의 변화과정, 특수한 오브제
12. 페미니즘
1) 오언스
13. 기술복제와 가상실재
1) 벤야민 - 대중문화의 유입, 작가작품의 죽음, 기술적 복제, 알레고리, 아우라, 아우라의 붕괴, 의례가치, 전시가치, 미디어는 메시지다
2) 보들리야르 - 마르크스주의, 시뮬레이셔니즘(시뮬라시옹, 시뮬라크르), 시뮬레이셔니즘 입각한 사회
3) 현대적 디지털 아트 - 디지털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테크놀로지 미술, 뉴미디어
[동서양 미]
1. 서양 - 이성과 감성, 정반합, 변증법, 변증법의 끝 탈분화, 자연
2. 동양 - 순환적 사고, 음양오행, 무위자연, 유불도와 화론
3. 중국 동화주의 미의식 - 천일합일, 의경식 화론
4. 한국 - 신인묘합, 유불도를 근거한 일원론적 사고, 시훤(시원함)의 미학, 한국만이 지니고 있는 미(멋, 풍류, 해학, 비애, 신명, 소박, 질박)
5. 미학
1) 야나기 무네요시 - 비애, 한, 선의 아름다움, 흰빛, 민화
2) 고유섭 - 한국미의 특징, 구수한 큰맛, 무기교의 기교, 무관심성
3) 최순우 - 한국미의 특징, 서정적 아름다움, 백색의 미, 고요의 미
[기타 미학]
1. 빙켈만 - 고대미술 4단계(고양식, 숭고양식, 미양식, 모방양식)
2. 오브제 - 미술에서의 오브제, 뒤샹의 레디메이드, 뒤샹의 레디메이드가 현대미술에 미친영향
3. 관계미학
4. 오브제(피카소, 뒤샹, 초현실주의, 팝아트)
5. 기타
후기구조주의 미학
*저급유물론
*아브젝션
*언캐니
*엔트로피
*아비투스
*스펙타클
*신미술사
*유목민 노마드
*유니즘
*지표성
*페티시즘
*응시(임상적 응시, 식민주의적 응시, 관광적 응시, 남성적 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