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92개
-
해상운임2025.01.221. 해상운임의 의의 해상운임은 선사가 선박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한 대가이며, 운임의 수준은 시장경제의 원칙인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정기선운송에 있어서는 항로별로 해운동맹이 결성되어 운임률을 책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선사가 징수하는 시장운임은 운임률보다 훨씬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시황에 따라 변동폭도 크다. 2. 지급시기에 따른 분류 해상운임은 지급시기에 따라 선불운임(Freight prepaid)과 후불운임(Freight to collect)으로 구분됩니다. 선불운임은 CIF 또는 CFR 조건의 수출...2025.01.22
-
국제간 화물운송2025.01.241. 국제간 화물운송의 기본이념 무역거래의 주된 특징은 거래당사자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무역거래의 이행과정에서는 필수적으로 공간 및 시간적 장벽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극복하느냐 하는 과제가 제기된다. 이를 위해 일련의 운송방식과 수단을 개발해왔다. 무역운송의 목표는 국제간 물적 이동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재화의 소비효용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2. 운송방식의 발달 무역운송계에서는 무역화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일련의 운송방식과 수단을 개발해왔다. 해상운송, 육상운송, 항공운송 등이 발달해왔으며, 1960년...2025.01.24
-
해상운송의 정기선과 부정기선 운송 방식2025.01.291. 정기선 운송 정기선 운송은 정해진 항로를 일정한 운항계획표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합니다. 정기선 운송은 주로 공업제품 등의 소량화물과 컨테이너화물 등 일반잡화를 운송하는 데 이용되며, 운임동맹이 결성되어 운임이 결정됩니다. 또한 화물의 다수에 관계없이 고정된 항로를 반복 운항하기 때문에 많은 선박이 필요하며 경영조직규모도 거대합니다. 2. 부정기선 운송 부정기선은 정기적인 항로가 없는 선박으로, 운송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로 어느 곳이나 운항합니다. 주로 산물(bulk cargo) 인광석, 곡물, 원당...2025.01.29
-
[국제물류론]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1.281. 컨테이너의 의의 컨테이너(container)란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게 제작된 규격화된 운송용기를 말한다. 컨테이너를 이용한 운송은 운송화물의 단위당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선복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화물을 일시에 적재하고 양륙할 수 있어 운송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를 이용할 경우 최종 목적지까지의 운송 즉, '문전에서 문전(door to door)까지의 운송을 실현할 수 있다. 2. 컨테이너운송의 장단점 1) 장점: 정박기간 단축, 환적의 용이성, 창고료 절감, 화물의 안전성...2025.01.28
-
인코텀즈(Incoterms) 20102025.01.221. Incoterms 2010의 개관 Incoterms는 International Commercial Terms의 약자로서 정식명칭은 International Rul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rade Terms(무역조건의 해석에 관한 국제규칙)를 말한다. 이는 무역거래계약에 있어서 화물거래의 일시 및 장소, 위험의 이전, 소유권의 이전, 운송계약 및 운임의 지급, 보험계약 및 보험료지급, 통관 절차 및 관세지급 및 기타의 경비부담에 대하여 매도인 및 매수인이 어떻게 부담하는가를 국제적으로 통일한 규칙이다...2025.01.22
-
(국제물류론)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1.261. 컨테이너 운송의 개념 컨테이너 운송은 오늘날 국제 무역에서 많이 사용된다. 물류를 포장하거나 하역, 수송, 보관하는 등의 작업에서 육로와 해로, 공로 상에서 복합적으로 경제성과 신속성, 안전성 등을 최대한으로 충족시키며 화물이 수송되는 과정에서 이적을 하지 않고 일관되게 수송할 수 있도록 만드는 도구이다. 컨테이너는 항구적인 성질을 띄며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송 중에 환적을 하지 않고 두 개 이상 다른 운송 형태로서도 수송이 가능하다. 2. 컨테이너 운송의 장점 컨테이너 운송의 장점으로는 화주의 입장에서는 물류 ...2025.01.26
-
무역실무 기초2025.01.161. INCOTERMS 2020 INCOTERMS(International Commercial Terms)는 국내외 물품계약서에 사용되는 당사자간 거래조건에 관한 국제규칙입니다. 각 정형화된 조건(11가지)에 부호(영어3글자)를 붙여 사용하도록 한 규제 규칙이며, 각 정형화(수치화)된 조건에는 매도인과 매수인이 지켜야 하는 의무내용이 10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비용 부담과 위험 부담의 분기점을 정하는 것입니다. 2. INCOTERMS 2020 규칙 분류 INCOTERMS 2020 규칙은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제1그룹은...2025.01.16
-
컨테이너운송의 출현배경2025.01.291. 컨테이너운송의 출현배경 컨테이너 수송의 출현배경은 선박이용증대, 항만생산성 증대의 필요성, 비생산적인 비용의 감소, 노동집약형 탈피, 선박회황시간 단축, 기업이윤의 증대 필요성으로 등장하였다. 새로운 수송패턴의 필요성으로 등장한 컨테이너는 1926년 미국 뉴욕과 시카고 간 철도수송에 컨테이너 19개를 적재할 수 있는 철도운송 차량을 제작 투입한 것이 최초의 컨테이너의 사용이었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 육군 군수품 수송에 해상 컨테이너가 최초로 등장하였으며 전후에도 독일주둔 보급창과 본국 간 물자수송에 계속 사용하여 왔...2025.01.29
-
인코텀즈 ? FOB 와 CIF를 중심으로2025.05.071. FOB 조건 FOB은 'Free On Board'의 약자로 본선인도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핵심은 수출자가 본인의 비용 부담으로 본선에 선적하기까지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 조건의 경우, 수출자는 수출국 내에서의 비용만 부담하게 되므로 수출자가 견적을 낼 때 좀 더 편안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CIF 조건 CIF는 'Cost Insurance and Freight'의 약자로, 직역하면 운임보험료 포함 인도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핵심은 본선 적재를 통한 인도 의무를 다하는 것입니다. 수출자는...2025.05.07
-
FOB와 CIF 조건의 개념과 차이점 비교2025.01.281. FOB 조건 FOB 조건은 판매자가 화물을 선적항의 본선에 적재한 후의 위험과 비용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는 조건입니다. 판매자는 본선 적재까지의 모든 비용과 책임을 부담하며, 그 이후의 운송과 보험은 구매자가 책임집니다. 구매자가 운송사와 직접 계약하고 보험 가입을 통해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주도권을 가집니다. 2. CIF 조건 CIF 조건은 판매자가 운송 계약을 체결하고 목적항까지의 운송비와 해상보험료를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그러나 위험은 화물이 본선에 적재된 시점에서 구매자에게 이전됩니다. 구매자는 운송 절차에 대한 부담을...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