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7개
-
부서별 감염관리 & 의료기구 관련 감염관리2025.01.271. 집중치료실 감염관리 집중치료실에서는 매일 소독제를 이용해 청소하며 오염이 발생한 경우 즉시 청소합니다. 접촉이 빈번한 환경 표면은 일상적인 환경 표면보다 더 자주 청소하고 소독합니다. 혈액이나 체액을 쏟은 경우 500-5000ppm으로 희석한 락스를 사용해 닦습니다. 바닥은 매일, 필요시마다 먼지가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청소하고 정해진 소독액을 사용해서 닦습니다. 방문객은 방문시간과 방문객의 수를 제한하며, 전염성 질환이 있을 경우 출입을 제한하고 손위생과 개인보호구 사용에 대해 교육합니다. 2. 내시경실 감염관리 내시경 시...2025.01.27
-
중환자실 ICU 사전과제-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E-cart, 임종 환자 간호 등)2025.05.14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중환자실은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을 맺고 있으므로 병원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수술실, 회복실, 중환자실 등을 같은 층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환자실의 병상은 각종 의료장비를 배치하고 감염관리를 위해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중환자실에는 간호사 스테이션, 청결물실, 오염물실, 기기창고, 직원 휴게실, 면담실, 의사 당직실, 간호사 갱의실, 출입구, 방문자 대기실 등의 공간이 필요하다. 2. 중환자실 안전관리 중환자실에서는 욕창 및 피부관리, 낙상 예방관리, 육체적 구속(억제...2025.05.14
-
기흉, 혈흉, chest tube 관리2025.01.031. 기흉 기흉은 흉막 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또는 전체가 허탈된 상태를 말합니다. 자발기흉, 긴장기흉, 개방기흉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급작스러운 통증, 호흡곤란, 혈압 하강 등이 나타납니다. 진단은 X-ray로 확인하며, 경한 경우 산소 투여와 침상 안정으로 치료하고 심한 경우 밀봉배액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제거하고 폐를 재팽창시킵니다. 2. 혈흉 혈흉은 폐 열상과 혈관 파열 등으로 흉막강 내에 혈액이 고여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증상으로는 흉통, 청색증, 혈압 하강,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며, 진단은 ...2025.01.03
-
흡인, 분비물 배출을 위한 간호2025.05.071. 흡인 간호 흡인은 기도를 폐쇄하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호흡기능을 증진시키며, 진단적 목적으로 분비물을 채취하고, 분비물 축적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흡인 방법에는 구강인두 흡인, 비강인두 흡인, 구강기관흡인, 비강기관흡인 및 인공기도를 통한 기관 흡인이 있습니다.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흡인 압력, 흡인 시간, 카테터 삽입 길이, 체위 등이 있습니다. 흡인 간호 외에도 수분섭취 및 수액공급, 가습요법, 흉부물리요법 등이 객담 배출을 돕는 간호 중재로 사용됩니다. 2. 구강인두 ...2025.05.07
-
성인간호학 실습 소화기계 관련 진단적 검사 3가지 조사(MRI상부위장관촬영, 대장내시경, 혈관조영술)2025.05.061. MRI 상부위장관 촬영 MRI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기계가 고주파를 발생시켜 인체에 보내면, 인체 내의 수소원자핵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신호를 컴퓨터로 계산해 인체의 모든 부분을 영상화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주로 장기의 염증, 출혈, 천공, 종양 등의 비정상적인 병변 확인을 위해 시행하며, 질병의 진행이나 치료경과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검사 전 금식, 금속류 제거, 정맥주사 확보 등의 준비가 필요하며, 검사 중 시끄러운 소리가 들릴 수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대장내시경 대장내시경은 항문을...2025.05.06
-
임상포트폴리오2025.05.071. 호흡기 내과 실습 실습 중 만난 75세 여성 환자의 의식 수준, 활력징후, 검사 결과, 각종 카테터 관리, 호흡 간호 등을 관찰하고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 간호에 대한 경험을 쌓았으며,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2. 기관절개관 삽입 환자 간호 실습 중 기관절개관 삽입 환자 간호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3. PICC 삽입 환자 간호 실습 중 PICC 삽입 환자 간호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4...2025.05.07
-
여성간호학 Induction Labor(Normal Delivery) case study2025.01.221. 인공 양막파막술(artificial rupture of membranes, AROM, amniotomy) 인공 양막파막술은 자궁경관상태가 양호할 때 자궁수축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양막은 자궁 내로 박테리아가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방어벽으로 양막이 파열된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분만이 이루어져야 한다. 양막이 파열 된 후 24시간 이내가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기간이며, 이 기간 이후로는 양막염 등 감염의 우려가 있다. 또한 양막파막술은 제대탈출이나 아두압박, 제대압박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선진부...2025.01.22
-
급성 골수 모구 백혈병 환자의 히크만 카테터 관리2025.01.061. 급성 골수 모구 백혈병 77세 여성 환자가 급성 골수 모구 백혈병(AML)으로 진단되었습니다. 환자는 2022년 1월 14일 AML 진단을 받고 7월 4일 1차 치료를 받았으며, 8월 23일 골수 검사에서 재발이 확인되었습니다. 환자는 장기간 고농도 영양액, 약물 주입, 혈액 채취 및 공급이 필요하여 히크만 카테터를 삽입하였습니다. 히크만 카테터는 혈관염, 괴사, 경화 등의 혈관 손상과 치료약제 누출에 의한 조직괴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시술 직후 시술부에 모래주머니를 올려놓고, 시술부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 분비물 증가,...2025.01.06
-
A+ 성인간호학 ICU 임상 실습 일지2025.01.201. JCI 실제 적용 첫 날 전체 오티시간에 아주대학교병원은 감염관리에 특히 철저하게 주의하고 신경쓰고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CCU에 간 후에 JCI 인증기준 중 '감염예방과 관리'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실제로 병원에서 환자의 체위변경을 하거나 검사나 전실을 위해 스트레쳐 카트 등으로 환자를 옮겨야 할 때 맨손으로 하지 않고 반드시 청결장갑과 비닐가운을 착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 환자와 접촉한 후에는 반드시 손위생을 실시한다. CCU에는 읍압병실이 2병실이 있는데 그 중 한 곳은 코로나 환자 격리 병실로 이용되었다....2025.01.20
-
간호계획 보고서_전립선비대증 간호진단 3개_ 복압긴장성 또는 긴박성 요실금_조직손상위험성_체액부족위험성2025.01.111. 복압긴장성 또는 긴박성 요실금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복압긴장성 또는 긴박성 요실금에 대한 간호중재를 다룹니다. 배뇨량 및 소변 특성 관찰, 요로감염 증상 확인, 요실금 예방을 위한 회음부 운동 교육 등의 내용이 포함됩니다. 2. 조직손상 위험성 요로카테터 삽입과 관련된 조직손상 위험성에 대한 간호중재를 다룹니다. 카테터 배액 상태 확인, 방광 과다팽만 예방, 카테터 폐색 시 대처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3. 체액부족 위험성 전립선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체액부족 위험성에 대한 간호중재를 다룹니다. 출혈 유무 사정, 수분 ...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