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0개
-
고위험 임신 정리 [만삭 조기파막, 만삭 전 조기파막, 임신성고혈압,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2025.01.211. 만삭 조기파막(PROM) PROM(만삭 조기파막) = 임신 37주 이후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막되는 것. 임신 37주 이후에 파막될 경우에는 파막 후 24시간 이내 80-90%가 진통이 시작된다. 원인으로는 조기파막의 확실한 원인을 알 수 없으나 경관무력증, 선진부의 진입지연, 양수과다증과 다태임신으로 자궁 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 중 체중 증가가 적은 것 등과 관련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아두가 진입되고 있고 다른 이상이 없을 때는 관장을 해주고 24시간 기다려보아 분만의 진전...2025.01.21
-
성인간호학 쇼크의 위험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1개2025.01.291.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 및 추간공이 좁아져 요통 및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탄력적인 추간 조직인 추간판(디스크)에 퇴행성 변화가 생겨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주요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 다리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방사선 검사와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며,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을 고려한다. 2.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에는 수술 승낙서 작성, 마취 승낙서 작성, 수...2025.01.29
-
산후출혈 시나리오 및 간호과정 보고서2025.01.051. 산후출혈 환자 나00님은 12시간 전에 정상분만으로 4kg의 여아를 분만한 초산모이다. 질출혈이 있으며, 복부 통증을 호소하고 불안해하는 상태이다. 간호사는 자궁마사지를 시행하여 자궁저부 촉진과 자궁수축을 평가하고, 오로의 양상을 확인하며 설명한다. 산후출혈의 원인과 증상, 배뇨상태 및 방광팽만, 산후통과 간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대상자의 불안에 대해 지지하고 따뜻하고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보여준다. 2. 체액부족의 위험성 간호진단 1. 산후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활력징후 측정, 출혈 양상 확인 및 출혈 최소화,...2025.01.05
-
위장염 아동 간호2025.01.031. 위장염 위장염은 구토와 설사가 동반될 수 있는 위와 장의 염증이다. 5세 미만의 아동은 매년 평균 2회의 위장염 증상을 보인다. 위장염이나 설사가 있는 영아와 어린 아동은 빠르게 탈수가 일어날 수 있고 소실된 수분과 전해질이 보충되지 않으면 저혈량 쇼크의 위험이 있다. 위장염의 주요 원인은 로타바이러스로,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설사의 원인은 항상 특별한 병인이 발견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설사의 중증도와 탈수 정도에 따라 경구 수분 보충액 제공 또는 정맥 수액 주입 등으로 이루어진다. ...2025.01.03
-
고위험 임신 여성의 임신 후반기 출혈성 건강문제 - 태반조기박리2025.05.011. 태반조기박리 태반조기박리는 임신 20주 이후 태아가 분만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조기 분리되는 상태를 말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고혈압, 자간전증, 자간증, 양수과다증, 다태임신, 외부 복부 충격 등이 있다. 태반조기박리는 1등급(mild), 2등급(moderate), 3등급(severe)으로 분류되며, 외부출혈(80%)과 은닉출혈(20%)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배나 허리의 통증을 동반한 질출혈이며, 자궁이 단단하게 만져지고 압통이 있다. 치료는 임신 주수와 출혈 정도에...2025.05.01
-
급성신부전 간호과정 - 급성 신부전 사례 연구2025.05.091.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정상적으로 소변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져 몸안의 노폐물을 배출하는 것에 문제가 생겨 결국 몸안의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어지고 여러 가지 신진대사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급성신부전은 어떤환자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전신질환으로 과거에는 노년층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젊은층에서도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급성신부전의 원인 및 병태생리 원인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신장 이전의 문제로는 신장으...2025.05.09
-
화상 환자의 간호과정 보고서2025.01.051. 화상의 정의 및 분류 화상은 넓은 의미로 열에 의해 피부 세포가 파괴되거나 괴사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크게 다섯 가지 종류의 화상으로 구분된다. 화염 화상, 열탕 화상, 전기 화상, 화학 화상, 접촉 화상 등이 있다. 2. 화상의 병태생리 화상을 입어 벗겨진 피부의 증발은 정상 피부의 4배이며, 손상된 세포 내에서 칼륨이 빠져나와 고칼륨혈증이 발생한다. 혈관 내에서의 체액의 소실은 저혈압과 혈액량 감소 쇼크를 동반하는 저혈량증이 된다. 또한 화재에 의한 화상의 경우 열과 연기의 흡입으로 폐조직이 손상되어 허파꽈리에 부...2025.01.05
-
중환자실 사전과제2025.01.281. 혈역학 감시 혈역학 감시란 환자의 혈역학 상태 평가 및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진단과 지침(치료 및 중재)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혈역학 감시의 측정 지표로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표 유지를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동맥 내 카테터, 중심정맥관, 폐동맥 카테터 등을 통해 혈역학 지표를 측정하고 관리한다. 2. 호흡기계 감시 호흡기계 감시에는 말초맥박 산소포화도, 동맥혈가스,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환자의 환기 상태와 산소화 정도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2025.01.28
-
소화성궤양 및 위장관 출혈 환자 간호, 수혈간호 보고서2025.01.131. 소화성궤양의 위험요인 및 병태생리 소화성궤양은 H. pylori 균에 의한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와 아스피린의 장기복용, 위산의 과다분비, 점막방어벽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H. pylori 감염은 현재 위궤양 환자의 70% 이상, 십이지장 궤양 환자의 90% 이상에서 발견된다. 흡연을 하는 경우 소화성 궤양 질환의 발생 위험이 2배 증가하며, 소화성 궤양 질환 발생에 강한 가족적 성향이 있어 유전적인 인자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화성 궤양은 소화액 분비 활동에 대한 점막의 방어력 정도에 따라 다르며, 점...2025.01.13
-
산후출혈 케이스, VSIM_Fatime Sanogo,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2개2025.01.151. 산후출혈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질 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것을 뜻한다. 모든 모성사망의 50% 이상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일어나고, 대부분이 과도한 출혈 때문이다. 대부분의 산부들은 임신기간 동안 신체 보상기전의 일환으로 혈액량이 증가(평균 1~2L 정도 증가)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산후출혈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출혈은 혈액역동의 불안정을 초래하고 모성사망과 이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산후출혈은 출산 후 쇠약해진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