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부전 간호과정 - 급성 신부전 사례 연구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 급성신부전 간호과정 acute renal failure case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5
문서 내 토픽
  • 1.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정상적으로 소변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져 몸안의 노폐물을 배출하는 것에 문제가 생겨 결국 몸안의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어지고 여러 가지 신진대사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급성신부전은 어떤환자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전신질환으로 과거에는 노년층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젊은층에서도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2. 급성신부전의 원인 및 병태생리
    원인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신장 이전의 문제로는 신장으로 공급되는 혈액량(수분)의 감소에서 비롯되어 심한 탈수, 쇼크, 심장기능이상(심부전)으로 혈류량이 줄어들면 신부전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신장자체의 문제가 있을 경우로서 신장에 사구체질환, 세뇨관질환, 신혈관질환 등의 병이 생긴 경우 급성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신장에서 정상적으로 소변이 만들어지고 나서 배출되는 길에 문제가 생긴 경우로 요로결석이나 종양 등으로 인한 요로가 막히게 되면 신부전이 발생하기도 한다.
  • 3. 급성신부전의 증상 및 진단
    소변량이 하루 400cc 미만으로 감소하는 핍뇨 증세가 흔히 나타나지만 소변량이 줄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외의 전체적인 신체 증상은 다양하며, 이 중 감염증은 사망의 주된 원인(30~70%)이 될 수 있다. 진단은 임상 경과에 대한 평가 및 혈액검사로 한다. 혈액검사로 혈액 내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요소질소(urea nitrogen) 수치를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 4. 급성신부전의 치료 및 간호
    보존적 요법으로 체액량이 부족한 상태에 있는 환자에서는 신속한 수액공급으로 정상 체액량 상태를 유지하고 핍뇨 상태에 있는 환자의 경우 비핍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약물요법으로 Furosemide, 저용량 dopamine,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 Mannitol 등의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신대체요법으로는 복막투석, 간헐적 혈액투석, 지속적 신대체 요법(CRRT), SLED(sustained Low Efficiency Dialysis) 등이 있다. 간호로는 처방된 수분섭취량에 대한 세심한 모니터링, 영양관리, 피부간호, 감염관리 등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악화되는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급성신부전의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 및 진단, 치료와 간호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급성신부전의 원인 및 병태생리
    급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으로는 저혈량성 쇼크, 신독성 약물, 요로폐색, 급성 사구체신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고 신장 세뇨관 손상이 발생하면서 신기능이 악화됩니다. 또한 염증 반응과 산-염기 불균형, 전해질 이상 등이 동반되어 전신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급성신부전의 발생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급성신부전의 증상 및 진단
    급성신부전 환자는 오심, 구토, 식욕 감소, 피로감,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소변량 감소,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 등의 검사 소견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급성신부전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변량 감소와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은 신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입니다. 신장 초음파 검사와 신장 생검 등의 영상 검사와 조직학적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4. 급성신부전의 치료 및 간호
    급성신부전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신기능 보존을 위한 보존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액 공급,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교정, 요독 물질 제거 등의 보존적 치료와 더불어 필요 시 혈액투석이나 지속적 신대체요법 등의 신대체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소변량,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수액 공급과 영양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 향상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