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1개
-
PICC2025.01.021.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는 말초에서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으로, 항암제, TPN, 수혈 및 정기적 채혈을 위해 사용됩니다. PICC 시술의 목적은 반복적인 정맥 천자로 인한 환자의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고삼투액의 주입이나 수포성 항암제 투여 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ICC는 최소 2주에서 최대 1년까지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이 약하거나 작은 어린이, 노인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PICC 시술 전후 간호 준비물품과 주의사항, 관리 방법 등이 자세히...2025.01.02
-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의 LAAO 수술 간호사례2025.11.151. 심방세동(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은 심방 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로 인해 분당 300~600회의 빠른 불규칙한 맥박이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60세 이후 많이 발생하며 심방과 심실의 리듬 불일치로 심박출량 감소, 혈전 형성, 뇌졸중 위험이 증가한다. 원인은 고혈압, 판막질환, 심근병증, 당뇨병 등이며, 증상은 심계항진, 호흡곤란, 흉통, 어지러움 등이다. 진단은 심전도 검사로 확인하며, 치료는 약물요법, 전기심장율동전환, 전극도자절제술, 메이즈 술식 등이 있다. 2. 경피적 좌심방이폐색술(...2025.11.15
-
혈관조영술(Angiography)의 정의, 종류, 방법 및 간호2025.11.141. 혈관조영술의 정의 및 원리 혈관조영술은 첨단 영상장비를 이용한 혈관 검사로, 특별히 훈련된 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피부에 3mm 정도 크기의 절개를 한 뒤 2mm 내외의 가느다란 카테터를 환자의 혈관에 넣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엑스선을 통해 혈관(동맥, 정맥)을 관찰하는 검사이다. 혈관자체의 이상유무 판별, 각종 장기의 이상유무 판별, 혈관의 동태와 기능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혈관조영술의 주요 종류 심장 및 폐혈관 조영술(심장혈관조영술, 관상동맥조영술, 폐혈관계조영술), 뇌혈관 조영술(경동맥조영술, 추골동맥...2025.11.14
-
NESTEMI 간호진단(2개)2025.01.201. 심근 허혈과 관련된 통증 심근 허혈은 심장 근육으로 혈액 유입이 감소되는 상태로 이로 인해 충분한 산소를 취하지 못하게 된다. 혈액 유입의 감소는 부분적 또는 완전히 심장 근육으로 가는 관상동맥이 막히게 되면서 오게 된다. 심근 허혈은 심장 근육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이는 통증의 주 원인이 된다. 2. 혈전 용해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PCI 시술은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을 통해 관상동맥으로 스텐트가 장착된 풍선카테터를 삽입한 후 스텐트를 막힌 부위에 놓는다. 스텐트 삽입 후 혈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후와 시술동안 항...2025.01.20
-
급성 골수 모구 백혈병 환자의 히크만 카테터 관리2025.01.061. 급성 골수 모구 백혈병 77세 여성 환자가 급성 골수 모구 백혈병(AML)으로 진단되었습니다. 환자는 2022년 1월 14일 AML 진단을 받고 7월 4일 1차 치료를 받았으며, 8월 23일 골수 검사에서 재발이 확인되었습니다. 환자는 장기간 고농도 영양액, 약물 주입, 혈액 채취 및 공급이 필요하여 히크만 카테터를 삽입하였습니다. 히크만 카테터는 혈관염, 괴사, 경화 등의 혈관 손상과 치료약제 누출에 의한 조직괴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시술 직후 시술부에 모래주머니를 올려놓고, 시술부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 분비물 증가,...2025.01.06
-
간호교육팀_요로전환술 및 요루 간호_교육간호사2025.05.061. 비뇨기계 진단검사 비뇨기계 진단검사에는 소변 검사, 요도 분비물 검사, 신장 기능 검사, 혈액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소변 검사에는 단순 소변 검사, 배양 검사 등이 있으며, 신장 기능 검사에는 요비중, 혈청 크레아티닌,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청소율 등이 포함됩니다. 혈액 검사에는 전혈구 계산, 혈액응고검사, 전해질검사, 전립선 암표지자 검사, 호르몬검사 등이 있습니다. 2. 요로전환술 요로전환술에는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Cystostomy), 장도관 조성술(conduit) 등이 있습니다. ...2025.05.06
-
추간판탈출증 수술 케이스 스터디2025.11.171. 추간판탈출증의 정의 및 병태생리 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탈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80% 수분 성분의 수핵과 섬유륜으로 구성되며, 나이 증가에 따라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탄력성이 떨어진다. 외부 자극이나 나쁜 자세로 인해 수핵이 약해진 섬유륜을 밀고 돌출되면 신경근을 압박하여 통증, 저림, 마비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요추 추간판탈출증이 가장 흔하며 좌골신경통이 특징적이다. 2. 추간판탈출증의 진단 및 치료 진단은 단순 방사선 검사, CT, MRI 등으로 이루어지며 M...2025.11.17
-
CAG 간호2025.05.111. CAG(관상동맥조영술) CAG(coronary angiography)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생증 환자에서 상완(요골동맥 또는 상완동맥) 이나 대퇴동맥의 동맥을 통하여 심장까지 가늘고 긴 도관(카테터)를 삽입하여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조영제를 투여하여 X선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찾아내는 진단방법이다. 만약 관상동맥의 협착, 혈전 등 이상소견이 발견되면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 풍선 및 스텐트 삽입, 외과적 수술을 시행받게 된다. 2. 관상동맥 관상동맥은 심장의 근육(심근)에 혈류를 공급하는 동맥들을 ...2025.05.11
-
성인간호학 NSICU 실습 뇌동맥류/지주막하출혈 case study A2025.05.101. 뇌동맥류(Aneurysm) 뇌동맥류(뇌동맥꽈리 ; cerebral aneurysm)는 뇌동맥의 일부에 결손이 생겨 그 부분이 돌출된 것을 말합니다. 즉, 뇌혈관의 일부가 약한 경우에는 혈관벽이 늘어나 꽈리모양으로 불거져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뇌동맥류는 주로 혈관의 큰 분지부에서 발생하는데 뇌동맥류의 혈관벽은 매우 얇고 구조적으로도 정상 혈관과 달라서 쉽게 터집니다. 파열된 경우에는 뇌컴퓨터단층촬영(CT촬영), 뇌혈관조영술로 알 수 있고,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의 진단으로는 자기공명혈관조영술(MRA)으로 알 수 있습니다. 2....2025.05.10
-
성인간호학 외과계병동 실습일지2025.11.171. IV injection (정맥주입) IV injection은 정맥을 통해 약물이나 수액을 투여하는 술기이다. 술기 전 손소독과 5 right 확인이 필수적이며, 곧고 길게 두드러진 정맥에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삽입한다. 혈액이 카테터 내로 역류되면 탐침을 빼내고 카테터를 혈관 내로 진입시킨다. 3-way는 정맥주입 경로 중간에 장착하여 추가 약물을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게 하며, 정맥주입 시 공기를 제거해야 한다. 2.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수술 준비를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Incenti...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