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개
-
A+ 기본간호학(영양과 투약)2025.04.301. 간헐적 위관 영양 간헐적 위관 영양은 구강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을 때 L-tube(코-목), PEG-tube(위)를 통해 영양액을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수행시간은 보통 10분정도 소요된다. 준비물품으로는 위관 영양액, 영양주입백, 영양주입세트, 50cc 주사기, 미온수, 고정테이프, 손소독제 등이 필요하다. 대상자 교육으로는 장관영양 관련 징후 발생 시 알리도록 하고, 급식 전이나 약물투여 전 튜브 위치 확인 이유를 설명한다. 위관 영양의 기능과 섭취에 대해서는 성인의 위관 길이는 보통 7~8m정도이며, 잘못 삽입할 경우...2025.04.30
-
응급간호 일차사정, 이차사정, 환자분류 체계2025.11.111. 일차사정(Primary Survey) 응급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단계로 ABCDE 체계를 사용한다. A(기도): 경추고정 후 기도개방 상태 확인, B(호흡): 호흡 횟수·깊이·양측 균형 관찰 및 산소포화도 측정, C(순환): 맥박·혈압·출혈 여부 확인 및 정맥로 확보, D(신경장애): Glasgow coma Scale로 의식 수준 사정, E(노출과 환경): 철저한 신체검진 후 보온 유지. 각 단계에서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2. 이차사정(Secondary Survey) 일차사정 완료 후 머리부터 발...2025.11.11
-
간호사와 환자의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분석2025.05.011. 간호사와 환자의 치료적 의사소통 이 보고서는 간호사와 환자 간의 대화를 통해 간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와의 대화에서 경청, 공감, 설명 등의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을 발휘하여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간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2. 위관영양 후 간호중재 이 보고서에서는 위관영양 후 구토 예방을 위해 환자가 30분 이상 앉은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간호중재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이 중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여 환자의 이해...2025.05.01
-
아동간호학 action learning_심실중격결손&모세기관지염2025.05.011. 아동의 호흡기 및 심혈관계 해부 생리 아동의 호흡기와 심혈관계는 성인에 비해 구조적으로 작고 취약하여 호흡기 장애 발생 시 호흡곤란이 쉽게 초래된다. 특히 영아는 거의 비강 호흡을 하며, 코가 막히면 숨쉬기 어려워진다. 또한 심장 이상은 선천성 기형의 약 25%를 차지하며, 대부분 유전적 결함, 비정상적 태아 혈역학,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2. 감염관리 및 비위관 영양 감염 경로는 분비물 접촉, 공기 중 침방울 등이며, 감염관리를 위해 개인위생 철저, 격리, RSV 예방접종 등이 필요하다. 심한 빈호흡이나 수유 시 피...2025.05.01
-
성인건강간호학 임상실습일지 A+2025.01.201. CPM 기구를 이용한 무릎 재활운동 무릎인공관절치환술을 한 환자에게 CPM 기구를 적용하여 재활운동을 하게끔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기구에 종아리를 고정하면 자동으로 무릎의 각도를 85도, 95도, 최대 120도로 천천히 꺾어주어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켜주는 기구이다. 처음에는 환자가 아파하지만 계속하다 보면 오히려 운동이 되고 시원하다고 좋아하셨다. 이러한 자동 운동 기구의 발전에 놀랐다. 2. 환자의 공격적 행동에 대한 대처 중환자실에서 병동으로 올라온 환자가 갑자기 우리를 때리고 팔을 꼬집는 등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다. 파...2025.01.20
-
장폐색 환자의 간호과정 및 사례연구2025.11.151. 장폐색(Bowel Obstruction) 장 내용물의 흐름이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 기계적 요인(유착, 탈장, 장염전, 장중첩증, 종양), 신경성 요인(마비성 폐색), 혈관성 요인(장간막 경색)으로 분류. 주요 증상은 복통, 구토, 팽만, 장음 변화. 진단은 X-선, 바륨 조영술, 혈액검사로 확인. 치료는 약물 투여, 비위관 감압, 필요시 수술 시행. 2. 전해질 불균형(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세포외/내액량 결핍, 과다 또는 이동으로 인한...2025.11.15
-
암 환자의 경장영양 관리: 정의, 보관, 주입 방법 및 합병증 예방2025.01.261. 경장영양의 정의 및 정맥영양과의 차이 경장영양은 위장관을 통해 직접 영양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로 비위관이나 위루관을 통해 영양액을 투여한다. 이는 환자의 소화기계가 기능을 유지하고 있을 때 선호되는 영양지원 방식으로, 장기적으로는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보존하는 데 유리하다. 반면, 정맥영양은 말초정맥이나 중심정맥을 통해 영양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소화기계에 문제가 있거나 경장영양이 불가능한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2. 경장영양액의 보관 및 오염 예방 방법 경장영양액은 냉장 보관이 권장되며, 개봉 후에는 24시간 이내에 ...2025.01.26
-
자궁열상으로 인한 배전체자궁절제술 사례연구2025.11.141.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배전체자궁절제술) 자궁열상으로 인한 산후출혈 환자에게 시행된 응급 수술. 개복을 통해 자궁, 자궁방, 질의 상부를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수술로, 림프절은 제거하지 않음. 수술 후 출혈량 6000cc, 자궁좌동맥 파열 확인. 복강경 수술에 비해 회복기간이 길고 출혈, 감염, 유착 등의 합병증 위험 존재. 수술 후 폐경 상태 경험 가능. 2. 산후출혈 및 자궁열상 (Postpartum Hemorrhage & Uterine Laceration) 36세 여성이 자연분만 후 ...2025.11.14
-
수술후 장마비(장폐색)_Post op ileus 이론 및 중재2025.01.151. 장폐색의 정의 장폐색은 수술 후 기능 장애와 함께 장 운동성의 전반적인 감소를 설명하는 용어로, 기계적 또는 마비적 장폐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술 후 초기(기계적) 장폐색은 수술 후 첫 6주 이내에 발생하며, 유착이 주요 원인이다. 마비적 장폐색은 복부, 골반 또는 후복막 외상과 관련될 수 있으며, 장간막 허혈, 전해질 이상, 복강내 염증, 약물 또는 추가 복부 병리학(폐렴)과도 관련된다. 2. 장폐색의 원인 및 관련 인자 장폐색의 주요 원인은 수술 후 움직임 감소, 복부 암, 마약성/마취제/진정제 약물 투여, 전해질 불균...2025.01.15
-
A+받은 NICU RDS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2025.04.281. 발달 미성숙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발작의 원인은 저혈당이기 때문에 저혈당을 교정하기 위한 치료 및 간호를 통해 대상자의 주요 문제인 발작을 예방할 수 있다. 2. 발작과 관련된 발달지연의 위험 지속적인 발작을 중재하지 않으면 신경계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발작을 빠르게 발견하고 중재하여 신경계 손상을 최소화하고 신생아가 정상적인 발달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발작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발작이 발생하면 주변 환경을 정돈하여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생아는...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