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4개
-
고정기능 IC의 집적도에 따른 분류와 사용 용도2025.01.041. 집적회로(IC)의 개념과 특징 집적회로(IC)는 전자공학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전자부품이다. 집적회로는 하나의 반도체 기판에 다수의 능동소자(트랜지스터, 진공관 등)와 수동소자(저항, 콘덴서 등)를 초소형으로 집적하여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구조로 만든 완전한 회로기능을 갖춘 기능소자를 말한다. 2. 집적회로의 분류 및 종류 집적회로는 집적도, 회로구성 등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집적도에 따른 분류로는 SSI(Small Scale IC), MSI(Medium Scale IC), LSI(Large Scale IC...2025.01.04
-
액정 탐구보고서2025.01.281. 액정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 성질을 띠는 물질로 액체와 같이 유동성을 띠고 있으며, 결정과 같이 규칙적인 배열을 하기도 한다. 액정 중에는 전압에 따라 분자의 배열이 변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LCD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변하여 색이 바뀌는 액정도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온도를 색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2. 액정의 종류 액정은 분자의 배열방식에 따라 네마틱 액정, 스메크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등 세 종류로 나뉜다. 네마틱 액정은 막대 모양의 분자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지만 각...2025.01.28
-
건국대학교 전기전자기초실험2 연산증폭기1 예비레포트 결과레포트2025.01.291. 능동 저역 통과 필터 모의실험 1에서는 그림 1-1의 능동 저역 통과 필터 회로를 LTspice로 구현하고,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관계를 주파수에 따라 분석하였습니다. 실험 1에서는 실제 회로를 구성하여 동일한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모의실험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면 차단 주파수 근처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보이지만, 차단 주파수에서 멀어질수록 오차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측정 시 발생하는 노이즈와 소자 연결의 오차, 유효숫자 등의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2. 능동 고역 통과 필터 모의실험 2에서는 그림 2-1...2025.01.29
-
전자공학실험 14장 캐스코드 증폭기 A+ 예비보고서2025.01.131. 캐스코드 증폭기 이 실험에서는 MOSFET을 이용한 캐스코드 증폭기의 동작 원리를 공부하고, 실험을 통하여 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캐스코드 증폭기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보다 높은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캐스코드 증폭기의 입력-출력 특성 곡선을 구하고, 소신호 등가회로의 개념을 적용하여 전압 이득을 구한 후, 이를 실험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2. 바이어스 회로 또한 증폭기의 DC 동작점을 잡아주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에 대해서도 공부하고, 실험을 통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1. 캐스코드 증폭...2025.01.13
-
실험 04_BJT 기본 특성 예비 보고서2025.04.271. BJT의 기본 동작 원리 BJT는 N형과 P형 반도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접합한 구조로,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라는 3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베이스 단자의 전류가 컬렉터 단자의 전류나 이미터 단자의 전류에서 증폭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증폭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BJT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전류-전압 특성 및 동작 영역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2. BJT의 동작 영역 BJT는 모형과 n형 반도체 3개를 결합하여 만든 소자로서, 그 구성에 따라서 npn형과 pnp형으로 나뉜다. npn형 BJT의 동...2025.04.27
-
[전자공학실험2] 교류 전력 회로2025.04.271. 교류 전력 제어 실험을 통해 교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제어 소자들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슬라이닥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의 진폭을 조절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었고, SCR과 TRIAC 회로를 통해 conduction angle을 조정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와 이론 값의 차이는 제어 소자의 voltage drop과 trigger delay 현상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오실로스코프 측정 오실로스코프로 두 지점의 전압 파형을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통접지를 사용해야 한다. ...2025.04.27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10. Oscillator 설계 A+2025.01.271. Oscillator 설계 이 문서는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수업의 예비 실습 10번 과제인 Oscillator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문서에는 OrCAD PSPICE를 사용하여 주어진 조건에 맞는 Oscillator 회로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로의 동작 특성을 분석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Feedback factor (β)와 Feedback 저항 (R)의 변화에 따른 Oscillator의 동작 특성 변화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1. Oscillator 설계 오실레이터 설계는 전자 회로 설계...2025.01.27
-
디지털집적회로설계 실습 3주차 보고서2025.05.161. NMOS 단과 GND n-diff, ndc, poly를 이용해 NMOS를 그리며, n-diff는 실리콘 웨이퍼에 n-type 도펀트를 도입하고, ndc는 n-diff와 poly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poly는 gate 역할을 하며, pwc는 GND와 p-substate 사이의 연결 역할을 한다. metal은 wire 역할을 한다. NMOS 단은 Boolean Equation에 따라 직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2. PMOS 단과 VDD n-well, p-diffusion, pdc와 poly를 이용해 PMOS를 그리며, meta...2025.05.16
-
실험 21_차동 증폭기 심화 실험 결과보고서2025.04.281. 차동 증폭기 이 실험에서는 능동 부하를 사용한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구성하여, 전압 이득과 CMRR을 측정하였다. 차동 증폭기의 공통 모드 및 차동 모드 전압 이득을 이론적으로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CMRR을 구한 후에 실험을 통하여 이 값들을 직접 구해보고, 이론치와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차동 모드 입력 주파수를 바꾸면서 출력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여 보드 선도를 그린 뒤, 차동 모드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였다. 2. 능동 부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능동 부하의 경...2025.04.28
-
A+ 연세대학교 기초아날로그실험 4주차 예비레포트2025.05.101. PN 접합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 사이에 있는 물질로, 주로 실리콘(Si)이나 저마늄(Ge)으로 이루어져 있다. 순수 반도체에는 자유전자가 없어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13족 또는 15족 원소를 섞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만든다. P형 반도체는 양공을, N형 반도체는 자유전자를 주요 캐리어로 사용한다. PN 접합을 하면 전자와 양공이 확산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며, 이 상태를 평형 상태라고 한다. 순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에 따라 PN 접합의 전류-전압 특성이 달라진다. 2. 다이오드 다이오드...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