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38개
-
척추천자(요추천자) 시술의 적응증, 방법 및 간호2025.11.171.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적응증 요추천자는 신경계 감염질환 진단(뇌수막염, 뇌염), 뇌척수액 압력 측정, 척추관 종양 압력 측정, 지주막하강 내 혈액/농 제거, 출혈·종양·자가면역질환 진단, 뇌압 상승 시 배액, 혈장/약물 척수강 투여 등의 목적으로 시행된다. 척수강의 허리 부분에서 지주막하강으로 바늘을 삽입하여 거미막하 공간을 순환하는 액체를 채취하는 검사 방법이다. 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특성 정상 뇌척수액의 압력은 100-180 mmH2O(6-12 mmHg)이며, 색은 ...2025.11.17
-
성인간호학 신경계 정리2025.01.201. 신경계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인체에서 가장 분화된 조직으로, 중추신경계(뇌와 척수)와 말초신경계(뇌신경과 척수신경, 자율신경)로 구성된다. 신경세포는 세포체, 수상돌기, 축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교세포는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전달물질로는 글루타메이트, GABA, 아세틸콜린 등이 있다. 2. 뇌의 기능 영역 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은 특정 기능을 담당한다. 전두엽은 운동, 인격, 태도, 추리 등을, 두정엽은 감각, 측두엽은 청각과 미각, 후두엽은 시각을...2025.01.20
-
두개내압 상승(ICP) 원인과 병태생리2025.11.161. 두개내압 상승의 원인 두개내 용적은 뇌조직(85%), 혈액(5%), 뇌척수액(10%)으로 구성되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원인으로 두개내압이 증가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수술, 경색, 부종, 경막하/경막외 혈종, 뇌내혈종, 거미막하 혈종, 뇌종양, 감염, 뇌수종, 두부외상, 지속적인 뇌전증 발작 등이 있습니다. 두개내압의 상승 정도는 변화에 대한 뇌의 적응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2. Monro-Kellie 원리와 보상기전 두개내압은 뇌조직, 혈액, 뇌척수액의 총 용적에 의해 생기는 압력입니다. Monro-Kellie 원리에 ...2025.11.16
-
수두증(Hydrocephalus): 정의, 분류, 진단 및 치료2025.11.161. 수두증의 정의 및 병리 수두증은 뇌척수액(CSF) 생산과 흡수기전의 불균형이나 뇌척수액 순환통로의 폐쇄로 뇌실내 또는 두개강 내에 뇌척수액이 과잉 축적된 상태입니다. 뇌척수액의 50-80%는 측뇌실 및 제3,4뇌실의 맥락막총에서 생성되며 시간당 20mL, 일평균 500mL가 생성됩니다. 뇌척수액은 몬로공을 통해 제3뇌실, 중뇌수도관을 거쳐 제4뇌실로 내려오고 거미막밑공간으로 이동하여 거미막융모에서 흡수되어 정맥혈류속으로 들어갑니다. 2. 수두증의 분류 수두증은 순환통로 폐쇄부위에 따라 폐쇄성(뇌실계 내 막힘)과 교통성(뇌실 밖...2025.11.16
-
A+ 뇌수막염 간호과정2025.11.131. 뇌수막염(Meningitis)의 정의 및 분류 뇌수막염은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의 거미막하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세균성 뇌수막염은 뇌막과 뇌척수액의 급성염증으로 의료적 응급상황이며, 폐렴연쇄상구균과 나이세리아가 주요 원인균이다. 비세균성(무균성) 뇌수막염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엔테로바이러스가 90% 이상의 원인이다.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세균성에 비해 전염력이 강하고 1~9세 유소아에서 많이 발생한다. 2. 뇌수막염의 임상증상 및 진단 세균성 뇌수막염의 주요 증상은 열, 오한, 두통, 구토이며 경부강직, ...2025.11.13
-
생리학 서머리(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2025.01.141. 신경계의 개요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됩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말초신경계는 몸의 각 부분에 분포하여 외부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중추의 명령을 각 기관에 전달합니다. 중추신경계는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나뉘며, 기능에 따라 감각신경, 운동신경, 혼합신경으로 구분됩니다. 2.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됩니다. 뇌는 대뇌, 중뇌, 교뇌, 연수 등의 부위로 나뉘며, 각각 감각 및 운동 조절, 정보 중계, 자동 중추 기능 등을 담당합니다. 소뇌는 감각 운동 조절과 학...2025.01.14
-
수두증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hydrocephalus2025.04.271. 수두증(Hydrocephalus : 물뇌증) 수두증은 뇌실의 확장과 뇌척수액의 생산이 증가되거나 흡수가 줄어들어서 생기거나 뇌실계의 정상적인 흐름이 막혀서 생긴다. 수두증에서는 CSF(뇌 척수액 용적)의 양(Volume)이 증가하고 뇌실이 확장된다. 대부분 두개내압이 증가되어 있으며, 아울러 대부분의 수두증은 외뇌실(lateral ventricle)에서 제3뇌실로 척수액의 흐름이 막히는 선천성 중뇌수도협착증에 의해서 발생한다. 2. Pathogenesis 원인 수두증의 원인은 크게 뇌척수액의 과잉 생산, 뇌척수액 유통의 폐쇄,...2025.04.27
-
뇌수막염 스터디 케이스 및 간호진단2025.11.171. 뇌수막염의 정의 및 분류 뇌수막염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수막에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이 침입하여 생기는 염증질환이다. 주로 10세 이하 소아에게 발생하며, 세균성 수막염은 헤모필루스B형 임플루엔자, 폐렴구균, 수막구균이 원인이 된다. 결핵성 뇌수막염은 결핵균이 뇌척수막을 침입하여 발생하며 치사율이 높다. 바이러스 뇌수막염은 뇌수막염의 80~90%를 차지하며 주로 장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다. 2. 뇌수막염의 진단 방법 뇌수막염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한다. CSF 분석에서 그람염색, 균 배양, 백혈구 ...2025.11.17
-
외과계중환자실 뇌내출혈 및 뇌실외배액술 간호2025.11.131. 뇌내출혈(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은 뇌혈관질환의 일종으로 고혈압이 주요 원인이다. 높은 혈압으로 인해 뇌내 세동맥혈관이 괴사되어 미세동맥류가 형성되고 파열되면 출혈이 발생한다. 위험인자로는 흡연, 비만, 불건전한 식습관이 있으며, 외상성 손상, 출혈성 소인, 뇌종양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은 심한 두통과 의식 변화, 인지기능 저하 등이 나타나며, 혈종과 뇌부종으로 인한 2차적 뇌손상이 발생한다. 2. 뇌내출혈 치료 및 간호 뇌내출혈 치료는 혈종 제거와 뇌부종 억제를 목표로 한다. ...2025.11.13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2025.11.111. 신경원(신경세포) 신경원은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신경세포의 구조적 단위입니다. 세포체에는 핵이 존재하며, 수상돌기는 신경흥분을 세포체에 전달하고, 축삭은 신경흥분을 다른 세포로 전달합니다. 신경세포의 축삭이 손상되면 축삭말단부위에서 자라면서 스스로 재생하지만, 중추신경계의 축삭은 말초신경계보다 재생이 잘 되지 않습니다. 2.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됩니다. 뇌는 대뇌, 간뇌, 뇌간, 소뇌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뇌는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합니다. 척수는 척추관 속에 위치하며 성인의 경우 약 40~45cm이고...202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