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천자(요추천자) 시술의 적응증, 방법 및 간호
본 내용은
"
spinal tapping 자료조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9
문서 내 토픽
-
1.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적응증요추천자는 신경계 감염질환 진단(뇌수막염, 뇌염), 뇌척수액 압력 측정, 척추관 종양 압력 측정, 지주막하강 내 혈액/농 제거, 출혈·종양·자가면역질환 진단, 뇌압 상승 시 배액, 혈장/약물 척수강 투여 등의 목적으로 시행된다. 척수강의 허리 부분에서 지주막하강으로 바늘을 삽입하여 거미막하 공간을 순환하는 액체를 채취하는 검사 방법이다.
-
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특성정상 뇌척수액의 압력은 100-180 mmH2O(6-12 mmHg)이며, 색은 맑고 투명하다. CSF의 80%는 두개의 측내실과 제4뇌실에 위치한 맥락총에서 생성되며, 일반 성인에서 약 24시간 동안 450ml의 뇌척수액이 생성된다. 정상 백혈구는 5 이하, 단백질 15-50, 포도당 45-80이다.
-
3. 요추천자 준비 및 금기사항뇌 CT 또는 MRI로 종괴성 병변이나 광범위한 뇌부종 확인이 필수이며, 이 경우 뇌탈출 위험으로 금기된다. IV line 확보, 6시간 금식, 동의서 작성이 필요하다. 검사 직전 화장실 방문 후 머리를 들지 않고 flat position을 유지해야 하는데, 머리를 들면 경막외공간으로 CSF가 유출되어 뇌압이 낮아지고 두통을 유발한다.
-
4. CSF 검사 결과 해석바이러스성 수막염은 정상 또는 약간 증가된 압력, 5-1,000 백혈구, 50-100 단백질, 정상 포도당을 보인다. 세균성 수막염은 180 이상의 높은 압력, 1,000-10,000 백혈구, 100-500 단백질, 40 미만 또는 혈당의 40% 이하의 포도당을 보인다. 높은 개방압은 뇌수막염, 뇌부종, 종양, CSF 배액 부전, 출혈, 감염, 급성 뇌졸중, 뇌정맥경색, 심부전을 시사한다.
-
1. 주제1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적응증요추천자는 중추신경계 질환의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침습적 검사 방법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뇌수막염, 뇌염, 거미막염 등의 감염성 질환 진단, 뇌척수액 압력 측정, 뇌척수액 내 종양세포 검출, 다발성 경화증 등의 신경계 질환 진단이 있습니다. 또한 지주막하출혈 의심 시 CT에서 음성이면 요추천자를 통해 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개강 내 압력 상승이 있는 경우나 뇌탈출 위험이 있을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적절한 임상 판단과 함께 시행되면 진단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검사입니다.
-
2. 주제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특성뇌척수액은 뇌실과 척수강을 채우는 맑은 액체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 CSF는 무색투명하며 세포 수가 매우 적고, 단백질과 포도당 농도가 혈청과 다릅니다. 정상적으로 하루에 약 500mL가 생성되고 재흡수됩니다. CSF의 특성은 질병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데, 감염 시 혼탁해지고 세포 수가 증가하며, 출혈 시 혈액이 섞여 나타납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진단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CSF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주제3 요추천자 준비 및 금기사항요추천자는 신중한 준비와 엄격한 금기사항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시술 전 응고 장애 여부, 항응고제 복용 여부, 감염 위험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절대 금기사항으로는 두개강 내 압력 상승, 뇌탈출 위험, 시술 부위의 감염이 있습니다. 상대 금기사항으로는 혈소판 감소증, 응고 장애, 항응고제 복용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위험-이득을 신중히 평가해야 합니다. 시술 전 충분한 설명과 동의 획득, 적절한 체위 유지, 무균 조건 준수가 중요합니다. 환자의 안전을 위해 금기사항을 철저히 확인하고 필요시 영상 검사를 선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4. 주제4 CSF 검사 결과 해석CSF 검사 결과 해석은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세포 수, 단백질, 포도당, 색깔 등의 변화 패턴이 질병을 시사합니다. 세균성 뇌수막염은 높은 단백질, 낮은 포도당, 다핵구 증가를 보이고, 바이러스성은 림프구 증가, 정상 포도당을 보입니다. 결핵성 뇌수막염은 높은 단백질, 낮은 포도당, 림프구 증가가 특징입니다. 혈액이 섞여 있으면 출혈을 의심하고, 배양 검사로 원인균을 확인합니다.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결과는 추가 검사와 임상 상관관계를 통해 정확한 진단에 도달해야 합니다. 따라서 CSF 검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은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응급실 KTAS 3~4등급 임상 간호 프로토콜1. 응급실 입실 및 초기 간호 환자 입실 시 입실 시간에 맞춰 차팅을 시작하며, 내원 사유와 주 증상을 확인하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올바른 환자 확인을 위해 5 right를 반드시 확인하고, 모니터 적용 시 +1분, 격리 필요 시 +2분을 추가한다. 전원 온 환자의 경우 전원 병원을 검색하여 등록하며, 보호자 내원 여부, 영상등록, 환자 소지품 등을 모...2025.11.18 · 의학/약학
-
종합실습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1. Total knee replacement 무릎치환술은 무릎의 한쪽 구획에 진행된 관절염, 염증성 관절염, 관절강직 또는 인대 손상 등의 적응증으로 시행됩니다. 합병증으로는 탈구, 감염, 출혈, 빈혈, 경골 골절, 신경 및 혈관 손상, 지속되는 관절통, 정맥혈전증, 폐색전 등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대상자의 심리적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고, 관절...2025.01.24 · 의학/약학
-
[종합실습]A++_병동의 주요 시술/수술/침슴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 3페이지
병동의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실습병원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실습병동51W시술/수술명적응증 및 합병증사전 간호사후 간호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역행성 내시경 담췌장 조영술)적응증: 이자, 쓸개관 질환의 진단 및 담관협착 시 확장을 하거나 담석제거를 위한 검사 및 시술(내시경을 식도를 통해 샘창자에 주입한 다음 총담관과 췌관으로 진행시켜 직접 담도의 구조를 관찰하고 조영제를 주입하고 촬영함)합병증: 복부불편감, 가벼운 호흡곤란, 췌장염, 출혈, 감염...2025.03.21· 3페이지 -
[종합실습]A++_주간보고서 2주차 11페이지
실습 직무 구분 ※ 실습 직무(직무 유형에 따른 교육 및 실습내용) 작성 방법 매일 관찰 혹은 수행한 내용 현장지도자 및 실습지도교수의 지도받은 내용 매일 자신의 성찰 이상의 내용을 시간 순서대로 작성 2주 월 13:00 환자분들 식사 및 식이종류의 관찰 : 병원에서의 회복기간 동안 영양 및 식이관리는 환자의 회복을 위해 중요하다. 환자별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식이가 다르게 배정되는데 특히 내과질환의 환자에게 당뇨식, 연하곤란식 등이 제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NPO: Nothing Per Oral, 경구섭취가 금지된 상태(...2025.03.21· 11페이지 -
A+) 특수 진단검사 보고서 (흡인과 생검, 전기생리적 검사) 적응증, 방법, 간호 및 주의사항 7페이지
기본간호학 특수 진단검사 보고서1. 흡인/생검검사: 흡인(aspiration)이나 생검(biopsy)은 인체기관이나 체강안으로 바늘이나 그와 유사한 기구를 삽입해서 체액이나 조직을 뽑아내는 검사이다.가. 요추천자1) 검사의 적응증(목적)가) 뇌척수액에 있는 세포 및 미생물의 유무를 알기 위함이다.나) 뇌척수액의 압력을 측정 및 조절하기 위함이다.다) 척수강 내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함이다.(항생제, 마취제, 스테로이드 등).라) X-ray 시각화를 위한 염료(dye)를 주입하기 위함이다.마) 수막염, 백혈병, 수두증, 뇌출혈, 뇌압상...2022.12.31· 7페이지 -
신경과, 신경외과 사전학습 보고서 (질환, 약물, 검사, 수술, 간호 등 모두 포함) 23페이지
1. 질환41.1. 뇌졸중(Cerebral vascular accident)41.2. 뇌종양(Brain tumor)51.3.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61.4. 뇌전증(Epilepsy)61.5. 신경계 외상(neurotrauma)71.5.1. 두부외상71.5.2. 척수외상82. 검사, 수술/시술명92.1. 개두술(craniectomy)92.2.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 뇌실 외 배액 102.3. Shunt(뇌척수액 배액술)102.4. DBS(Deep brain stimula...2022.10.02· 23페이지 -
종합실습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 4페이지
2. 병동의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실습병원실습병동시술/수술명적응증 및 합병증사전 간호사후 간호Total knee replacement무릎치환술? 적응증- 무릎의 한쪽 구획에 진행된 관절염- 염증성 관절염, 관절강직 또는 인대 손상 동반? 합병증- 탈구, 감염, 출혈, 빈혈, 경골 골절, 신경 및 혈관 손상, 지속되는 관절통, 정맥혈전증, 폐색전? 수술, 수혈 등 동의서를 받는다.? 간호사는 대상자가 심리적 두려움과 불안 등을 표현하도록 격려해 준다.? 수술 전에 대상자를 교육하고 필요한 교육자료를 제공한다.- 관...2024.10.18· 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