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척추천자(요추천자) 시술의 적응증, 방법 및 간호
본 내용은
"
spinal tapping 자료조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9
문서 내 토픽
  • 1.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적응증
    요추천자는 신경계 감염질환 진단(뇌수막염, 뇌염), 뇌척수액 압력 측정, 척추관 종양 압력 측정, 지주막하강 내 혈액/농 제거, 출혈·종양·자가면역질환 진단, 뇌압 상승 시 배액, 혈장/약물 척수강 투여 등의 목적으로 시행된다. 척수강의 허리 부분에서 지주막하강으로 바늘을 삽입하여 거미막하 공간을 순환하는 액체를 채취하는 검사 방법이다.
  • 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특성
    정상 뇌척수액의 압력은 100-180 mmH2O(6-12 mmHg)이며, 색은 맑고 투명하다. CSF의 80%는 두개의 측내실과 제4뇌실에 위치한 맥락총에서 생성되며, 일반 성인에서 약 24시간 동안 450ml의 뇌척수액이 생성된다. 정상 백혈구는 5 이하, 단백질 15-50, 포도당 45-80이다.
  • 3. 요추천자 준비 및 금기사항
    뇌 CT 또는 MRI로 종괴성 병변이나 광범위한 뇌부종 확인이 필수이며, 이 경우 뇌탈출 위험으로 금기된다. IV line 확보, 6시간 금식, 동의서 작성이 필요하다. 검사 직전 화장실 방문 후 머리를 들지 않고 flat position을 유지해야 하는데, 머리를 들면 경막외공간으로 CSF가 유출되어 뇌압이 낮아지고 두통을 유발한다.
  • 4. CSF 검사 결과 해석
    바이러스성 수막염은 정상 또는 약간 증가된 압력, 5-1,000 백혈구, 50-100 단백질, 정상 포도당을 보인다. 세균성 수막염은 180 이상의 높은 압력, 1,000-10,000 백혈구, 100-500 단백질, 40 미만 또는 혈당의 40% 이하의 포도당을 보인다. 높은 개방압은 뇌수막염, 뇌부종, 종양, CSF 배액 부전, 출혈, 감염, 급성 뇌졸중, 뇌정맥경색, 심부전을 시사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1 요추천자(Lumbar Puncture) 적응증
    요추천자는 중추신경계 질환의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침습적 검사 방법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뇌수막염, 뇌염, 거미막염 등의 감염성 질환 진단, 뇌척수액 압력 측정, 뇌척수액 내 종양세포 검출, 다발성 경화증 등의 신경계 질환 진단이 있습니다. 또한 지주막하출혈 의심 시 CT에서 음성이면 요추천자를 통해 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개강 내 압력 상승이 있는 경우나 뇌탈출 위험이 있을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적절한 임상 판단과 함께 시행되면 진단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검사입니다.
  • 2. 주제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특성
    뇌척수액은 뇌실과 척수강을 채우는 맑은 액체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 CSF는 무색투명하며 세포 수가 매우 적고, 단백질과 포도당 농도가 혈청과 다릅니다. 정상적으로 하루에 약 500mL가 생성되고 재흡수됩니다. CSF의 특성은 질병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데, 감염 시 혼탁해지고 세포 수가 증가하며, 출혈 시 혈액이 섞여 나타납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진단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CSF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주제3 요추천자 준비 및 금기사항
    요추천자는 신중한 준비와 엄격한 금기사항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시술 전 응고 장애 여부, 항응고제 복용 여부, 감염 위험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절대 금기사항으로는 두개강 내 압력 상승, 뇌탈출 위험, 시술 부위의 감염이 있습니다. 상대 금기사항으로는 혈소판 감소증, 응고 장애, 항응고제 복용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위험-이득을 신중히 평가해야 합니다. 시술 전 충분한 설명과 동의 획득, 적절한 체위 유지, 무균 조건 준수가 중요합니다. 환자의 안전을 위해 금기사항을 철저히 확인하고 필요시 영상 검사를 선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4. 주제4 CSF 검사 결과 해석
    CSF 검사 결과 해석은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세포 수, 단백질, 포도당, 색깔 등의 변화 패턴이 질병을 시사합니다. 세균성 뇌수막염은 높은 단백질, 낮은 포도당, 다핵구 증가를 보이고, 바이러스성은 림프구 증가, 정상 포도당을 보입니다. 결핵성 뇌수막염은 높은 단백질, 낮은 포도당, 림프구 증가가 특징입니다. 혈액이 섞여 있으면 출혈을 의심하고, 배양 검사로 원인균을 확인합니다.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결과는 추가 검사와 임상 상관관계를 통해 정확한 진단에 도달해야 합니다. 따라서 CSF 검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은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