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4개
-
말초삽입 중심카테터, PICC, 감염전담교육자료2025.01.291. PICC (말초삽입 중심정맥 카테터)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는 상완정맥 등 팔 정맥에서 시작하여 상대정맥 또는 우심방 입구에 카테터의 끝이 위치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중심정맥관에 비해 카테터가 가늘어 기흉 등 합병증의 가능성이 낮으며, 6개월 사용할 수 있어 입원치료 환자에게 주로 시행됩니다. 2. PICC 시술 PICC 시술은 상완의 정맥을 통해 심장 가까이 중심정맥까지 관을 넣어주는 시술입니다. 감염, 혈전, 부종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제거해야 합니다...2025.01.29
-
중심정맥관(CHMO PORT)리포트2025.01.04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하며, 장기간의 정맥주입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중심정맥관의 종류에는 비터널 카테터, 터널 카테터, 말초주입 중심정맥 카테터, 이식형 포트(chemoport) 등이 있습니다. 중심정맥관은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약물 투여, TPN 등의 영양제 주입, 중심정맥압 측정, 혈액 채혈, 다량의 수액이나 ...2025.01.04
-
EMLA 크림 도포가 소아암환자의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 바늘삽입 시 통증인지와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2025.05.061. EMLA 크림 EMLA 크림은 lidocaine과 prilocaine이 주성분인 국소마취제로, 주사바늘 삽입 시 또는 표재성 외과적 처치 시 피부의 표면을 마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EMLA 크림 적용 후 침습적 처치를 시행한 아동의 반응을 보여주는 동영상이 제공되었다. 2. 중심정맥카테터 중심정맥카테터는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항암제 투여, 수혈 등에 사용된다. 단기간 사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관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포트(케모포트)가 있으며, 영상의학과 의사에 의해 국소마취 하에 시술된다. 3. 통증 측정 도...2025.05.06
-
현직 간호사의 PICC 관련 자료2025.01.161.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는 말초정맥에 삽입되어 중심정맥까지 도달하는 카테터로, 주로 전완의 척측피정맥, 요측피정맥, 상완정맥 등을 통해 삽입됩니다. PICC의 종류로는 single rumen(3Fr), double rumen(4Fr), triple rumen(5~6Fr) 등이 있습니다. PICC의 목적은 장기적인 수액 투여, 수혈, TPN, 승압제 투여 등이며, 중심정맥관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사용 기간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삽입 후에는 혈전 막힘, 감...2025.01.16
-
성인간호학 병원감염 중심정맥2025.05.11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이란 말초 정맥을 통해 중심정맥까지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몸 속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중심정맥에 직접적으로 주사를 놓거나 채혈을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중심정맥까지 연결된 관을 통해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자주 사용되는 중심정맥관의 종류로는 히크만 카테터, 매립형 케모포트,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 등이 있다. 2.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은 관리가 잘못되면 삽입부위에 감염이 일어나거나 관이 막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중심정맥관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2025.05.11
-
PICC2025.01.021.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는 말초에서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으로, 항암제, TPN, 수혈 및 정기적 채혈을 위해 사용됩니다. PICC 시술의 목적은 반복적인 정맥 천자로 인한 환자의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고삼투액의 주입이나 수포성 항암제 투여 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ICC는 최소 2주에서 최대 1년까지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이 약하거나 작은 어린이, 노인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PICC 시술 전후 간호 준비물품과 주의사항, 관리 방법 등이 자세히...2025.01.02
-
중심정맥관 종류와 관리2025.01.241. 중심정맥관의 정의와 적응증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경정맥이나 쇄골하 정맥으로 관이 삽입되어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끝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중심정맥관은 체액 균형 유지, 장기간 약물 투여, 영양 공급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2.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특징 중심정맥관에는 비터널식 카테터와 터널식 카테터가 있으며, 각각 단기간과 장기간 사용 목적으로 구분된다. 비터널식 카테터에는 CVC, PICC, Hemo-cath가 있고, 터널식 카테터에는 Hickman, Perm-cath, Ch...2025.01.24
-
PICC (말초삽입중심정맥관) 보고서2025.01.141. PICC (말초삽입중심정맥관) PICC는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의 줄임말로 말초삽입형중심정맥관을 의미하며 팔의 정맥을 통해 삽입하여 상대정맥까지 연결되는 가느다란 카테터입니다. PICC는 주로 상완의 척측 피정맥(basilic vein) 또는 요측 피정맥(cephalic vein) 또는 상완정맥(brachial vein)을 통해 상대정맥(superior vein)으로 카테터를 삽입하게 됩니다. 2. PICC 적응증 PICC는 손이나 발 등의 말초 정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장기...2025.01.14
-
정맥 내 삽입장치 종류 및 간호2025.01.051. 정맥주사의 적응증 정맥주사는 수분, 전해질, 비타민, 단백질, 칼로리, 질소를 보충 또는 유지하고, 산-염기 균형을 회복하며, 지속적 또는 간헐적 약물 주입, 혈액량 보충 또는 혈액성분 주입, 정주용 마취제 주입, 혈류역학적 기능 관찰, 응급상황 시 혈관 접근 개방성 유지, 통증 조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2. 정맥주사의 종류 정맥주사에는 비터널식 카테터, 터널식 카테터, PICC(말초중심정맥관), hickman catheter, chemoport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적응증, 주의사항, 관리방법이 다릅니다. 3...2025.01.05
-
SICU 외과계중환자실 실습일지 성찰보고서2025.01.13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팔의 대정맥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한다. 보통 중환자에게 많이 적용되며, Peripheral line을 잡기 어려운 환자, 다시 말해서 말초혈관 확보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한다.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게 되면 중심정맥압(CVP, Central Venous...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