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초삽입 중심카테터, PICC, 감염전담교육자료
본 내용은
"
말초삽입 중심카테터,PICC,감염전담교육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14
문서 내 토픽
-
1. PICC (말초삽입 중심정맥 카테터)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는 상완정맥 등 팔 정맥에서 시작하여 상대정맥 또는 우심방 입구에 카테터의 끝이 위치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중심정맥관에 비해 카테터가 가늘어 기흉 등 합병증의 가능성이 낮으며, 6개월 사용할 수 있어 입원치료 환자에게 주로 시행됩니다.
-
2. PICC 시술PICC 시술은 상완의 정맥을 통해 심장 가까이 중심정맥까지 관을 넣어주는 시술입니다. 감염, 혈전, 부종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제거해야 합니다. 시술 과정은 우측 팔을 90도로 펴고 상완의 근위부에 토니켓을 묶어 정맥이 부풀어 오르도록 하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완의 정맥을 확인하고 국소 마취 후 바늘로 찌르고 가이드 와이어로 혈관을 확보한 뒤 카테터를 삽입합니다.
-
3. PICC 주의사항PICC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삽입된 팔에서의 채혈 및 혈압 측정 금지, 과도한 압력으로 flush하지 않기, PICC 옆에서 날카로운 기구 사용 금지, 소독 시 카테터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주의, 사용하지 않을 경우 daily flushing 필요 등이 있습니다.
-
4. PICC 삽입부위 소독PICC 삽입부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투명 드레싱 필름을 1주일마다, 거즈 드레싱은 48시간마다 정기적으로 교환해야 합니다. 땀이나 물로 오염된 경우 즉시 교환하며, 매 근무조마다 삽입부위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
5. PICC 제거PICC 제거 시에는 supine 자세를 취하고 소독 및 드레싱을 제거한 뒤 천천히 당기며, 당기는 동안 거즈로 누르지 않습니다. 제거한 catheter tip을 살펴보아 끊어진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고, culture 시행 시 멸균가위로 tip을 잘라내어 무균적으로 담습니다.
-
6. 중심정맥관 제거 고려 내용중심정맥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며, 발열만으로 제거하지 않습니다. 다른 부위의 감염이나 비감염성 발열이 의심될 경우 임상적으로 판단하여 정맥관 제거 여부를 결정합니다.
-
1. PICC (말초삽입 중심정맥 카테터)PICC는 말초정맥을 통해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정맥주사, 수액 투여, 영양공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ICC는 일반 정맥주사에 비해 더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감염 위험이 낮고 환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삽입 과정에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 시 혈전 형성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관리와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2. PICC 시술PICC 시술은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무균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시술 전 환자의 상태와 혈관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크기와 길이의 PICC를 선택해야 합니다. 시술 과정에서는 초음파 유도하에 정맥을 확인하고 카테터를 삽입하며, 삽입 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X-ray 촬영이 필요합니다.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천자, 기흉, 출혈 등에 대한 대처 방안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PICC 시술은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3. PICC 주의사항PICC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감염 예방을 위해 PICC 삽입부위와 주변 피부를 철저히 소독하고 무균 술기를 준수해야 합니다. 둘째, PICC 삽입 후 정기적으로 드레싱을 교환하고 삽입부위를 관찰하여 감염 징후를 확인해야 합니다. 셋째, PICC 라인을 통한 수액 주입 시 공기 색전증 예방을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넷째, PICC 라인 관리 시 카테터가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다섯째, PICC 제거 시 혈전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주의사항을 준수하여 PICC 사용과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
4. PICC 삽입부위 소독PICC 삽입부위 소독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삽입 전 피부를 철저히 소독하고, 삽입 후에도 정기적으로 드레싱을 교환하며 삽입부위를 관찰해야 합니다. 소독 시에는 알코올 또는 클로르헥시딘 기반의 소독제를 사용하며, 소독 후 피부가 완전히 건조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드레싱 교환 시에는 무균 술기를 준수하고, 삽입부위에 이상 징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PICC 삽입부위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감염 발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5. PICC 제거PICC 제거 시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PICC 제거 전 혈전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며, 제거 과정에서 출혈이나 공기 색전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ICC 제거 후에는 삽입부위를 소독하고 압박 드레싱을 하여 출혈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제거 후 삽입부위의 상태를 관찰하여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PICC 제거 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안전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제거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6. 중심정맥관 제거 고려 내용중심정맥관 제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중심정맥관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지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중심정맥관 관련 합병증이 발생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셋째, 중심정맥관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를 들어 출혈, 공기 색전증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넷째, 중심정맥관 제거 후 삽입부위 관리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다섯째, 중심정맥관 제거 후 대체 치료법이 필요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심정맥관 제거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