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3개
-
부정맥 케이스스터디2025.01.111.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이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대부분 심장질환이나 그 외 병적 상태에서 발생되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된다. 부정맥은 아주 빠른 빈맥이거나 아주 느린 서맥으로 나눌 수 있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의 병태생리에는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가 있다. 자극형성장애는 동방결절에서 심장박동을 시작하지 않고 다른 부위의 심근세포에서 시작하거나,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경우라도 심장 수축 자극을 정상적인 속도로 내지 못...2025.01.11
-
성인간호학 순환기계2025.01.14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 가슴의 중앙에 위치하며,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구분되며, 좌심실의 펌프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심장의 자극 전도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다발-푸르키네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관상동맥에 의해 심장 혈액공급이 이루어지며, 심박출량과 심장박출지수로 순환계를 평가할 수 있다. 2. 순환계의 조절 심근의 특성으로는 율동성, 흥분성, 불응성, 전도성, 수축성, 신장성, 자동성이 있다. 신경성 조절은 압력수용기와 화학수용체에 의해...2025.01.14
-
성인간호학 심장파트 심전도(EKG) 총 요약정리 (심실조기수축, 심실세동 등 모든것)2025.05.041. 심방조동 심방수축수 250~350회/분, 심방 내 회귀 현상에 규칙적 심방리듬 2. 심실수축 심실수축수 60~150회/분, 심방 자극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는 정도에 따라 규칙적, 불규칙적 3. P파 규칙적, 톱니바퀴 모양의 조동파(flutter wave, f파) 4. QRS파 파형은 정상이며 규칙적, 불규칙적 5. 방실결절 전도 심방자극이 방실결절에서 규칙적으로 전달되면 심장리듬은 규칙적, 불규칙적으로 전달되면 리듬도 불규칙적 6. 심방세동 심방수축수 불규칙적, 빠른 세동파(350~600회/분), 심실수축수 방실결절에서 차단(...2025.05.04
-
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2025.04.28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동심방결절의 심박조율 기능이 약화되거나 전도계의 장애로 인해 전기자극의 빈도가 감소될 때 방실접합부(심방심실이음부, AV junction)가 동심방결절을 대신하여 박동조율기(pacemaker)로서의 역할을 하여 발생한 리듬. 심박출량 감소와 심근조직관류 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 독성, 저산소혈증, 고칼륨혈증, 미주신경 긴장도 증가, 방실결절 손상, 심근경색, 심부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심전도 상 심장박동수는 40~60회/분 정도이며, 보통 P파가 ...2025.04.28
-
심근염, 2도 방실차단, 영구심박동기 VVI 성인간호 케이스 보고서2025.01.041. 심근염 45세 남자 회사원이 발열, 현훈, 경한 호흡곤란으로 입원했습니다. 심전도상 1도 방실차단, 완전 방실차단, 완전 우각차단, 심방조동 등이 나타났고 심한 서맥(38/min)도 동반되었습니다. 심근염 및 부정맥으로 진단받고 소염제, 교감신경자극제 등으로 치료하여 증상이 호전되었습니다. 2. 2도 방실차단 20년 3월 계단을 오르다가 갑자기 심한 쇠약감이 생겨 입원했습니다. 2도 방실차단에 심실박동수(33/min)이었고 교감신경 자극제를 투여하여 심박동수를 정상으로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퇴원 후 자주 전신 쇠약감이 나타나 ...2025.01.04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2025.01.22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방실차단이 일어나면 예후가 좋고, 반대로 하부 즉, 히스속 이하에서 차단이 일어나면 예후는 불량하다. 2. 증상 및 징후 1도 방실전도 장애 - AV node에서 잠깐의 전도 지연...2025.01.22
-
심혈관계 구조기능, 심전도, 심부전, 협심증 파트 요약정리2025.05.051.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 심장의 위치, 크기, 구성, 판막 등 심혈관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심장의 3층 벽 구조와 심방, 심실, 판막 등의 역할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2. 혈류 흐름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른 혈액 순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폐순환과 체순환의 경로와 역할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3. 심장 자극 전도계 심장의 자극 전도 경로와 각 부위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동방결절, 방실결절, His다발, 푸르킨예섬유 등 심장 전도 체계의 구조와 기능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4. 관상동맥 심장...2025.05.05
-
성인간호 분담주제 pacemaker간호(인공심박동기)2025.05.141. 정상적인 심장과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 정상적인 심장은 4개의 방(좌·우 심방, 좌·우 심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Sinus Node)에서 전기 자극이 발생하여 심장 전기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장 전체로 퍼져 심장이 뛴다. 반면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은 SA Node에서 전기 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전도계를 통하여 전기가 잘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2. Pacemaker 정의와 구조 인공 심장 박동기는 심박동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이...2025.05.14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2025.05.081. 심전도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심장근육의 전도를 평가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심장 내의 전기적 흐름이 체표면으로 전달되는데 이를 팔, 다리나 가슴의 신체 표면에 전극을 부착시켜 결과를 확인, 기록하는 것이다. 심전도의 목적은 관상동맥 폐쇄부전으로 오는 허혈성 심질환, 심방 및 심실세동 등의 부정맥이나 전도장애, 심실비대 및 선천성 심장질환 등을 진단하기 위함이다. 심전도는 심박동수, 리듬, 심장의 전도를 설명해주고, 정상적인 신체검사의 기초정보를 알기위해, 그리고 심장약물의 효과를 알기 ...2025.05.08
-
부정맥 질병 보고서2025.01.131.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이란 자극 형성 장애나 자극 전도 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 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심장은 왼쪽과 오른쪽에 두 개씩 모두 4개의 방으로 되어있으며, 동방결절이 전기를 만들어내는 발전소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전기 신호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뛰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이 부정맥이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의 가장 흔한 원인은 심장질환 특히 관상동맥 질환이며, 판막 질환과 심부전 등이 있다. 가벼운 부정맥은 알코올, 커피,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