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분담주제 pacemaker간호(인공심박동기)
본 내용은
"
성인간호 분담주제 pacemaker간호(인공심박동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4
문서 내 토픽
  • 1. 정상적인 심장과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
    정상적인 심장은 4개의 방(좌·우 심방, 좌·우 심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Sinus Node)에서 전기 자극이 발생하여 심장 전기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장 전체로 퍼져 심장이 뛴다. 반면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은 SA Node에서 전기 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전도계를 통하여 전기가 잘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2. Pacemaker 정의와 구조
    인공 심장 박동기는 심박동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이다. 인공 심장 박동기는 박동 발생기 또는 전원(Pulse Generator)과 전극선(Pacing Leads)으로 구성되어 있다.
  • 3. Pacemaker의 분류
    Pacemaker는 사용목적과 기간에 따라 일시적 인공심박동기, 체외 인공심박동기,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일시적 인공심박동기는 응급상황에서 사용되며, 체외 인공심박동기는 비침습적인 시술로 사용된다.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는 완전방실차단, Adam-Stokes증후군, 동성장애 등에 사용된다.
  • 4. 인공심박동기 작동체계의 표시방법
    인공심박동기 작동체계는 조율부위, 감지부위, 감지반응형, 심박반응기능 등 4가지 요소로 표시된다. 첫째 글자는 심장수축 자극이 시작되는 부위, 둘째 글자는 심장의 고유수축을 감지하는 부위, 셋째 글자는 심장의 반응 형태, 넷째 글자는 심박동수 반응을 나타낸다.
  • 5.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전에는 시술 준비, 삽입 후에는 정기적 검진, 전원삽입부위 관찰, 활동 제한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감염 위험성, 활동지속성 장애, 불안, 자가 간호 지식부족 등의 간호진단과 중재가 필요하다.
  • 6. 인공심박동기의 합병증
    인공심박동기 삽입 관련 합병증으로는 절개부위 감염, 전극도관 문제(자극, 위치이탈, 파손, 천공), 배터리 소모, 전기자기장 방해, 횡격막 자극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정상적인 심장과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
    정상적인 심장은 분당 60-100회의 규칙적인 박동을 보이지만,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은 분당 60회 미만의 느린 박동을 보입니다. 이는 심장의 전기적 전도 체계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며, 주요 원인으로는 동기능 부전, 방실 차단, 서맥성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느린 심박수는 뇌로의 혈액 공급 부족을 야기하여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Pacemaker 정의와 구조
    Pacemaker는 심장의 전기적 전도 체계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느린 심박수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기기입니다. Pacemaker는 크게 발생기(generator)와 전극(lead)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발생기는 배터리와 전자 회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극은 발생기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심장 근육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acemaker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여 필요에 따라 전기 자극을 전달함으로써 심장의 정상적인 박동을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느린 심박수로 인한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3. Pacemaker의 분류
    Pacemaker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첫째, 전극 삽입 부위에 따라 단심방 Pacemaker, 단심실 Pacemaker, 이심방 Pacemaker, 이심실 Pacemaker로 구분됩니다. 둘째, 작동 방식에 따라 비동기식 Pacemaker와 동기식 Pacemaker로 나뉩니다. 셋째, 반응 속도에 따라 고정 속도 Pacemaker와 적응형 Pacemaker로 구분됩니다. 넷째, 프로그래밍 가능 여부에 따라 비프로그래밍 Pacemaker와 프로그래밍 Pacemaker로 나뉩니다. 이처럼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라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맞는 Pacemaker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4. 인공심박동기 작동체계의 표시방법
    인공심박동기의 작동 체계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코드 체계를 사용하여 표시됩니다. 이 코드 체계는 크게 5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각 문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냅니다. 첫 번째 문자는 심방 감지 및 자극 기능, 두 번째 문자는 심실 감지 및 자극 기능, 세 번째 문자는 반응 속도, 네 번째 문자는 프로그래밍 가능 여부, 다섯 번째 문자는 다른 기능 등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인공심박동기 작동 체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5. 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인공심박동기 삽입 후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첫째, 수술 부위의 감염 예방을 위해 상처 관리와 청결 유지에 주력해야 합니다. 둘째, 환자의 활력 징후와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인공심박동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셋째, 환자의 일상 생활 활동 수준을 점진적으로 높여 나가며, 운동 및 일상 활동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넷째, 환자와 보호자에게 인공심박동기의 관리와 응급 상황 대처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다섯째, 정기적인 외래 방문과 검사를 통해 인공심박동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간호 중재를 통해 인공심박동기 삽입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6. 인공심박동기의 합병증
    인공심박동기 삽입 후에는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 수술 부위 감염으로 인한 발열, 통증,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둘째, 전극 이탈, 전극 파손, 배터리 고갈 등의 기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혈흉, 기흉, 심장 천공 등의 수술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넷째, 부정맥, 심부전, 혈전 등의 심장 관련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환자의 활동 제한, 삶의 질 저하 등의 심리사회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