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본 내용은
"
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8
문서 내 토픽
  • 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동심방결절의 심박조율 기능이 약화되거나 전도계의 장애로 인해 전기자극의 빈도가 감소될 때 방실접합부(심방심실이음부, AV junction)가 동심방결절을 대신하여 박동조율기(pacemaker)로서의 역할을 하여 발생한 리듬. 심박출량 감소와 심근조직관류 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 독성, 저산소혈증, 고칼륨혈증, 미주신경 긴장도 증가, 방실결절 손상, 심근경색, 심부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심전도 상 심장박동수는 40~60회/분 정도이며, 보통 P파가 역전되며 QRS파에 선행하거나 묻히거나 후에 나타난다. 대부분 혈역학적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필요시 아트로핀, 이소프로테레놀 투약이 가능하다.
  • 2. 방실접합부 조기 수축 (premature junctional contraction; PJC)
    동심방결절에서 심장수축자극을 내보내기 전에 방실이음(접합부)에서 먼저 심장수축자극을 시작하는 부정맥. 방실접합부의 이소성 박동으로 동심방결절의 자극이 발생하기 전에 조기에 만들어진 리듬이며, 방실접합부에서 자극이 심방 내로 역행되기에 P파(negative P wave)를 볼 수 있다. 심박동수는 60~100회/분이며, 이소성 자극이 방실접합부의 어느 부분에서 발생되느냐에 따라 심전도 파형이 달라진다. 원인으로는 굴심방결절질환, 심근경색증, 동서맥, 승모판막질환, 폐성심, 저산소증, 허혈, 감염성질환, 미주신경이나 교감신경의 긴장성 증가, 전해질 불균형, 스트레스, 불안, 디기탈리스 중독, 방실접합부의 자동성 증가 등이 있다.
  • 3. 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 (paroxysmal junctional tachycardia; PJT)
    분당 150~200회 속도로 방실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발작심실상성빈맥(PSVT)과 구별이 어려우며, 디기탈리스 중독 시 발생할 수 있고 심실성 빈맥이나 심실세동으로 이행될 수 있다. 방실이음(접합부)의 빠른 재진입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방실이음의 국소빈혈이나 digitalis 중독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심전도 상 심박동수는 100~180회/분이며, P파는 방실접합부 리듬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QRS파는 정상이다. 치료로는 베타차단제, 나트륨통로차단제, 칼륨통로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디곡신, 아데노신 등이 사용되며, 심장율동전환, 전극카테터절제술 등도 고려된다.
  • 4. 동방차단 (굴심방차단, sinoatrial block; SA Block)
    동심방결절에서 형성된 전기자극이 심방으로 전달되지 않아 심방 및 심실의 수축이 없는 부정맥. 심전도상 P파와 QRS복합이 보이지 않으며, 수축이 없는 시간이 정상적인 PP간격의 2배 또는 3·4배 등으로 지연되고, 심장박동수는 40회/분 이하이다. 생명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 5. 방실차단(atrioventricular block; AV Block)
    동심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자극이 방실결절과 히스다발을 통과할 때 지연되거나 부분적 혹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 전도장애 중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높으며 임상적으로 아주 중요하다. 1도, 2도, 3도 방실차단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특징과 원인, 치료법이 다르다.
  • 6. 각차단 (bundle branch block; BBB)
    심실중격의 상부에서 히스다발이 좌우각(branch)으로 갈라져 좌우 심실로 흥분을 전달하는데, 이 중 어떤 각이 차단되어 심실의 말초부에 흥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 심전도상에서 QRS파 간격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며, 우각차단과 좌각차단으로 구분된다. 무증상인 경우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으며, 혈역학적 변화로 인한 증상이 있을 경우 심박조율기 적용이나 심장 재동시화 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방실리듬은 심장의 자동능이 방실접합부에 있어 심방과 심실이 동시에 수축하는 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이는 정상 동리듬에 비해 심실 수축이 늦어지고 심실 충만이 감소하여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방실리듬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지속되는 경우 심부전,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방실리듬이 발생한 경우 원인 파악과 함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방실접합부 조기 수축 (premature junctional contraction; PJC)
    방실접합부 조기 수축은 정상 동리듬 중에 방실접합부에서 발생한 조기 심실 수축입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드물게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실접합부 조기 수축은 심장 질환이 없는 사람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무해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심장 질환과 동반된 경우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 (paroxysmal junctional tachycardia; PJT)
    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은 방실접합부에서 시작되어 갑자기 빨라지는 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이는 심실 수축이 빨라져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며, 대부분 무해하지만 지속되거나 심장 질환과 동반된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이 발생한 경우 원인 파악과 함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동방차단 (굴심방차단, sinoatrial block; SA Block)
    동방차단은 동결절에서 심방으로의 전도 장애로, 심장 박동수가 느려지는 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드물게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방차단은 노령, 약물 부작용, 심장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경증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심박동기 삽입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5. 방실차단(atrioventricular block; AV Block)
    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장애로, 심실 수축이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경증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심박동기 삽입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실차단이 발생한 경우 원인 파악과 함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각차단 (bundle branch block; BBB)
    각차단은 심실 내 전도 장애로, 심실 수축이 지연되는 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드물게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각차단은 단독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심장 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각차단이 발생한 경우 원인 파악과 함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