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99개
-
경막하출혈 case study - 천공배액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천공배액술, 유치도뇨관, 말초정맥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침상생활, 기저귀의 습기와 관련된 욕창의 위험2025.05.101. 천공배액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두통에 대한 NRS 점수가 1점 이하로 측정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줄었다고 말할 것이다.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사정하고, NRS 척도로 4시간마다 통증을 사정한다. 진통제로 트리돌을 투여하고, 대상자가 심호흡법을 하도록 한다. 극심한 통증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한다. 2. 천공배액술, 유치도뇨관, 말초정맥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체온이 36.0~37.5℃ 이내에 속할 것이다.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CRP 정량이 0~0.3...2025.05.10
-
간호교육팀_각종배액관관리(헤모박,체스트튜브,PCD,Paracentesis,Ostomy)_교육간호사2025.05.061. 이상적인 배액관 이상적인 배액관은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주위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감염 예방과 제거가 용이해야 한다. 2. 배액 양상 사정 배액 양상을 사정할 때는 배액관의 개수와 번호를 확인하고, 배액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제거 시점을 판단한다. 3. 배액관의 종류 배액관에는 개방형과 폐쇄형, 능동형과 수동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다르다. 4. JP drain or Hemovac 관리 JP drain이나 Hemovac 드레인 관리 시 배액관의 상태와 삽입부위를 확인하고, 무균적으로 배...2025.05.06
-
A+ 성인간호학실습 CASE / 특발성폐섬유화증, 폐렴 / 비효과적 호흡양상, 배액관 삽입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2025.01.281. 폐 섬유화 및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호흡곤란 증상 없이 편안한 호흡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8시간마다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하고, 점막과 피부 색깔을 사정하여 저산소증을 확인합니다. 또한 산소요법, 체위변경, 가습기 사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합니다. 2. 배액관 삽입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고,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하여 NRS 척도로 평가합니다. ...2025.01.28
-
성인간호학_기흉 - 1. 질환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간호계획 8개) 2. 폐허탈과 관련된 급성 통증(간호계획 7개) 3.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간호계획9개) /간호진단3개 /2025.01.221. 질환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대상자가 나타내는 증상으로는 갑작스런 호흡곤란과 흉통, RR: 27회/min, BP: 100/60mmHg, 왼쪽 가슴의 호흡음 소실이 있다. 기흉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 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터 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의식소실, 흉부 압박감 등이 있다. 그 외 기흉 대상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증상과 관련요인으로는 자연기흉(밀폐 기흉), 긴장성 기흉, 개방성 기흉...2025.01.22
-
PTBD, PCD, PTGBD, ENBD 배액관2025.01.151. ENBD 내시경적비담도배액술로, 담관에 배액관을 넣어 코까지 배액관을 꺼내어 담즙을 배액하는 시술입니다. 2. PTBD 경피경간담도배액술로, 간을 지나서 담관 안에 배액관이 위치합니다. 담관의 폐쇄 또는 협착으로 담즙의 배액이 필요한 경우(종양, 담석, ERCP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시행합니다. 3. PTGBD 경피경간담낭배액술로, 간을 지나서 담낭 안에 배액관이 위치합니다. 심한 담낭염 시 담낭의 염증 감소, 담즙으로 인한 복강 내 염증 방지, 담낭 절제술이 불가능할 시 시행합니다. 1. ENBD ENBD(Endoscopi...2025.01.15
-
배액 간호 (chest tube, L-tube, Hemobac & JP bag, Rectal tube)2025.04.301. 배액 배액은 간호 분야, 특히 상처 관리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배액의 목적은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몸에서 과도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감염이나 기타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경우, 배액은 수술 후 관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2. 배액 방법 간호에서 체액을 배출하는 것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축적된 체액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훈련과 기술은 물론 세심한 고려와 준비가 필요한 섬세한 시술이다. 배출의 첫 번째 단계는 탈거해야 하는 오일 유형을 식별하는...2025.04.30
-
감염위험성 간호과정2025.05.081. 배액관 감염 위험성 대상자는 PTBD 배액관 삽입 후 감염 위험성이 있는 상황입니다. 간호사는 배액관 삽입부위의 감염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무균술을 사용하여 드레싱 교환 및 배액관 관리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항생제 투여, 배액관 고정 및 환자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감염 예방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 배액관 감염 위험성 배액관 감염은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배액관 삽입 시 세균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며, 이는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무균 술기,...2025.05.08
-
PCD 문헌고찰2025.05.041.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PCD)은 몸 안에 있는 농양(고름집)에 카테터라는 가늘고 긴 관을 몸 밖에서 피부를 통해 넣어 고름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이 시술은 농양을 방치하면 감염이 확장되고 패혈증 같은 큰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사용됩니다. 적응증으로는 흉막강 내 체액 저류, 혈흉, 복강 내 농양, 복수, 혈종, 간 내 농양 및 혈종, 췌장의 가성 낭종 등이 있습니다. 2. 시술 전 간호 시술 전 간호 과정에는 4~6시간 금식, 동의서 확인, ...2025.05.04
-
PTBD, PTGBD: 경피경간담도배액술2025.11.161. PTBD와 PTGBD의 정의 및 목적 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는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로, 경피적으로 간을 통해 담도에 접근하여 담즙을 배액하는 시술이다. PTGBD(경피경간담낭배액술)는 담낭 내부에 배액관을 삽입하는 시술이다. 간은 담즙을 생성하고 담낭은 담즙을 저장했다가 음식 섭취 시 십이지장으로 배출한다. 담관 협착으로 인한 담즙 배출 장애 시 수술 전 감압 목적으로 시행되며, 악성 협착(종양)과 양성 협착(염증성 질환, 수술 후 협착, 결석)이 있다. 2. 담관 ...2025.11.16
-
E-tube, T-tube, CVC, perm-cath, PICC, CTD, PCD, HV, JP, EVD2025.04.301. TUBE 삽입과 관리 TUBE는 기체 또는 액체를 실어 나르는 관으로, 금속관(G)과 플라스틱관(Fr)으로 구분됩니다. E-tube는 사면(bevel)과 Murphy eye가 있으며, 기도 내 고정과 흡인 예방을 위한 cuff가 있습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남자 22~24cm, 여자 19~21cm이며, 위치 확인 및 고정이 중요합니다. T-tube는 상부 기도 폐쇄, 호흡 부전, 아나필락틱 쇼크 등의 경우에 사용되며, cuff와 내관 유무에 따라 관리가 달라집니다. 2. CVC (Central Venous Cathete...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