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1개
-
내시경(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기관지내시경,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 목적, 방법, 간호중재2025.01.12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위내시경은 상부 위장관(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여 염증이나 종양 등을 진단하고, 조직검사, 병변 절제, 출혈 지혈 등의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검사 전 준비로는 금식, 위장 운동 억제제 투여, 국소마취 등이 필요하며, 검사 후에는 합병증 관찰, 금식 유지, 증상 관리 등의 간호가 필요합니다. 2. 대장내시경 (Colonoscopy, CFS) 대장내시경은 항문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대장을 관찰하고, 조직검사, 병변 절제, 출혈 지혈 등의 치료적...2025.01.12
-
심폐소생술2025.01.161.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정지 혹은 호흡정지가 초래된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행해지는 소생술로서 뇌손상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 준비물품 Emergency cart, EKG Monitor, Defibrillator, 산소공급기구, 흡인기(Emergency cart내: Ambu bag, Fitting mask, Endotracheal tube(성인의 경우 ID 7.5-8Fr), Laryngoscope, Stylet, Air way, 반창고, 멸균장갑, 1L 생리식염수, O2 line, El...2025.01.16
-
성인간호학_vSim_Surgical_Scenario_2 Stan Checketts_5,6단계2025.05.101. 복통, 메스꺼움, 구토 환자는 복통, 메스꺼움, 구토를 호소하고 있으며 복부 팽창이 있다. 피부는 거칠고 점막이 건조하며, 어제부터 소변을 보지 못했고 어지러움증과 기력 저하가 있다. 환자의 심박수가 높고 호흡수가 빠르며 산소포화도가 낮은 상태이다. 복부 X-ray 결과 장 폐색이 확인되었다. 2. 저혈량성 쇼크 치료 저혈량성 쇼크 증상이 있으므로 산소 공급, 체액 보충 등의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산소포화도를 정상 수준으로 높이고, 구토 증상으로 인한 체액 부족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환자 활력징후 변화 초기 산...2025.05.10
-
핵심술기(배출관장) 선행지식2025.01.131. 배출관장의 목적 배출관장의 목적은 연동운동 자극으로 배변을 촉진시키고, 변비나 분변매복으로 인해 장에 머물고 있는 변을 배출하여 일시적 변비 완화를 위함. 또한 수술이나 검사를 위해 장을 깨끗이 비우고, 수술이나 분만 시 배변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2. 대장의 해부학적 구조 대장은 소장과 대장 사이에 있는 회맹부 판막에서 항문까지의 연결통로로 길이가 125-150cm이다.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하행결장, S자상결장, 직장, 항문으로 나뉜다. 직장의 길이는 10-15cm이며 그 중 항문관은 2.5-5cm이다. 항...2025.01.13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인공호흡기 관리2025.05.081. 인공호흡기 관리 인공호흡기의 목적은 폐내 가스교환을 향상시키고, 산소화의 개선, 이산화탄소 배출, 호흡일을 줄여 호흡근육 피로를 방지하거나 피로에서 회복시키고 폐 손상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폐의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다. 인공호흡기 적응증은 무호흡, 급성 환기부전, 심한 저산소혈증 등이며, 인공호흡기의 주요 설정 항목에는 호흡수, 일회호흡량, 최대흡기유속, 흡기압력, 흡기시간, 압력보조, 유속감지, 호기감지 등이 있다. 인공호흡기에서 나타나는 그래프의 의미와 주요 알람의 종류 및 중재 방법도 설명되어 있다. 2. 인공호흡기 부작용...2025.05.08
-
흡인Suction 준비와 순서2025.01.131. 흡인의 목적 흡인의 목적은 기도내 분비물을 자연스럽게 스스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흡인을 통해 기도를 청결하게 하고, 기도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며, 환기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호흡곤란, 폐렴으로 스스로 분비물(가래 등) 배출하기 어려운 경우나, 청색증, 산소포화도 감소 등의 흡인이 필요한 상황에서 흡인을 시행한다. 또한 기도내 분비물 제거 이외에도 검체 수집(sputum culture)목적으로도 시행한다. 2. 흡인 시 준비물품 흡인 시 준비물품으로는 흡인기(벽 또는 이동식), 멸균 흡인 카테터(14fr), 멸균...2025.01.13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전문기도 확보와 환기의 이해2025.05.111. 전문기도 확보와 환기 전문기도기의 종류에는 기관내삽관 외에 기관으로 직접 튜브를 넣지 않고 후두에 위치구(extraglottic device)가 있다. 특히 후두마스크기도기, 아이-젤 기도기, 후두기도기 등이 현재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문기도기를 통한 인공호흡은 충분한 훈련과 경험이 있는 보건의료인들에게 권장되지만, 아직까지 전문기도기 사용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증거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백 마스크 또는 전문기도기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도 된다. 2. 기관내 삽관...2025.05.11
-
성인간호학 PICO논문 요약 및 해석2025.05.011. 기관절개관 막힘 예방 기관절개관을 가진 환자에게 가온, 가습(HH, Heated humidification) 또는 열습도 교환기(HME, Heated Moisture exchange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가습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기관절개관 막힘 예방에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가온, 가습(HH, Heated humidification)이 기관튜브 폐색에 효과적이라는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관절개관을 가지고 산소요법이 필요한 경우 가온, 가습(HH, Heated humidification)의 사...2025.05.01
-
심폐소생술(CPR)방법, 응급카트(E-cart) 약물 종류 및 주의사항, RSI(기관내삽관) 방법2025.05.07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이란 자발 순환이 정지된 환자에게 순환이 유지 또는 회복되도록 시행하는 흉부압박, 인공호흡, 투약 등의 술기 및 처치를 의미합니다. 심정지가 의심되거나, 심정지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되며, 생존사슬이라는 연속적인 응급처치 과정을 통해 환자를 소생시킬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방법에는 의식여부 확인, 구조 요청, 호흡과 맥박 확인, 가슴 압박, 제세동 시행 및 제세동 후 심폐소생술 등의 단계가 포함됩니다. 2. 응급카트(E-cart) 약물 응급카트에는 다양한 약물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So...2025.05.07
-
curavac 적용 및 관리2025.05.131. Curavac Curavac은 상처 부위에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삼출물을 빨아들이면서 상처 오염 방지, 주변 혈관 자극 등으로 혈류량 증가 및 육아조직이 빠르게 차오르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음압치료를 통해 상처의 크기를 줄여주고 배액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드레싱 횟수를 줄여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2. Curavac 적용 순서 Curavac 적용 순서는 폼 드레싱 -> 흡입 헤드 -> 폼과 흡입 헤드를 필름 드레싱으로 고정 -> 튜브 연결 순입니다. 3. Curavac 압력 및 모드 Curavac에는 continuou...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