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인Suction 준비와 순서
본 내용은
"
흡인Suction 준비와 순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0
문서 내 토픽
  • 1. 흡인의 목적
    흡인의 목적은 기도내 분비물을 자연스럽게 스스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흡인을 통해 기도를 청결하게 하고, 기도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며, 환기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호흡곤란, 폐렴으로 스스로 분비물(가래 등) 배출하기 어려운 경우나, 청색증, 산소포화도 감소 등의 흡인이 필요한 상황에서 흡인을 시행한다. 또한 기도내 분비물 제거 이외에도 검체 수집(sputum culture)목적으로도 시행한다.
  • 2. 흡인 시 준비물품
    흡인 시 준비물품으로는 흡인기(벽 또는 이동식), 멸균 흡인 카테터(14fr), 멸균 생리식염수(크린조), 일회용 멸균장갑(poly glove), 비뇨기과튜브, air way, Y-connector, 일회용 종이컵 등이 필요하다. 흡인 압력은 성인 110 ~ 150 mmHg, 아동 95 ~ 100 mmHg, 영아 50 ~ 95 mmHg로 유지해야 한다.
  • 3. 흡인 순서
    흡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흡인기를 벽면의 흡인기 연결 부위에 부착하고, 비뇨기과튜브를 흡입구 부위에 연결한다. Y-connector의 윗부분에 비뇨기과튜브를 연결시키고, 멸균 카테터와 Y-connector의 아랫부분과 연결시킨다. ② 멸균장갑을 착용하고, 멸균 생리식염수(크린조) 용기에 넣어 카테터로 한번 통과시켜 흡인이 잘 되는지 확인한다. ③ air way를 입천장을 향하게 넣고, 중간쯤 들어갔을 때 혓바닥쪽으로 돌리며 밀어넣는다. ④ 카테터를 천천히 돌리고 빼면서 흡인을 실시한다. ⑤ 필요하면 20~30초 간격을 두고 흡인을 실시한다. ⑥ 호흡음을 청진하거나 확인하여 분비물 청결상태를 확인한다.
  • 4. 흡인 시 주의사항
    흡인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호흡기관에 병원체의 침입을 예방하기 위해 멸균법으로 흡인을 시행해야 한다. -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하는 것 보다는 필요한 경우에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자에게 흡인시 불편함이 있음을 흡인 시행 전에 알려줘야 한다. - 카테터를 삽입할 때는 흡인하지 않아야 한다. - 한번 흡인 시 시간(10~15초)을 지켜야 한다. - 적정 흡인 압력도 잘 지켜서 호흡곤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흡인의 목적
    흡인의 주요 목적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것입니다. 기도 내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을 돕고, 폐렴이나 무기폐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흡인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술기이며, 숙련된 기술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흡인 시 준비물품
    흡인 시 필요한 주요 물품으로는 흡인 카테터, 흡인기, 멸균 생리식염수, 멸균 장갑, 마스크, 가운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물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관절개관 환자의 경우 기관절개관 관리 물품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모든 물품은 멸균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사용 전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준비 과정에서 무균 술식을 지켜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 3. 흡인 순서
    흡인 순서는 크게 준비 단계, 흡인 단계, 종료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준비 단계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합니다. 흡인 단계에서는 무균 술식을 지켜 흡인을 실시하며,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합니다. 종료 단계에서는 사용한 물품을 적절히 처리하고 환자의 상태를 재평가합니다. 각 단계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 4. 흡인 시 주의사항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첫째, 무균 술식 준수입니다. 카테터 삽입 시 오염을 방지하고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둘째, 환자의 반응 모니터링입니다. 흡인 중 환자의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셋째, 과도한 흡인 자제입니다. 과도한 흡인은 기도 손상, 출혈, 저산소증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넷째, 환자의 불편감 최소화입니다. 흡인 시 환자의 통증과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주의사항을 준수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흡인을 수행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