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술기(배출관장) 선행지식
본 내용은
"
핵심술기(배출관장) 선행지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0
문서 내 토픽
-
1. 배출관장의 목적배출관장의 목적은 연동운동 자극으로 배변을 촉진시키고, 변비나 분변매복으로 인해 장에 머물고 있는 변을 배출하여 일시적 변비 완화를 위함. 또한 수술이나 검사를 위해 장을 깨끗이 비우고, 수술이나 분만 시 배변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
2. 대장의 해부학적 구조대장은 소장과 대장 사이에 있는 회맹부 판막에서 항문까지의 연결통로로 길이가 125-150cm이다.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하행결장, S자상결장, 직장, 항문으로 나뉜다. 직장의 길이는 10-15cm이며 그 중 항문관은 2.5-5cm이다. 항문관은 골격으로 된 수의적인 외괄약근과 평활근으로 된 불수의적인 내괄약근으로 되어있다.
-
3. 배설의 기전연동운동파가 대변을 s자 결장과 직장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직장 내 감각신경이 자극되어 배변 요구를 느끼게 된다.
-
4. 관장의 종류청결관장, 생리식염수관장, 고장성용액관장, 정체관장, 구풍관장, 투약관장, 구충관장, 영양관장, 용수관장, 역류관장 등 다양한 종류의 관장이 있다.
-
5. 관장 수행 절차1) 손위생 실시 2) 필요한 물품 준비 3) 관장액 준비 4) 카테터/직장튜브 준비 5) 윤활제 도포 6) 대상자 소개 7) 손위생 8) 대상자 확인 9) 관장 목적 및 절차 설명 10) 사생활 보호 11) 체위 취하기 12) 항문 노출 및 긴장 풀기 13) 장갑 착용 14) 카테터/직장튜브 삽입 15) 관장액 주입 16) 불편감 설명 17) 카테터/직장튜브 제거 18) 직장튜브 처리 19) 항문 막기 20) 대변 참기 설명 21) 대변 결과 확인 22) 방수포 유지 23) 대상자 편안히 해주기 24) 손위생 25) 간호기록
-
1. 배출관장의 목적배출관장은 장내 내용물을 제거하여 장 기능을 정상화하고 장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배출관장은 변비, 장 청소, 장 질환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배출관장을 통해 장내 독소와 노폐물을 제거하여 장 기능을 개선하고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사용이나 부적절한 방법으로 시행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2. 대장의 해부학적 구조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으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결장, 직장으로 구성됩니다. 대장의 주요 기능은 수분 흡수와 고형 대변 형성입니다. 대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매우 복잡하며, 각 부위마다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맹장은 맹낭이 있어 대변이 정체되기 쉽고, 직장은 항문까지 연결되어 배변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장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장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에 중요합니다.
-
3. 배설의 기전배설은 소화기관을 통해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과 독소를 체외로 배출하는 과정입니다. 배설의 주요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화 과정에서 생성된 대변이 대장을 통해 항문으로 배출됩니다. 둘째, 신장에서 생성된 요소와 요산 등이 방광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셋째, 피부를 통해 땀, 지방, 각질 등이 배출됩니다. 넷째, 폐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됩니다. 이러한 배설 기전은 체내 항상성 유지와 건강한 생활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배설 기능의 이상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4. 관장의 종류관장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목적에 따라 배변 촉진, 장 청소, 약물 투여 등의 관장이 있습니다. 둘째, 사용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물 관장, 유제 관장, 약물 관장 등이 있습니다. 셋째, 관장액의 온도에 따라 냉수 관장, 미온수 관장, 온수 관장 등이 있습니다. 넷째, 관장 방법에 따라 일반 관장, 고압 관장, 점적 관장 등이 있습니다. 관장의 종류와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관장 시 주의사항을 잘 지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관장 수행 절차관장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첫째, 관장액의 온도, 양, 성분 등을 확인하고 준비합니다. 둘째, 환자의 상태와 목적에 맞는 관장 방법을 선택합니다. 셋째, 환자의 프라이버시와 편안함을 보장하며 관장을 시행합니다. 넷째, 관장액이 충분히 주입되도록 기다리며 환자의 반응을 관찰합니다. 다섯째, 관장 후 배출되는 대변의 양상을 확인하고 필요시 추가 조치를 취합니다. 마지막으로 관장 후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기록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체계적으로 따르면 관장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핵심술기 레포트 - 배출관장 절차 및 선행관련 지식 6페이지
핵심술기 레포트(배출관장)oo대학교 간호학과2013ooooo ooooooooo병원분만실 실습담당 ooo 교수님16. 1. 25 ~ 16. 1. 29배출관장0. 성취목표? 배출관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배출관장 수행한 것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2. 관련선행지식? 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 배설의 기전? 관장의 목적? 관장의 종류? 내과적 무균법3. 필요장비 및 물품? 관장액(글리세린)? 미온수(37.7~40.5°C)? 50ml 주사기나 관장용 주사기? 카테터(10Fr)나 직장튜브(14-20Fr)? 홑이불, 방수포(고무포...2017.06.27· 6페이지 -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사례 보고서 19페이지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사례 보고서1. 핵심술기간호술 : 활력징후 측정 [수행]□ 관련지식 (핵심간호술의 선행지식 및 이론적 근거)? 관련선행지식- 내과적 무균법-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정상범위- 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록? 성취목표-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측정결과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주의사항- 영아, 소아, 무의식환자, 불안정 환자는 구강체온 측정x- 신생아는 직장체온 측정x (점막 손상 우려)- 직장체온 측정 시 점막 손상...2019.06.30· 19페이지 -
배출관장 핵심술기보고서 2페이지
핵심술기 항목배출관장담당교수대상/일시/장소대상: 학년 반 조 성명:관련선행지식:-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배설의 기전-관장의 목적-관장의 종류-내과적 무균법일시: 년 월 일 요일 교시장소:내용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소장: 음식물의 영양분을 분해하여 흡수 가능한 형태로 만듦. 위장에서 소장을 거쳐 회맹판을 통과한 상태인 유미즙을 수축을 통해 대장으로 밀어냄-대장: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 결장, 항문의 7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 결장의 주요 기능은 수분과 영양분의 흡수, 장벽의 점액성 보호, 배변이다-직장...2016.11.18· 2페이지 -
배출관장 2페이지
핵심간호 자율실습 보고서핵심술기 항목대상/일시/장소관련선행지식:- 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 배설의 기전- 관장의 목적- 관장의 종류- 내과적 무균법내용1. 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 소장: 음식물의 영양분을 분해하여 흡수 가능한 형태로 만듦. 위장에서 소장을 거쳐 회맹판을 통과한 상태인 유미즙을 수축을 통해 대장으로 밀어냄- 대장: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 결장, 직장, 항문의 7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 결장의 주요기능은 수분과 영양분의 흡수, 장벽의 점액성 보호, 배변- 직장: 직장 안에는 수직으로 뻗...2017.04.25· 2페이지 -
핵심간호술기 배출관장 관련 선행지식 2페이지
핵심간호 자율실습 보고서핵심술기 항목배출관장담당교수대상/일시/장소관련선행지식:-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 -관장의 종류-배설의 기전 -내과적 무균법-관장의 목적일시: 2016 년 9 월 29 일 목 요일 8,9 교시장소: 핵심간호 실습실내용①배설기관의 해부학적 상태·소장: 음식물의 영양분을 분해하여 흡수 가능한 형태로 만듦. 위장에서 소장을 거쳐 회맹판을통과한 상태인 유미즙을 수축을 통해 대장으로 밀어냄·대장: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 결장, 항문의 7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결장의 주요 기능은 수분과 영양분...2016.12.01·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