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ravac 적용 및 관리
본 내용은
"
curavac 적용 및 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6
문서 내 토픽
-
1. CuravacCuravac은 상처 부위에 일정한 음압을 가하여 삼출물을 빨아들이면서 상처 오염 방지, 주변 혈관 자극 등으로 혈류량 증가 및 육아조직이 빠르게 차오르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음압치료를 통해 상처의 크기를 줄여주고 배액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드레싱 횟수를 줄여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2. Curavac 적용 순서Curavac 적용 순서는 폼 드레싱 -> 흡입 헤드 -> 폼과 흡입 헤드를 필름 드레싱으로 고정 -> 튜브 연결 순입니다.
-
3. Curavac 압력 및 모드Curavac에는 continuous mode(설정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와 cyclic mode(low 압력이 반복적으로 적용)의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압력은 wall suction은 125mmHg, portable suction은 100~130mmHg 범위입니다.
-
4. Curavac 드레싱 교환 주기Curavac 드레싱은 48시간마다 교환하며, 감염 시에는 12시간마다 교환합니다. 환자가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압력을 낮추어 줄 수 있습니다.
-
5. Curavac 사용 시 주의사항Curavac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라운딩 시 기계 On/Off, 튜브 꼬임, 튜브 삽입 상태, 흡입 병 가득 차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화장실 이동 시에는 전원 코드를 뽑아놓고 다녀온 뒤 다시 연결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6. PICOPICO는 손바닥만큼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간편한 Curavac 기계입니다. 초록불이 깜빡이면 진공 상태가 적절하고, 주황색 불이 깜빡거리면 주황색 버튼을 눌러 다시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
7. Curavac 사용 시 주의 대상Curavac은 출혈 위험성이 있는 환자, 항응고제/혈소판 응집 억제제 복용 중인 환자에게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
8. Curavac 적용 시 준비물품Curavac 적용 시 준비물품으로는 CURASYS CANISTER(MGB ENDOSCOPY) 300cc, 큐라백(소, 중, 대), 메디터치 10*10 등이 있습니다.
-
9. Curavac 관련 수가 청구Curavac 적용 및 교체 시, infectious or Dirty wound dressing/1일당 fee와 상처 ASSESS 수가를 청구합니다. 그 외 드레싱(1일당) 수가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1. CuravacCuravac은 음압 창상 치료 장치로, 창상 치유를 촉진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장치는 창상 부위에 음압을 가해 삼출물을 제거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창상 치유를 돕습니다. 또한 밀폐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Curavac은 다양한 창상 유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만성 창상이나 수술 후 창상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Curavac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으므로,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
2. Curavac 적용 순서Curavac 적용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창상 부위를 깨끗이 세척하고 드레싱 한다. 2) 창상 크기에 맞는 Curavac 드레싱 패드를 선택한다. 3) 드레싱 패드를 창상 부위에 밀착시켜 부착한다. 4) 드레싱 패드와 연결 튜브를 연결한다. 5) 음압 펌프를 작동시켜 원하는 음압 수준을 설정한다. 6) 음압 펌프와 드레싱 패드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7) 드레싱 교환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드레싱을 교체한다. 이 순서를 잘 지켜 Curavac을 사용해야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3. Curavac 압력 및 모드Curavac 사용 시 적절한 압력 설정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75-125mmHg의 음압이 권장되지만, 환자의 상태와 창상 특성에 따라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압력이 너무 낮으면 창상 치유 효과가 감소하고, 너무 높으면 통증이나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Curavac은 연속 모드와 간헐 모드 두 가지 작동 모드를 지원합니다. 연속 모드는 지속적인 음압을 유지하며, 간헐 모드는 일정 시간 동안 음압을 가한 후 휴지기를 가집니다. 환자의 상태와 창상 특성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압력과 모드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Curavac 드레싱 교환 주기Curavac 드레싱 교환 주기는 창상 상태, 삼출물 양, 드레싱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48-72시간마다 드레싱을 교환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러나 창상 상태에 따라 더 자주 교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삼출물이 많거나 드레싱이 오염된 경우, 또는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드레싱을 교환해야 합니다. 드레싱 교환 시에는 무균 기법을 사용하고, 창상 부위를 깨끗이 세척해야 합니다. 또한 Curavac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드레싱 교환 주기를 지켜야 합니다.
-
5. Curavac 사용 시 주의사항Curavac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창상 부위에 출혈이나 감염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2) 음압 펌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튜브가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드레싱 교환 시 무균 기법을 준수해야 합니다. 4) 환자의 통증, 불편감, 피부 반응 등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5) 환자의 활동 범위를 고려하여 Curavac 시스템을 적절히 고정해야 합니다. 6) 음압 펌프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필요 시 교체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잘 지켜 Curavac을 사용해야 합니다.
-
6. PICOPICO는 Curavac과 유사한 음압 창상 치료 장치입니다. PICO 시스템은 소형 음압 펌프와 일회용 드레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상 치유를 촉진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PICO는 Curavac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창상 유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술 후 창상 치료, 만성 창상 치료, 피부 이식 부위 등에 사용됩니다. PICO는 Curavac에 비해 더 작고 휴대성이 좋아 환자의 일상 활동에 방해가 적습니다. 하지만 Curavac과 마찬가지로 PICO 사용 시에도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합니다.
-
7. Curavac 사용 시 주의 대상Curavac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Curavac 사용 시 출혈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감염이 있는 환자: 감염이 있는 경우 Curavac 사용이 금기될 수 있습니다. 3)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 음압이 심혈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신경학적 장애가 있는 환자: 통증 감각이 저하되어 있어 Curavac 사용 시 피부 손상 위험이 있습니다. 5) 악성 종양 환자: 악성 종양 주변 창상에 Curavac 사용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환자군에서는 Curavac 사용 여부와 방법에 대해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해야 합니다.
-
8. Curavac 적용 시 준비물품Curavac 적용 시 필요한 준비물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uravac 드레싱 패드: 창상 크기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드레싱 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2) 연결 튜브: 드레싱 패드와 음압 펌프를 연결하는 튜브입니다. 3) 음압 펌프: Curavac 시스템의 핵심 장치로, 원하는 음압 수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세척액: 창상 부위를 깨끗이 세척하기 위한 멸균 생리식염수 등의 세척액이 필요합니다. 5) 드레싱 교환 키트: 드레싱 교환 시 사용할 멸균 거즈, 드레싱 테이프 등이 포함됩니다. 6) 개인 보호 장비: 의료진은 무균 기법을 위해 장갑, 가운, 마스크 등의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물품들을 잘 갖추어야 Curavac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9. Curavac 관련 수가 청구Curavac 사용과 관련된 수가 청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uravac 드레싱 재료 비용: Curavac 드레싱 패드, 연결 튜브 등의 재료 비용이 청구됩니다. 2) Curavac 시스템 대여료: 음압 펌프 대여료가 청구됩니다. 3) 창상 관리료: Curavac 적용 및 드레싱 교환 등의 창상 관리 행위에 대한 수가가 청구됩니다. 4) 합병증 관리료: Curavac 사용 중 발생한 합병증 치료에 대한 수가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가 항목들은 의료기관의 정책과 건강보험 적용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Curavac 사용 전에 관련 수가에 대해 충분히 확인해야 합니다.
-
골수염 케이스 23페이지
목 차Ⅰ. 서론 각 page를 입력하세요(간호사례선정 이유를 포함하여 서술하세요)Ⅱ. 본론1. 사례의 질환에 따른 문헌고찰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2) 병태생리3) 위험요인4) 임상증상5) 진단검사6) 치료7) 간호진단별 간호2. 간호과정 사례1) 간호사정(1) 일반정보(2) 간호력과 신체검진① 간호력② 신체검진2) 진단검사(1) 혈액검사(2) 영상의학검사(3) 기타 자료3) 치료(약물, 수술 등)4) 간호과정 적용Ⅲ. 결론(간호사례대상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면서 느낀점을 포함하여 기술하세요)Ⅳ. 참고문헌(성인간호학 교재, 논문 1...2025.06.02· 23페이지 -
Sepsis / Sepsis shock 성인실습 케이스 스터디 / 패혈증, 패혈증 쇼크 / A+ 33페이지
A. 자료수집 양식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1) 현병력○ 과거력10년 전 SAH로 타병원에서 clipping 시행이후 마비 증상으로 clipping revision 및 hydrocephalus에 대해 VP shunt 시행함- 병력: N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cirrhosis 진단. HL, Cerebral hemorrhage, b asthma, 척추골절로 OP.○ 입원일- 사정 전[2024-09-10] 본원 입원 1주일 전부터 반복되는 오한을 동반한 발열과 배의 염증이 관찰됨. scalp and valve ...2024.09.28· 33페이지 -
중환자 케이스스터디, 현직 간호사가 만들었습니다(병원 들어가도 계속 만들어요 여러분, 퀄리티 보장, 외상외과 중환자실, 윗년차 간호사한테 3번 까임), 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 12페이지
케이스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Ⅰ. 서론 및 문헌고찰상기 환자분의 경우 drunken 상태로 도로에 누워있다가 차에 부딪혀 내원하였다.주진단명은 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이다. 심한 복통을 호소하여 시행한 검사 결과에서 chest CT 상에서 Rt.4,5th rib Fx와 무기폐 소견을 보였고 whole spine CT 상에서 SP fx ...2024.04.23· 12페이지 -
NSTEMI 심근경색증 케이스스터디, 진단6개, 간호과정 2개 12페이지
Ⅲ. 대상자 사정1. 인적사항1) 개인력연령/성별환자명병동신장168cm체중직업무직결혼상태기혼경제상태하입원일진단명NSTEMI (Non -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2) 건강력(1) 현병력? 발병 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흉통으로 인하여 CAG(3VD관상동맥조영술) 후 CABG(관상동맥우회술)위해 입원,OPCAB(무인공심폐관상동맥우회술)? 현재 상태 : 주호소(C.C): 가슴이 답답하고 짓누르는 느낌을 받으며 수술한 부위에 통증을 느낌: CABG 후 wound의 치유가 지연됨(2) 과거력개인...2019.03.05· 12페이지 -
골수염 케이스 사례발표 4페이지
OM case studyⅠ.문헌고찰1. 골수염이란?혈행성 감염질환으로 급성 골수염과 만성골수염으로 나뉘는데 4주를 기준으로 나눌수 있다.원인균으로는 황색 포도 상구균(staphylococcus) 균이 있고일차적 감염원은 농포성 감염 피하농양, 내장감염, 폐렴, 감염된 열상, 비인두염 등으로 감염될 수 있다.또한 장기적으로 투석 또는 정맥주사를 주입하는 환자, 관통상, 동물 교상, 뼈 수술영양불량 하거나 노인, 비만, 당뇨, 류마티스성 관절염, 장기간 코디솔, 면연억제제 복용자 *고위험군 대상자가 될수 있다2.병태생리괴사 과정이 감염...2017.09.06·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