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근로자의 권리구제 및 법률지원 기관2025.01.101. 임금체불 시 권리구제기관 노동자들이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권리구제기관으로는 노동조합, 노동관계법원, 국민권익위원회 등이 있다. 연구 결과, 이 중에서 노동조합이 임금체불 문제 해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에 가입한 노동자들은 다른 권리구제기관보다 더 높은 임금체불 이슈 해결율을 보였다. 그러나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노동자들은 다른 권리구제기관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2. 부당해고 시 권리구제기관 노동자들이 부당하게 해고당했을 때, 권리구제를 할 수 있는 기관으로 노...2025.01.10
-
이혼의 재산적 효과로서 재산분할청구권의 의의, 재산분할청구의 대상이2025.01.201. 이혼의 재산적 효과 이혼은 당사자 간 혼인으로 발생한 신분 및 재산적 효력을 청산시키는 법률행위이다. 특히 이혼을 통해 발생하는 재산분할청구권은 협의이혼과 재판이혼 모두 발생하며, 이를 통해 부부가 혼인 중에 이룩한 부부 공동의 협력에 의한 공동재산을 청산함으로써 이혼 상대방이 경제적으로 곤궁한 것을 방지하는 부양적 성격이 보충적으로 가미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재산분할청구의 대상 재산분할청구권의 대상이 되는 재산은 원칙적으로 혼인 이후 부부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이룩한 재산으로 한정되며, 공유재산이나 공동재산의 형성 및 유...2025.01.20
-
생활법률 용어 정의와 권리구제기관2025.01.241. 법률혼 법률혼이란 「민법」 제4편 제2절·제3절에서 규정한 혼인 성립요건에 부합하면서 온전한 법적 효력을 가진 혼인을 말한다. 이러한 법규정에 어긋난 혼인은 법적 구속력에서 벗어나며 이로 인해 취소 혹은 무효가 된다. 2. 이혼숙려기간 협의이혼을 하려는 부부가 가정법원의 이혼 안내를 받은 후 이혼에 관하여 숙고해야 하는 기간을 말한다. 부부가 홧김에 이혼하여 가정을 해체하는 상황을 방지하고자 2007년 12월 21일 이혼숙려기간에 관한 민법을 개정하였다. 이후 2008년 6월 22일부터 협의상 이혼을 하려는 자는 가정법원에서 ...2025.01.24
-
근로자의 권리구제와 법률지원 기관2025.01.241. 임금체불과 부당해고 근로자가 임금체불과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근로복지공단과 근로자위원회를 통해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다. 근로복지공단은 임금 체납 보상금을 지급하고, 근로자위원회는 부당해고 및 노동 분쟁을 중재하여 해결책을 모색한다. 2. 직장 내 성희롱 직장 내 성희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장 내 피해 신고센터, 성희롱 예방 및 대응 지침, 성차별금지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성희롱 피해를 신고하고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3. 법률상담 및 지원 근로자는 법률상담 및 법률지원 기관을 찾아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2025.01.24
-
근로자의 권리구제 방법에 대한 설명2025.01.251. 협의 이혼의 성립 요건과 효력 이혼이란 부부가 결혼 관계를 청산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이혼에는 협의 이혼과 재판 이혼이 있는데, 협의 이혼은 협의 이혼의 성립 조건들을 충족하여야 이뤄질 수 있다. 협의 이혼의 성립 요건에는 크게 실질적 요건 네 가지와 형식적 요건 한 가지, 총 다섯 가지의 요건이 있다. 여기서 형식적 요건이란 실질적 요건 네 가지를 충족한 뒤에 거치는 절차에 가깝다. 2. 법정상속인과 대습상속인 피상속인이 유언을 하지 않고 사망한 경우, 민법에서 정한 상속 제도에 따라 피상속인의 재산이 상속된다. 여기서 상...2025.01.25
-
근로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비사법적 구제기관 활용2025.01.261. 임금체불과 부당해고 관련 비사법적 권리구제기관 근로자가 임금체불과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비사법적 권리구제기관은 고용노동부, 노동위원회, 근로복지공단 등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진정 접수 및 시정 명령, 노동위원회는 부당해고 구제신청 및 판정, 근로복지공단은 임금체불 근로자 지원사업 등을 통해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2. 직장 내 성희롱 관련 비사법적 권리구제기관 직장 내 성희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사법적 권리구제기관으로는 고용노동부, 국가인권위원회, 여성긴급전화 1366 등이 있습니다. 고용노...2025.01.26
-
부당해고 등에 대한 행정적, 사법적 구제절차2025.01.021. 부당해고 구제절차 근로자는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하며, 이는 근로자가 보다 간이·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 등에 대한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취지가 있다. 또는 법원에 민사상 해고무효확인의 소송 등을 제기하여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다. 이는 양자 선택 또는 동시 진행이 가능하다. 2. 노동위원회를 통한 구제절차 근로자가 노동위원회를 통한 부당해고 구제를 받기 위해서는 해고통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 내에 구제신청을 해야 한다.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마친 후 부당해...2025.01.02